-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7/07/17 18:01:23 |
Name | 이슬먹고살죠 |
Subject | 왓챠 300개인 영린이가 쓰는 5점영화 추천글 |
1. 개요 ‘왓챠’는 자기가 본 영화에 평점을 매길 수 있는 앱입니다.(다른 기능도 많은데 이게 제일 좋아요) 월급도둑질도 할겸 천천히 평점을 매겨서 300개의 영화에 평점을 매겼네요. 이 중 5점을 준 영예의 29작품에 대해서 리뷰를 하고자 합니다.하는김에 다른 헛짓거리도 좀 하고... 스포 없습니다. 맘편히 읽으시길. 2. 나만의 평가 기준 왓챠에 평점을 주면서 엄격하게 한 건 아니지만 나름의 평가기준을 가지고 평점을 주었습니다. 명작, 수작, 작품성, 재미와 같은 말로는 분류가 어려워서, 경험적인 기준을 잡아서 분류를 했더니 조금 편해지더라구요. 5 - 1) 내 인생에 지대한 영향을 준 공로가 인정되거나 2) 씬이 전부 기억나는데도 또 보고 싶을 만큼 2시간 내내 재미있는 영화 4.5 - 5점주기엔 2% 모자란, 실제로는 4.98점짜리 영화들 4 - 1) 영화를 본 후 하루의 기분을 좌우할만큼 인상적이었거나 2) 시간이 지나도 머릿속에서 잊혀지지 않을 정도로 재미있는 영화 3.5 - 분명 4점급 영화였는데 내용이 잘 기억 안나는 영화 3 - 장점도, 단점도 뚜렷하지 않은 ‘그때는 재미있었던, 굳이 또 찾아보고싶지는 않은’ 영화 2.5 - 장점도, 단점도 뚜렷해서 보면서 재미와 아쉬움이 동시에 남았던 영화 2 - 장점보다 단점이 뚜렷해서 아쉽지만, 그래도 지금 생각했을 때 안 본 것보다는 나은 영화 1.5 - 시간대비 만족도가 잠보다 떨어지는 노잼 영화 1 - 안 본 눈 사고싶은 영화 간략하게 표현하면 3~5점 사이의 영화의 요건은 “재미”와 “각인”이었습니다. 재미야 뭐 당연한거고... 저는 각인에 대해서 상당히 가치있게 평가합니다. 아무리 내가 똑똑해도 그렇지 5년 전에 본 영화 내용이 기억이 난다면, 그 영화는 나에게 큰 의미가 되는 거니까요. 2점과 2.5점의 영화는 별 개수가 평균 이하처럼 보이지만, 제 기준으로 2.25점이 영화 평균인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봤다는 기억만 나고 내용은 기억이 안나는 영화는 평점을 아예 주지 않았고, 정말 극혐인 영화들은 기억이 날래야 날 수가 없거든요. 앞서 언급한 “각인”의 부재인거죠. 1점과 1.5점의 영화 중 몇 개는 영화관에서 봤는데... 그 티켓으로 담뱃불이나 붙이는 게 더 만족스러웠을 정도로 재미가 없던 겁니다. 3. 5점짜리 영화들 내 인생에 지대한 영향을 준 공로가 인정된 영화들 올드보이 (2005) - 저는 연애감정으로 장난치는 소위 NTR물에 대한 조건없는 혐오가 극심한 사람인데요, 그건 아마 올드보이로 생긴 트라우마 때문이 아닌가 할 정도로 이 영화가 제게 준 임팩트는 강렬했습니다. 터미네이터 (1984) - 제게 로봇이 인간을 지배하게 될 날이 올까? 라는 질문을 던져준 영화 매트릭스 (2003) - 빨간약을 먹을지, 파란약을 먹을지 한달에 한번은 고민하고, 아직도 답을 못 내렸네요. ‘인식’에 대해 궁금증을 던져준 영화입니다. 인생은 아름다워 (1997) - 제가 세상을 따뜻하게 바라볼 수 있는 눈을 가질 수 있는 이유 중 하나라고 말할 수 있는 영화입니다. 다크 나이트 (2008) - 가면쓰고 연기하는 배트맨도, 정말 정신나간거 아닌가 싶은 조커도 대단했습니다. 보는 동안 사고를 정지하게 되는 영화였어요. 영화 자체의 완성도가 너무 뛰어나서, 해당 장르 내 넘버원인 영화들 호러 : 디센트 (2005) - 이질적인 공간에서 체감되는 공포를 알려줄 수 있다는 게 대단했습니다. 히어로 : 캡틴 아메리카 : 윈터 솔져 (2014) - “아직도 캡아의 위대함을 의심해?” 시리즈물, SF, 액션 등 어떤 카테고리에서도 가장 완벽한 플롯의 영화였습니다. 회색 : 범죄와의 전쟁 : 나쁜놈들 전성시대 (2011) - 검은색 영화, 흰색 영화는 많아도 회색 영화는 없는 것 같아요. 그것도 이 영화처럼 대단한 영화는 말이죠. 게이트 : 내부자들 (2015) - 우리나라에서만 할 수 있는 모든 게 집약되었습니다. 전 이런게 한국식 블록버스터가 아닐까 생각하네요. 범죄 : 악마를 보았다 (2010) - 끝이 우울한 영화는 다 싫어하는데, 이정도로 우울하면 얘기가 달라지죠. 절대악을 만들고 스토리를 전개하는 방식이 누가 올드하대?? 자르고, 토막내기 : 쏘우 (2004) - 자르고, 써는 영화 되게 좋아하는데요, 그중에 가장 완벽합니다. 애니 : 겨울왕국 (2013) - 렛잇고 천번은 들음 007 : 킹스맨 : 시크릿 에이전트 (2015) - 전 007물도 좋아합니다. 이 영화는 가장 위대한 007 영화에요. SF : 맨 인 블랙 (1997) - 있을법한 일을 코믹하게 풀어낸 가장 유쾌한 SF 영화 대단한 건 없지만 암튼 재미있는 영화 캡틴 아메리카 : 시빌 워 (2016) - 캡아의 버키사랑이 이해가 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당당하게 5점을 따냈습니다. 활주로 격투씬은 마블영화 올타임 넘버원에서 내려갈 수 있으려나 모르겠네요. 터미네이터 2 (1991) - 아버지와 아들의 영화. 주지사님이 제게 다가와 꽃이 된 영화입니다. 에이리언 (1979) - 지금 보면 확실히 좀 구립니다만... 호러 SF의 신기원 + 에일리언 시리즈 탄생의 공적을 인정하여 5점! 타짜 (2006)- 군대에서만 15번은 봤습니다. 어떻게 러닝타임 내내 재미있죠? 모든 등장인물의 심리에 의문이 생기지 않는 탄탄한 영화입니다. 캐리비안의 해적 - 블랙펄의 저주 (1999) - 해적감성 충만한 디즈니 해적영화 킹콩 (2005) - 엄청 큰 고릴라가 공룡이랑 싸워서 5점줬습니다. 다른 게 필요해? 킥 애스 : 영웅의 탄생 (2010) - 제가 스파이디 영화를 싫어해서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그는 제 인생에서 가장 위대한 찌질이었습니다. 4. 4.5점짜리 영화들 5점을 주기에 2% 모자란 4.98점짜리 영화들입니다. 모자란 2%가 뭘지 적어봅니다. 모자라다고 하니 어감이 안좋아 보이는데, 이친구들도 충분히 초 역대급 영화라고 평가합니다. 에이리언 2 (1986) - 2006년에 나왔어야 5점받습니다. cg가 야캐요 아는 여자 (2004) - 멜로가 뭐 다 그렇지만, 호흡이 느립니다. 식스 센스 (1999) - 반전을 모르고 봐야 5점짜린데, 전 이미 봤으므로... 더 록 (1996) - 에너미가 너무 평면적이에요. 스타쉽 트루퍼스 (1997) - 2007년에 나왔어야 5점받습니다. cg 야캐요(2) 취권 (1978) - 런닝타임이 너무 짧음 쇼생크 탈출 (1994) - 교도소 분위기가 너무 밝은거 아닙니까 쥬라기 공원 (1993) - 2003년에 나왔어야 5점받습니다. cg 야캐요(3) 가타카 (1997) - 강렬한 인상을 주는 씬이 없습니다. 맘마 미아! (2008) - 이런 영화가 다 그렇지만, 생각할 거리가 없어요. 마이너리티 리포트 (2002) - 미래예측이란 소재가 너무 비현실적이에요. 데드풀 (2016) - 중간에 잠깐 심심함. 아니, 초반이 너무 재밌는건가? 아이언맨 (2008) - 더 재밌는 영화가 되서 오라고 눈물을 머금고 내렸습니다. 어벤저스 (2012) - 히어로별 비중 분배가 제대로 되지 않았습니다. 신세계 (2012) - 정청이가 자성이를 왜 용서하는지 아직도 몰르겠음 월드워Z (2013) - 중간에 한번 개연성이 산으로 갑니다. 주토피아 (2016) - 닉이랑 주디가 안 사귐 2
이 게시판에 등록된 이슬먹고살죠님의 최근 게시물
|
퇴근까지 아직 27분이나 남아서 0.5점, 그러니까 정말정말 재미없던 영화에 대해서 첨언해봅니다.
메카닉(2016) - 스타덤형만 믿고 봤다가 피똥쌌습니다. 재미없어서.
아이덴티티(2003) - 분석을 읽어야 재밌는 영화는 내가 멍청해서가 아니라 잘 못만들어서에요.
김씨 표류기(2009) - 려원 예뻐서 참고 봤습니다. 개인적으로 클레멘타인(본적은 없으나)급
노잉(2009) - 기승전 요한계시록
핫 칙(2002) - 전 왜 팔자에 없는 칙릿영화를 본거죠?
7급 공무원(2009) - 김하늘 연기는 항상 같아서, 특정한 ... 더 보기
메카닉(2016) - 스타덤형만 믿고 봤다가 피똥쌌습니다. 재미없어서.
아이덴티티(2003) - 분석을 읽어야 재밌는 영화는 내가 멍청해서가 아니라 잘 못만들어서에요.
김씨 표류기(2009) - 려원 예뻐서 참고 봤습니다. 개인적으로 클레멘타인(본적은 없으나)급
노잉(2009) - 기승전 요한계시록
핫 칙(2002) - 전 왜 팔자에 없는 칙릿영화를 본거죠?
7급 공무원(2009) - 김하늘 연기는 항상 같아서, 특정한 ... 더 보기
퇴근까지 아직 27분이나 남아서 0.5점, 그러니까 정말정말 재미없던 영화에 대해서 첨언해봅니다.
메카닉(2016) - 스타덤형만 믿고 봤다가 피똥쌌습니다. 재미없어서.
아이덴티티(2003) - 분석을 읽어야 재밌는 영화는 내가 멍청해서가 아니라 잘 못만들어서에요.
김씨 표류기(2009) - 려원 예뻐서 참고 봤습니다. 개인적으로 클레멘타인(본적은 없으나)급
노잉(2009) - 기승전 요한계시록
핫 칙(2002) - 전 왜 팔자에 없는 칙릿영화를 본거죠?
7급 공무원(2009) - 김하늘 연기는 항상 같아서, 특정한 상황에서는 굉장히 답답합니다.
화이트 칙스(2004) - 전 왜 팔자에 없는 칙릿영화를 본거죠? (2)
반지의 제왕 : 반지 원정대(2001) - 전 이거 재미없었어요. 하마터면 졸 뻔했네요. 왜 뭐 왜
국가대표(2009) - 국뽕 최대로!
핸콕(2008) - 위에서 언급했지만 전 NTR 극혐합니다. 웹툰 헬퍼조차도 완결까지 7화남기고 NTR나와서 안봄
메이즈 러너(2014) - 무릇 영화라면 시리즈물도 한 편으로 완결성이 있어야 합니다.
메카닉(2016) - 스타덤형만 믿고 봤다가 피똥쌌습니다. 재미없어서.
아이덴티티(2003) - 분석을 읽어야 재밌는 영화는 내가 멍청해서가 아니라 잘 못만들어서에요.
김씨 표류기(2009) - 려원 예뻐서 참고 봤습니다. 개인적으로 클레멘타인(본적은 없으나)급
노잉(2009) - 기승전 요한계시록
핫 칙(2002) - 전 왜 팔자에 없는 칙릿영화를 본거죠?
7급 공무원(2009) - 김하늘 연기는 항상 같아서, 특정한 상황에서는 굉장히 답답합니다.
화이트 칙스(2004) - 전 왜 팔자에 없는 칙릿영화를 본거죠? (2)
반지의 제왕 : 반지 원정대(2001) - 전 이거 재미없었어요. 하마터면 졸 뻔했네요. 왜 뭐 왜
국가대표(2009) - 국뽕 최대로!
핸콕(2008) - 위에서 언급했지만 전 NTR 극혐합니다. 웹툰 헬퍼조차도 완결까지 7화남기고 NTR나와서 안봄
메이즈 러너(2014) - 무릇 영화라면 시리즈물도 한 편으로 완결성이 있어야 합니다.
피키캐스트에 부기영화라는 만화에서 캡아의 버키사랑에 대해 굉장히 설득렸있는 해석을 제시했죠.
캡아는 기본적으로 20세기의 인간이고 예기치 않은 사고로 21세기에 떨어진 이방인입니다. 당시에 아는 사람은 전부 죽거나 죽음을 앞두고 있는 상황이구요.
그런데 버키는 캡아가 캡틴 아메리카가 되기 전에도 죽마고우였고 캡아가 된 이후에는 생사를 같이한 전우였죠.
이 캡틴 아메리카가 되기 전부터 친구였다는 사실이 중요합니다. 다른 모든 사람들은 캡아를 '캡틴'으로 알고 있지만
버키만 유일하게 캡아가 '스티브 로저스'였던 시절을 알고... 더 보기
캡아는 기본적으로 20세기의 인간이고 예기치 않은 사고로 21세기에 떨어진 이방인입니다. 당시에 아는 사람은 전부 죽거나 죽음을 앞두고 있는 상황이구요.
그런데 버키는 캡아가 캡틴 아메리카가 되기 전에도 죽마고우였고 캡아가 된 이후에는 생사를 같이한 전우였죠.
이 캡틴 아메리카가 되기 전부터 친구였다는 사실이 중요합니다. 다른 모든 사람들은 캡아를 '캡틴'으로 알고 있지만
버키만 유일하게 캡아가 '스티브 로저스'였던 시절을 알고... 더 보기
피키캐스트에 부기영화라는 만화에서 캡아의 버키사랑에 대해 굉장히 설득렸있는 해석을 제시했죠.
캡아는 기본적으로 20세기의 인간이고 예기치 않은 사고로 21세기에 떨어진 이방인입니다. 당시에 아는 사람은 전부 죽거나 죽음을 앞두고 있는 상황이구요.
그런데 버키는 캡아가 캡틴 아메리카가 되기 전에도 죽마고우였고 캡아가 된 이후에는 생사를 같이한 전우였죠.
이 캡틴 아메리카가 되기 전부터 친구였다는 사실이 중요합니다. 다른 모든 사람들은 캡아를 '캡틴'으로 알고 있지만
버키만 유일하게 캡아가 '스티브 로저스'였던 시절을 알고 있으니까요. 또다른 한명은 시빌워에서 죽죠.
즉, 캡틴 아메리카가 아닌 브루클린 출신의 약골이었던 스티브 로저스를 기억하는 유일한 사람이기 때문에 버키에 집착한다고 해석하는 겁니다.
전 이게 굉장히 그럴듯하게 다가왔습니다.
캡아는 기본적으로 20세기의 인간이고 예기치 않은 사고로 21세기에 떨어진 이방인입니다. 당시에 아는 사람은 전부 죽거나 죽음을 앞두고 있는 상황이구요.
그런데 버키는 캡아가 캡틴 아메리카가 되기 전에도 죽마고우였고 캡아가 된 이후에는 생사를 같이한 전우였죠.
이 캡틴 아메리카가 되기 전부터 친구였다는 사실이 중요합니다. 다른 모든 사람들은 캡아를 '캡틴'으로 알고 있지만
버키만 유일하게 캡아가 '스티브 로저스'였던 시절을 알고 있으니까요. 또다른 한명은 시빌워에서 죽죠.
즉, 캡틴 아메리카가 아닌 브루클린 출신의 약골이었던 스티브 로저스를 기억하는 유일한 사람이기 때문에 버키에 집착한다고 해석하는 겁니다.
전 이게 굉장히 그럴듯하게 다가왔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