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7/12/25 03:41:55
Name   감나무
Subject   덴마크의 크리스마스
지구 반대편으로 시집을 와서 처음 맞은 명절은 크리스마스였습니다.
남편 누나네 가족이 호스트가 되어 가족들을 초대했어요.
시부모님은 이혼 후 어머니만 재혼하셨는데, 시어머니 부부와 시아버지, 그리고 저와 남편까지 시누 형님네 집에 모였죠.
시어머니의 새 남편과 시아버지와 한 자리에서 크리스마스를 보내는 건 제게는 너무너무너무너무 뜻밖이었기 때문에... 문화충격 그 자체였어요.
그 전 해까지는 어머니 아버지가 각자 자기 가족들과 크리스마스를 보내고,
남편은 부모님을 번갈아가며 방문하고,
저희 시누 형님은 본인 시댁까지 세 군데를 번갈아가며 찾아가고 있었대요.
저희 조카들, 즉 손주들 보는 게 낙인 저희 시부모님 입장에선 세 번에 한 번 차례를 기다리는 것보다 낫다고 생각해서 동의하신 거겠죠?

크리스마스 이브 점심때쯤 형님네 집에 도착하니 제일 멀리서 오는 저희가 가장 늦게 도착했더군요.
덴마크 크리스마스의 하이라이트는 크리스마스 이브 저녁입니다. 늦게 가긴 했네요.
메인 요리는 오리와 돼지 로스트인데, 오리는 시아버지가 준비하고 계셨고, 돼지는 시어머니 남편분이 준비해 가져오셨습니다.
그 이후로도 저 조합으로 크리스마스를 몇 번 보냈는데, 항상 똑같이 하고 있는 것 같네요.
시어머니랑 형님이 나머지 반찬(?)을 준비하시고,
잉여인원은 청소랑 설거지, 그리고 애들과 개들 뒤치다꺼리를 합니다.  

크리스마스 저녁은 트리 돌기로 시작합니다.
한 달 이상 (솔잎을 뿜으며... 생나무라서요) 거실 한 켠에 서 있던 크리스마스 트리를 거실 중앙으로 옮기고
트리에 진짜 촛불(!)을 붙입니다. 트리에 걸게 되어 있는 전용 촛대가 있어요. 모르긴 해도 이것 때문에 불 내는 집들 꼭 있을 겁니다. 매년 두려워요. 그게 저희가 될까봐...
그리고 트리 주변을 가족 전체가 둥그렇게 둘러 선 뒤 손에 손을 잡고 빙빙 돌며 노래를 부릅니다.
크리스마스 메들리로 흔히 부르는 노래들이 있는데요, 각각의 곡이 가사가 4절 5절까지 있어서 다 부르는 데 시간 꽤 걸립니다...
가사를 어떻게 다 외우는지도 신기하죠? 다 외우는 사람들도 물론 있겠지만, 요맘때면 타이거 (플라잉타이거코펜하겐, 덴마크의 다이소) 에서 손바닥만한 크리스마스 메들리 가사집을 판답니다. 전 핸드폰 봅니다.
점점 빠른 노래를 부르며 트리 주위를 도는 속도가 점점 빨라지다가 (왜 불 날까봐 무서워했는지 아시겠죠)
손에 손을 잡은 채로 기차놀이하듯이 온 집안 구석구석을 한 바퀴 돌고 나면 끝납니다.
사실 이걸 자정 가까이 되어서 하는 게 보통이라는데 저희는 어린 조카들이 있어서 초저녁에 하는 것 같아요.

(추가)
아참 빼먹었는데, 일종의 장난꾸러기 집요정 - 대림 기간 내내 아이들에게 선물을 주는 스칸디나비아의 산타같은 존재 니쎄 nisse 에게 내년 한 해도 잘 부탁한다는 의미에서 쌀죽을 다락에 헌납하는 의식도 이때쯤 합니다. 한 시간쯤 후에 올라가 보면 빈 그릇과 함께 아이들 선물이 놓여 있어요. 한 달 내내 매일 선물주느라 힘들었을텐데 마지막까지 열일하는 니쎄들입니다. 이 때문인지 아이들은 산타로부터 특별히 선물을 기대하진 않습니다.

한바탕 힘 뺐으니 저녁을 먹어야겠죠?
크리스마스 이브 저녁식사를 아~~주 거하게 합니다.
오리랑 돼지 로스트가 메인이지만
크리스마스 저녁식사의 주역은 단연 리스알라망, 쌀 디저트입니다.
달콤한 쌀알이 씹히는 차가운 크림죽(?)에 뜨거운 체리 소스를 얹어먹는 디저트인데요
한 솥 가득 만들어 잘게 부순 아몬드를 넣어 섞은 뒤, 통 아몬드 딱 한 알을 그 안에 숨깁니다.
자기 대접에 통 아몬드가 들어오면 아몬드를 찾은 사람을 위한 특별한 선물이 있어요.
선물은 뭐 별 거 아닐 수도 있고 별 거일 수도 있는데, 일단 콘테스트라는 특성 때문에 승부욕이 생기나 봅니다.
한 솥 가득 만들었다고 말씀 드렸죠? 어지간한 대가족이 아닌 이상, 1인당 한 그릇씩 먹어가지고는 반도 안 없어집니다.
첫 라운드에 아몬드 찾은 사람이 없나요? 2라운드 들어갑니다. 그렇게 세 그릇, 네 그릇까지도 갈 수 있어요.
이게 사실상 크림이라 많이 먹는 게 꽤 고역입니다. 딱 첫 번째까지만 맛있어요... 하지만 아몬드를 찾기 위해서 찾을 때까지 먹는 겁니다.
반전은 아몬드는 이미 첫 판에 누군가의 대접 속으로 들어갔을 수도 있다는 겁니다.
하지만 식구들이 부른 배를 부여잡고 꾸역꾸역 리스알라망을 먹는 걸 보기 위해서 조용히 아몬드를 숨겨놨다가 솥이 비어갈 때쯤 아몬드를 찾았다고 말하겠죠...
10세 미만의 아동이 아닌 사람이 아몬드를 찾았을 경우 굉장히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이야기입니다 - -

식후엔 간단한 빙고 같은 보드게임을 합니다. 한 판씩 이길 때마다 집주인이 준비한 작은 선물들 (저희 가족들은 보통 주전부리를 포장해 둡니다) 을 가져갑니다.

그리고 모두가 가장 기다리던 시간... 선물 개봉의 시간입니다. 크리스마스 앞둔 한 달 동안 부지런히 사다 나른 선물들을 포장지채 트리 밑에 쌓아 두거든요.
그걸 다 뜯는 데 족히 두 세 시간 걸립니다. 이게 저희 집만 그런 건지 모르겠는데 꼭 한 번에 하나씩만 뜯고 나머지 가족들이 그걸 다 보고 있어요.
다같이 자기 앞으로 온 것 착착 분리해서 쌓아놓고 동시에 뜯으면 좋겠단 생각을 혼자만 하곤 합니다.

선물 다 뜯고 잘 사람은 자러 가고 남을 사람은 남아서 얘기하고
미리 한바탕 치우고
다음날 아침먹고 또 한바탕 치우고
저희는 점심 전후에 집을 나섭니다.

이번 크리스마스엔 형님이 본인 시댁에 가시기 때문에 저희는 저희끼리 보냅니다.
아버님은 시할머니랑 시고모네 가족이랑 보내신다고 하고요
어머님은 여행가신다네요.
매년 다양한 조합이 가능합니다. 그래도 완전 저희끼리 보내는 건 또 처음이에요.
남편은 생전 처음 크리스마스 오리를 셀프로 만들고 있습니다. 어떤 맛일지 조금 두렵기도 하고 기대가 되기도 하는데 약 20분 후면 알 수 있다고 하는군요...

홍차넷 회원분들 모두 행복한 크리스마스, 신나는 연말연시 보내시길 바랍니다!!!



15
  • 문화인류학 ㄷㄷ


초반 가족관계에서 당황... 글이 안 읽힘...
시부모님 둘 모두 존경.
제가 보기엔 그 두 분도 두 분이지만 새로운 배우자분도 존경입니다.
이혼 가정이나 결혼 안 하고 애 낳고 살다 헤어진 커플이 워낙 흔한데 자식 손주들 일에는 또 다같이 모여야 하기 때문에 이혼을 하려면 곱게 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하트필드
재밌는 문화?들이 많네요. 잘읽었습니다.
아몬드 찾기는 재밌네요.
다락에서 죽먹고 디저트도 먹고...너무 배부를 니쎄들 ㅠㅠㅋㅋ

메리크리스마스입니다!
감나무
크리스마스는 제게 원래 발렌타인+어린이날 같은 느낌이었는데ㅋㅋ 이 사람들에겐 정말 명절이라서 재미있는 풍습이 많이 있습니다.
애들 있는 집은 니쎄들이 한 달 내내 고생이 많죠 ㅋㅋㅋ

좀 다른 얘긴데 다락에 죽 올려놓으면 맹렬한 발자국 소리가 들리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그러면 아이들은 신나하지만 부모들은 안색이 변하죠. 집에 쥐 (마우스 말고 랫이요)가 있단 뜻이거든요!!

메리크리스마스!
기쁨평안
남편분이 덴마크인이신가요?
처음에 와 이해가 잘안가서 여러번 읽었네요
감나무
네 덴마크 사람입니다. 저도 지금 덴마크에 살고 있어요. 배경설명이 좀 부족했네요.
Beer Inside
메리 크리스마스입니다.
감나무
메리크리스마스입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2928 7
15408 도서/문학'야성의부름' 감상 에메트셀크 25/04/27 130 2
15407 일상/생각토요일의 홀로서기 큐리스 25/04/26 270 1
15406 일상/생각사진 그리고 와이프 1 큐리스 25/04/25 441 4
15405 게임마비노기 모바일 유감 12 + dolmusa 25/04/25 638 5
15404 일상/생각인생 시뮬레이션??ㅋㅋㅋ 1 큐리스 25/04/25 456 0
15403 의료/건강긴장완화를 위한 소마틱스 운동 테크닉 소개 4 바쿠 25/04/24 519 10
15402 도서/문학사학처럼 문학하기: 『눈물을 마시는 새』 시점 보론 meson 25/04/23 317 6
15401 일상/생각아이는 부모를 어른으로 만듭니다. 3 큐리스 25/04/23 484 10
15400 꿀팁/강좌4. 좀 더 그림의 기초를 쌓아볼까? 6 흑마법사 25/04/22 378 18
15399 일상/생각처음으로 챗GPT를 인정했습니다 2 Merrlen 25/04/22 786 2
15398 일상/생각초6 딸과의 3년 약속, 닌텐도 OLED로 보답했습니다. 13 큐리스 25/04/21 873 28
15397 일상/생각시간이 지나 생각이 달라지는것 2 3 닭장군 25/04/20 765 6
15396 IT/컴퓨터AI 코딩 어시스트를 통한 IDE의 새로운 단계 14 kaestro 25/04/20 646 1
15395 게임이게 이 시대의 캐쥬얼게임 상술인가.... 4 당근매니아 25/04/19 640 0
15394 꿀팁/강좌소개해주신 AI 툴로 본 "불안세대" 비디오 정리 2 풀잎 25/04/19 619 3
15393 IT/컴퓨터요즘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AI툴들 12 kaestro 25/04/19 790 18
15392 도서/문학명청시대의 수호전 매니아는 현대의 일베충이 아닐까? 구밀복검 25/04/18 494 8
15391 정치세대에 대한 냉소 21 닭장군 25/04/18 1237 15
15389 게임두 문법의 경계에서 싸우다 - 퍼스트 버서커 카잔의 전투 kaestro 25/04/17 393 2
15388 일상/생각AI한테 위로를 받을 줄이야.ㅠㅠㅠ 4 큐리스 25/04/16 700 2
15387 기타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번외. 챗가를 활용한 스피커 설계 Beemo 25/04/16 294 1
15386 일상/생각일 헤는 밤 2 SCV 25/04/16 396 9
15385 게임퍼스트 버서커 카잔에는 기연이 없다 - 던파의 시선에서 본 소울라이크(1) 5 kaestro 25/04/16 310 2
15384 일상/생각코로나세대의 심리특성>>을 개인연구햇읍니다 16 흑마법사 25/04/15 715 1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