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8/01/06 03:02:11
Name   기아트윈스
Subject   무굴제국의 기원
제가요, 바빠지면 홍차넷에 글을 씁니다. 안바쁠 때는 안쓰다가 오히려 바빠지면 도피처로 홍차넷을.....'ㅅ'

여튼 무지 바쁜 기념으로 하나 잽싸게 싸지르고 갈께용.


-----------

여러사람이 공유하는 기억을 집단기억(Collective memory)이라고 불러요. 이건 다수에게, 단시간에, 강한 충격을 줘야 생성되는 물건인데 그런 기회가 흔치 않아서 만들기가 어려워요. 한국인에겐 2002년 월드컵 거리응원이라든지, 6월 항쟁 등이 여기에 해당해요. 대신에 집단기억은 한 번 생성되고나면 적절한 관리를 받는다는 전제 하에 (기념행사, 영화화 등) 오랬동안 지속하면서 스스로를 재생산해냅니다. 그래서 정작 6월항쟁을 겪어보지 못한 사람들도 6월정신 운운할 수 있게 되는 거지요.

대규모 집단이 같은 기억을 공유하면 자연히 그런 공유집단 전체를 하나의 단위로 상상하게 돼요. 우리는 모두 6월의 후예라든지, 우리는 모두 한국인이라든지, 우리는 모두 안동김씨라든지 등등. 따라서 집단기억은 본질적으로 정치적 속성을 가집니다.

지중해세계에서 그 규모와 여파가 가장 큰 축에 속하는 집단기억으로 로마제국의 등장을 꼽을 수 있고, 동아시아에서는 주(周)의 건국을 들 수 있습니다. 서구놈들은 로마제국과 거의 아무런 상관이 없는 미쿡이나 롯씨아까지도 자기들 인장에 독수리를 넣지요. 그러면 뭔가 로마로마하고 제국제국해서 멋있어보이니까요. 동아시아 각국의 지도자들은 (20세기 전까지) 조석으로 주나라 꿈을 꾸며 살았구요. 고종황제가 광무개혁인가 뭔가 하면서 주나라처럼 되자고 했다는 건 유명한 이야기예요.

중앙아시아에도 그런 존재가 하나 있으니 바로 몽골제국입니다. 몽골의 세계정복은 넘나 유래없는 것인지라 초원, 중원, 사막을 막론하고 제민족에게 거대한 인상을 심어주었어요. 그래서 몽골제국이 사실상 망한 뒤에도 이놈저놈 뛰쳐나와 '내가 대칸이다. 내가 몽골의 후예다'라며 설치고 다녔지요.

소련의 학자 미하일 게라시모프가 티무르의 두개골을 토대로 복원한 흉상

티무르(Timur)가 세운 티무르제국도 그 중 하나였습니다. 티무르는 지금의 중앙아시아(대략 이란-키르기즈스탄-우즈베키스탄-타지키스탄-아프가니스탄 등지)께에 위치했던 차가타이 칸국의 한 부족원이었어요. 차가타이 칸국은 칭기즈칸의 차남이 세운 나라였지요. 그니까, 혈통상 몽골족인 셈. 티무르라는 이름부터가 칭기스칸의 이름 테무친의 '테무'에서 따온 거예요. 몽골어로 '철鐵'이라는 뜻이래요. 티무르는 사고로 절름발이가 되었고, 그래서 별명이 '티무리 랑(Tīmūr-i Lang, 페르시아어로 절름발이 티무르)'라고 불렀는데, 이게 유럽으로 흘러들어가서 태멀레인(Tamerlane)이 되었어요. 이 말은 지금도 영어사전에 '절름발이', 혹은 '절름발이 티무르'라는 뜻으로 등재되어있답니다.

티무르는 스스로는 '칸'을 칭하지 못했어요. 왜냐하면 몽골제국의 관습상 칭기즈칸의 직계후예가 아니면 칸이 될 수 없었기 때문이에요. 대제국을 세우고도 대칸이 못되다니... 이게 큰 컴플렉스였던 티무르는 결국 어찌어찌 직계후예 여성을 하나 구해서 결혼함으로써 소원성취합니다 ㅎㅎ.

이 티무르의 직계 5대손 중에 '바부르'라는 친구가 있었어요. 15세기경 사람인데, 이 양반이 어쩌다 아프가니스탄의 카불을 점령하고 왕국을 세웠어요. 원래 목표는 거기를 근거로 사마르칸트로 진군하는 거였는데 일이 잘 안되서 남쪽으로 방향을 틀어서 델리를 점령한 게 무굴제국의 시작이 됩니다.

바부르, 그리고 '사실상'의 개국황제인 그의 아들 후마윤은 모두 자신들이 대칸의 후예, 차가타이 칸국의 후손임을 무척 자랑스러워했어요. 그래서 마치 동로마 서로마 신성로마 슈발로마 등등이 다들 로마의 후예라고 떠들고다닌 것처럼, 무굴제국은 자기들이야말로 진정한 '몽골제국'이라고 선포했지요. 이들은 모두 페르시아어를 썼는데, 페르시아어로 몽골을 '무굴'이라고 불렀대요. 그러니까, 무굴제국은 문자 그대로 몽골제국인 셈.

1857년에 영국에게 점령당할 때까지 무굴제국은 유럽친구들의 안정적인 무역상대였어요. 많은 유럽 상인과 사절단이 무굴제국의 황제를 이런저런 이유로 알현하러 갔었고, 갈 때마다 그 리얼 부(富)를 보고 압도당했대요. 그러다보니 유럽사람들은 자기네들 중에 떼부자가 나오면 '와 니 마 이래 성공했나? 윽수로 부자데이! 완죤 무굴아이가.' 이라고 하기 시작했고, 이게 영단어 Mogul (업계의 거물)의 기원이 되었다는 슬픈 이야기.


빌 게이츠, 제프 베조스도 다 업계의 '몽골'이라는군요 ㅎㅎ. 미국엔 몽골이 너무 많아.



20
  • 재미있는 글은 추천이요
  • 갓갓트윈스님 아니 갓갓갓갓갓
  • 이 글은 재미와 유익함을 다 잡은 좋은 글이다.
  • 감사합니다 또 바빠주세요(?)


커피최고
오 ㅋㅋ 꿀잼이네요
기아트윈스
저 책보다가 이거 배우고나서 페북에 재밌다고 썼더니 1분만에 지도교수가 보고선 '쯧쯧 이제 알았니' 했어요...ㅠ.ㅠ
https://youtu.be/dBkE1KngGWI
(고대자료) 징기스벅4 오프닝

나는 반드시 리그를 망친다!!!! 정ㅋ벅ㅋ

설명 : https://namu.wiki/w/%EC%A0%95%E3%85%8B%EB%B2%85%E3%85%8B#toc

시벌시벌...스1 팬덤이 진짜 그 판의 박약함과 빈곤함에 비하면 컨텐... 더 보기
https://youtu.be/dBkE1KngGWI
(고대자료) 징기스벅4 오프닝

나는 반드시 리그를 망친다!!!! 정ㅋ벅ㅋ

설명 : https://namu.wiki/w/%EC%A0%95%E3%85%8B%EB%B2%85%E3%85%8B#toc

시벌시벌...스1 팬덤이 진짜 그 판의 박약함과 빈곤함에 비하면 컨텐츠 생산력은 리얼 몽골기병 급이었는데..이젠 다 물거품처럼 사라지고 남겨진 흔적들은 다 화석이고 유물...그야말로 북원마냥 터럭 하나 안 남았지요. 과거에 대칸이었던 이들이 지금 비루 먹고... 뭐 몽골도 그렇고 스1도 그렇고 집단 서사라는 게 다 그렇긴 합니다. 결국은 시간을 고정시킴으로써 자기동일성을 복제하고 확산시키려는 반발력이죠. 곧 판타지요 포르노인 셈..

http://redtea.kr/?b=31&n=52319&c=324520
3
기아트윈스
아레나 상무님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판의 박약함, 수의 미소함이 그야말로 몽골기병이군요. 쥐털만큼도 안되는 인구가지고 세계를 정ㅋ벅ㅋ
알료사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재밌게 읽고 갑니다. 주나라 역사이야기도궁금해지네요.
기아트윈스
거기서도 뭔가 재밌는 떡밥을 찾으면 글로 써볼께요 ㅎㅎ
유로파4에서 티무르제국을 골라 무갈제국으로 만들어봅시다
기아트윈스
그래봤자 근대화 못하거나 지지부진하다가 스페인에게 망할 운명...ㅠㅠ
사랑하는홍차에게
재밌게 읽었습니당 중아시아 얘기 넘나 재밌어요!!! 무굴제국사 더 알고 싶어요
기아트윈스
하지만 저는 더 알려드릴 게 없...ㅠ.ㅠ 이 이상은 이제 서점으로 고고.
사랑하는홍차에게
그럼 다른 역사이야기라도 들려주세여 쌤(?)!!*_*
이번 글 너무 재밌네요ㅋㅋ
기아트윈스
재밌다니 다행입니다 ㅋㅋ 드립이 녹슬지 않았군용.
서유럽/영미권 중심 역사만 배운 제겐 넘모 재밌는 것 ㅎㅎㅎ 그래서 요즘 탐라에 뜨는 무협지 이야기도 정독하고 있고여 ㅋㅋㅋㅋㅋ 기아트윈스님 계속 바쁘셨으면 좋겠어요 +ㅁ+(???)
기아트윈스
아...앙데...더 바빠지면.....ㅠ.ㅠ
호라타래
하루종일 글만 쓰시게 만들어야!
기아트윈스
봉급만 충분히 주신다면 ㅎㅎㅎㅎㅎ
Darwin4078
기아트윈스님이 계속 바쁘시기를 4대신님께 비나이다 비나이다...
기아트윈스
앙데여 여기서 더 바빠지면 저 코피빵
세인트
뒤늦게 업무에 숨좀돌려서 예전 놀친글들읽는데 재미가...ㅋㅋㅋ
기아트윈스
ㅎㅎ 감사합니다
세인트
헉 이렇게 저의 저격대상(?) 중 한분이 눈치채버리셨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701 역사작전과 작전 사이 (9) - 제궤의혈 호타루 18/06/17 4306 5
7617 역사작전과 작전 사이 (8) - 당랑거철 3 호타루 18/06/03 4996 4
7572 역사작전과 작전 사이 (7) - 경적필패 호타루 18/05/22 4767 6
7463 역사작전과 작전 사이 (6) - 신물경속 호타루 18/05/01 4798 2
7339 역사징하 철로 - 중국 근현대사의 파란을 함께한 증인 호타루 18/04/05 5550 7
7204 역사내일은 여성의 날입니다. 7 맥주만땅 18/03/07 4107 7
7190 역사작전과 작전 사이 (5) - 공피고아 1 호타루 18/03/04 4389 1
7129 역사작전과 작전 사이 (4) - 무신불립 호타루 18/02/17 5028 3
7011 역사작전과 작전 사이 (3) - 도로무공 호타루 18/01/28 4740 2
6962 역사작전과 작전 사이 (2) - 부득탐승 3 호타루 18/01/18 5415 3
6921 역사작전과 작전 사이 (1) - 이대도강 1 호타루 18/01/09 4915 12
6905 역사무굴제국의 기원 23 기아트윈스 18/01/06 6411 20
6893 역사할아버지 이야기 -3- 12 제로스 18/01/04 4951 14
6892 역사할아버지 이야기 -2- 4 제로스 18/01/04 4582 7
6891 역사할아버지 이야기 -1- 2 제로스 18/01/04 4142 3
6871 역사2010년 중국 혼다 자동차 부품회사 파업 성명서, 중국의 노동운동 1 코리몬테아스 18/01/01 5344 3
6867 역사작전과 작전 사이 (0) - 프롤로그 8 호타루 18/01/01 5652 6
6668 역사괴팅겐, 음악을 통한 역사적 화해 3 droysen 17/11/28 6861 12
6656 역사[한국사] 기록으로 남은 목숨을 건 1:1 대결 1 키스도사 17/11/26 3914 0
6625 역사아우슈비츠로부터의 편지 11 droysen 17/11/20 5732 16
6471 역사[한국사] 한국판 펠렌노르 평원의 전투 6 키스도사 17/10/27 5335 0
6364 역사삼국통일전쟁 - 10. 황산벌 전투 8 눈시 17/10/02 5922 10
6064 역사삼국통일전쟁 - 9. 백제의 회광반조 3 눈시 17/08/06 5636 3
6063 역사삼국통일전쟁 - 8. 황제의 꿈, 대왕의 꿈 7 눈시 17/08/05 5170 10
6001 역사삼국통일전쟁 - 7. 여왕은 나라를 잘 다스릴 수 없다 3 눈시 17/07/24 5569 1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