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8/07/23 00:00:29수정됨
Name   솔루션
Subject   세상에 사기꾼들이 너무 많다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2


    소나기
    자기도 모르는 거겠죠.
    캡틴아메리카
    항등원, 역원을 모르고 대학을 오니 대학에서도 수학 가르치는 게 참 뭔가 애매해져서... 가끔 빡칠 때가 있습니다-_-;
    솔루션
    맞아요 도대체 누구의 생각인건지 ㅠㅠ 항등원, 역원이 사실 수학을 이해하는 가장 기본적인 틀인데요. 그걸 모르고 미적분을 어떻게 가르친다는건지.
    4차 산업 혁명이랍시고 코딩 교육은 한다면서 행렬은 왜 안가르지치는지도 너무 빡칩니다. ㅠㅠ
    2
    tannenbaum
    무식한 문돌이 출신이지만 고등학교 수학에 확률과 통계는 좀더 가르치는 게 좋을 거 가타효.
    살면서 중요하지 않은 학문이 어디 있겠습니까만 직장에서든 자영업이든 확률 통계는 참 중요하드라구요.
    미적분도요.
    솔루션
    그렇군요. 사실 배움이란 자신을 이해하기 위함이 아니라, 타인 나아가 세상을 이해하기 위함이라 생각해서 세상에 쓸데없는 공부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우리의 교육 풍토 자체가, 기초를 너무 무시하는 것 같아 슬퍼서 주절거려 봤네요.
    2019영어책20권봐수정됨
    .
    솔루션
    인강은 그야말로 신의 은총입니다. 세상 사람 모두가 마음만 먹으면 하버드의 청강생이 되는 매-직.
    CONTAXS2
    그래서 제 수학 영어 실력이 그 모양인가봅니다. ㅠㅠㅠ
    솔루션
    그런거죠. ㅠㅠㅠ
    아 선형대수 까먹은거 새로 봐야 되잖아요~ 잊고 살 땐 편했는데;;
    Danial Plainview
    그런 게 있죠. 이건 예전의 나의 지식 수준으로도 이해할 수 있었던 건데, 괜히 늦게 깨달아서 그동안의 시간을 헛수고한 느낌? 저도 지방에 있는 학원만 다니다가 강남 재수학원 강사들한테 배웠을 때 괜히 고등학교 3년 손해봤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선형대수도 맨 처음에는 Gauss-Jordan으로 시작하지만 결국 방정식에서 우리가 하는 가감법 등의 연산을 행렬의 형태로 곱해줄 수 있고, 따라서 방정식을 푸는 것은 앞에 이런저런 행렬을 곱해서 E로 만드는 것이고, 결국엔 역행렬을 구하는 것과 동일하다. 이후 A=PBP-1 식으로 대각화를 하는 것을 배우게 되는데, 대각화를 하면서 변하지 않는 성질을 알아내는 것, 대각화가 가능한 행렬과 그렇지 않은 행렬의 성질은 무엇인가에 대해 배우면 어느 정도 정리되는 셈이죠..
    정확히 그겁니다. 기본 개념, 기초는 죄다 건너 뛰어버리고 활용 능력, 문제 해결 능력만 강조하니 너무 부실한 건축이 되어버리죠. 사실 대학가면 좀 나아질 줄 알았는데, 대학은 훨씬 더 하더군요.

    그리고 지방과 서울은 그 사교육의 질에서 너무도 많은 차이가 나는 것 같습니다. 때문에 정시가 그리 공평한 제도가 될 수 없는거구요. 이런 상황 전반이 좀 답답하네요. ㅠㅠ
    회색사과
    어?... 항등원 역원도 없어졌어요??...
    솔루션
    네 ㅠㅠㅠ
    주체 객체라고 하니까 어... 개발이랑 비슷하구나 싶습니다 ㅎㅎ

    코딩언어가 영어적 특성을 반영하여 만들어졌나봅니다.
    솔루션
    그런거 같습니다. 한국어 기반 코딩언어가 어떨지가 갑자기 궁금해지네요. ㅋㅋㅋㅋ
    지나가던선비
    배운지너무오래되어서 뭔지 하나도기억이안납니다 ㅠㅠ 뭔가 좋은 인강이있을까요
    솔루션
    못 찾겠습니다. ㅠㅠ 시간나면 철저히 해설해서 올려드릴게요. 기다려주세요.ㅎㅎ
    언어 학습의 경우는 좀 그럴 수 있다고 봅니다. 언어는 감정을 담는 매개체기 때문에 예술 처럼 감성적이라고 해야되나.. 잘하는 사람들도 사람마다 배운 방법이 조금씩 다르고 학습법도 다양하죠. 수학이랑 과학이랑은 다르게.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개의 모국어를 가질 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때문에 하나의 모국어를 기반으로 어떻게 다른지를 알려줘야 감을 잡기 시작하죠. 영문법을 온전히 영어로만 가르쳐야 한다는 사람들을 보면 너무 화딱지나서 쓴 글이기도 합니다.
    April_fool
    https://brunch.co.kr/@amangkim/46
    이 글이 생각나는군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284 기타[불판] 이슈가 모이는 홍차넷 찻집 <50> 20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7/18 4516 0
    3249 기타[불판] 이슈가 모이는 홍차넷 찻집 <49> 31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7/12 4827 0
    3193 기타[불판] 이슈가 모이는 홍차넷 찻집 <48> 23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7/05 4360 0
    3143 기타[불판] 이슈가 모이는 홍차넷 찻집 <47> 38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6/28 4195 0
    3086 일상/생각[회고록] 우수에 젖어있던 너의 슬픈 눈망울. 2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6/21 3381 1
    3075 기타[불판] 이슈가 모이는 홍차넷 찻집 <46> 19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6/20 4033 0
    3074 스포츠[F1] 2016 캐내디언GP 결과 4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6/20 3689 0
    2865 기타[불판] 잡담&이슈가 모이는 홍차넷 찻집 <42> 30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5/23 4269 0
    2883 의료/건강[후기] Darwin4078님의 April_fool님을 위한 실내 맨몸 운동 루틴 8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5/24 5199 0
    2839 기타[불판] 잡담&이슈가 모이는 홍차넷 찻집 <41> 46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5/19 4500 0
    2832 일상/생각[회고록] 그의 손길은 애절했고, 눈빛은 날카로웠네. 4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5/18 3370 4
    2799 일상/생각[회고록] 잘못된 암기. 13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5/13 3496 1
    2721 일상/생각[회고록] 잔느 랑방. 12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5/01 3705 0
    2643 일상/생각[회고록] 그와 그녀의 슬픈 도토리. 8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4/19 3573 0
    2594 일상/생각[회고록] 그 밤은 추웠고, 난 홍조를 띠었네. 43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4/12 4757 10
    2512 기타[空知] 녹차넷을 엽니다. 79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4/01 8808 8
    2492 영화(노스포) 그린랜턴 : 반지의 선택을 봤습니다. 7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3/29 4643 4
    2360 기타[불판] 잡담&이슈가 모이는 홍차넷 찻집 <28> 60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3/09 5162 0
    1949 경제2015년 자동차 관련 이슈 11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1/05 6694 0
    1520 일상/생각난 용준 형이 싫다. 31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5/11/10 5918 0
    1353 생활체육[F1] 2015 F1 월드 챔피언이 결정되었습니다. 16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5/10/26 11168 1
    1237 생활체육[F1] 그 재미를 느껴보자 -6 : F1 용어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2) 8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5/10/12 15015 0
    1193 생활체육[F1] 그 재미를 느껴보자 -5 : F1 용어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21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5/10/07 12113 1
    1160 생활체육[F1] 그 재미를 느껴보자 -4 : (외전) 여러분을 F1 전문가로 만들어드립니다. 16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5/10/02 11803 2
    1157 생활체육[F1] 그 재미를 느껴보자 -3 : 페널티에 대해 알아봅시다. 5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5/10/01 18817 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