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22/01/10 22:08:25 |
Name | Profit |
Subject | 이재명 "수능 초고난도 문항 없앤다…대학생도 검토 참여" |
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5834636 당 선대위 교육대전환위원회와 정책본부는 이날 오전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이 후보의 '대한민국 교육 대전환을 위한 8대 공약'을 공개했다. 8대 공약은 Δ돌봄 국가책임 Δ디지털 전환 교육 Δ공교육 국가책임 확대 Δ'행복한 지요일(지역학습일)' 도입 Δ대입 공정성 강화 Δ동반성장 고등교육 생태계 조성 Δ학문 강국 건설 Δ 평생학습 체제 전환 등이다. 우선 이 후보는 대학 입시 공정성 강화를 위한 개편 방안으로 "'대입 공정성 위원회'를 설치, 운영하고 수시 전형 전 과정을 모니터링해 선발 결과를 분석한 후 학생과 학부모에게 정보를 제공하겠다"며 "수시전형 입시 부정은 꿈도 꾸지 못하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공공입학사정관제 도입 역시 그 방편이다. 또한 수능 시험 초고난도 문항 삭제와 함께 문항 출제와 검토 과정에 교사 참여의 폭을 확대하고 대학생이 수능 문항 검토에 참여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 오늘 이재명발 교육정책 공약이 다량 제시되었는데 관련 글이 없는 것 같아 올려봅니다. (정책의 급진성은 명이 윤보다 많아 보이는데 논의는 상대적으로 적어 보이기도 하네요) 개인적으로 수능 문제가 어려워진 근본적인 원인은 결국 시험 범위의 과도한 축소와 EBS 연계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문제 범위가 너무 협소하니 아예 '킬러문항'으로 불리는 악랄한 28+2형태 문제가 되어버리기도 했고, 18년도 이후부터 지금은 풀이과정이 훨씬 악랄해진 문제가 등장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단순 난이도 하향이 해법이다? 동의하기 어렵습니다. 최소한 이번 문/이과간 격차가 확인된 수학에서는 행렬/벡터 다 추가하고 탐구도 응시과목 숫자를 늘리거나 범위를 늘려서 탐구를 가장한 수학 문제는 좀 없애야 한다고 보네요. 2
이 게시판에 등록된 Profit님의 최근 게시물
|
동의합니다. 수학 관련해서는 많은 교육자님들이 지적하는 것과 같이 얕지만 넓게 가르치는게 더 중요할것 같은데, 양을 늘리면 교육 부담이 는다고 난리고 시험을 쉽게 내면 물수능이라고 난리라고 하니 ㅎㅎㅎ
도발적 표현 사용에 이용정지 2일 드립니다.
https://redtea.kr/notice/175
https://redtea.kr/notice/156
거친 표현의 사용은 제재 사유가 되고, 정치소재는 분쟁유발 소재로 보아 기준선을 높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관련 공지를 숙지하여 표현에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https://redtea.kr/notice/175
https://redtea.kr/notice/156
거친 표현의 사용은 제재 사유가 되고, 정치소재는 분쟁유발 소재로 보아 기준선을 높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관련 공지를 숙지하여 표현에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제가 알기론 출제는 교수, 검토는 교사로 알고 있습니다. 학생 중 검토위원이 있었다면 필경 과외할 때 안 썼을리가 없거든요 ㅋㅋ
또 엉터리 공약들 늘어놓는거 보니 선거시즌은 선거시즌인가 봅니다. 오히려 수능 범위를 현재보다 50%이상 늘렸으면 좋겠습니다. 넓은 범위를 가르쳐야 맞는건데, 왜 자꾸 좁게 가르치는게 공교육에 유리하다고 보는지? 좁은 범위가 공교육에 더 좋다는 객관적 데이터가 있기는 한가요? 계속해서 데이터도 근거도 없이 그냥 자기 생각과 상상에 근거해서 큰 정책을 만들고 세상을 망쳐놓는게 꼴보기 싫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