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23/12/14 22:35:12 |
Name | 공무원 |
Subject | 마흔 전 초혼만 준다는 결혼장려금…재혼은 왜 안 돼? |
https://n.news.naver.com/mnews/ranking/article/028/0002668850?ntype=RANKING 청년의 범주를 자체적으로 더 넓게 잡는 곳이 많아지고 40대 결혼하는 분들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인데 40살을 기준으로 잡는 것은 좀 아쉽네요. 재혼 가정을 대상으로는 저도 안 주는 것이 맞다고 생각하고..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공무원님의 최근 게시물
|
모의 연령별 출산율을 찾아보니
2022년 기준 해당연령대의 여자인구 1천명당 출생아 수를 보면
15-19 : 0.4
20-24 : 4.1
25-29 : 24.0
30-34 : 73.5
35-39 : 44.1
40-44 : 8.0
45-49 : 0.2
지원금으로 출산율을 장려할수 있는지 여부를 떠나서
결혼 한 후 출산까지 1~2년 가량 걸린다고 생각하면
42세 이상이라면 결혼시 출산장려라는 목적의 의미가 많이 퇴색된다고 봐야 할것 같습니다.
점차 출산연령이 늦어지는걸 감안하더라도 45세까지정도가 ... 더 보기
2022년 기준 해당연령대의 여자인구 1천명당 출생아 수를 보면
15-19 : 0.4
20-24 : 4.1
25-29 : 24.0
30-34 : 73.5
35-39 : 44.1
40-44 : 8.0
45-49 : 0.2
지원금으로 출산율을 장려할수 있는지 여부를 떠나서
결혼 한 후 출산까지 1~2년 가량 걸린다고 생각하면
42세 이상이라면 결혼시 출산장려라는 목적의 의미가 많이 퇴색된다고 봐야 할것 같습니다.
점차 출산연령이 늦어지는걸 감안하더라도 45세까지정도가 ... 더 보기
모의 연령별 출산율을 찾아보니
2022년 기준 해당연령대의 여자인구 1천명당 출생아 수를 보면
15-19 : 0.4
20-24 : 4.1
25-29 : 24.0
30-34 : 73.5
35-39 : 44.1
40-44 : 8.0
45-49 : 0.2
지원금으로 출산율을 장려할수 있는지 여부를 떠나서
결혼 한 후 출산까지 1~2년 가량 걸린다고 생각하면
42세 이상이라면 결혼시 출산장려라는 목적의 의미가 많이 퇴색된다고 봐야 할것 같습니다.
점차 출산연령이 늦어지는걸 감안하더라도 45세까지정도가 간당간당한 수준이고, 오히려 만49세까지 주는것이 본래의 저출생 대책에 맞지 않는것 같네요.
2022년 기준 해당연령대의 여자인구 1천명당 출생아 수를 보면
15-19 : 0.4
20-24 : 4.1
25-29 : 24.0
30-34 : 73.5
35-39 : 44.1
40-44 : 8.0
45-49 : 0.2
지원금으로 출산율을 장려할수 있는지 여부를 떠나서
결혼 한 후 출산까지 1~2년 가량 걸린다고 생각하면
42세 이상이라면 결혼시 출산장려라는 목적의 의미가 많이 퇴색된다고 봐야 할것 같습니다.
점차 출산연령이 늦어지는걸 감안하더라도 45세까지정도가 간당간당한 수준이고, 오히려 만49세까지 주는것이 본래의 저출생 대책에 맞지 않는것 같네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