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1/03/03 15:17:30 |
Name | 한썸머 |
File #1 | 9EBFA0D4_B095_4300_BE7F_308403DF9380.jpeg (132.1 KB), Download : 11 |
Subject | 네트워크 질문입니다 |
현재 학원 네트워크 상황이 요렇습니다. 메인 인터넷 선이 메인 공유기에 연결이 되어있는데 이게 허브로 쓰이고 그 허브에서 나온 선들이 각반 벽에 있는 랜포트랑 연결이 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벽에 있는 랜포트에 랜선을 단독으로 뽑아서 쓰면 사용이 가능한데 [공유기를 설치하고 각 pc에 뿌려 쓰려고 했더니 인터넷이 안됩니다.] 이런곳엔 젬병이라 어찌 해야할지 모르겠네요ㅠㅠ 도움 부탁드립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한썸머님의 최근 게시물 |
잘 모르겠지만, 앞단의 공유기가 허브가 아니라 공유기로 ip를 밑단에 뿌리고 있는 것 같은데, 그런 경우면 교실의 공유기는 공유기가 아닌 허브/스위치 역할을 하도록 설정을 바꿔야 할 것 같습니다. 공유기마다 설정이 다르겠지만, 교실 공유기를 허브/스위치 모드로 바꾸고, DHCP 서버 기능은 실행이 안 되게 설정을 바꿔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공유기마다 역시 다르겠지만, 랜선을 일반적으로 공유기로 쓸 때와 달리 WAN포트(Internet이라고 적혀있거나, 색이 다르게 구분되어 있음)가 아니라 LAN 포트(1,2,3,4로 숫자가 적혀있기도 함) 중 한 곳에 연결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혹시 IPTIME이면 여기 참고하세요. (IPTIME의 경우는 밑단 연결된 WAN 포트는 안 쓰고, 말씀하신 것처럼 들어가는 선도 나오는 선도 LAN 1,2,3,4 포트를 이용해야 하는 것으로 압니다.)
공유기를 AP스위치(허브)로 변경하는 방법(펌웨어 9.98.4 이상)
http://iptime.com/iptime/?page_id=67&pageid=1&mod=document&keyword=%ED%97%88%EB%B8%8C&uid=18119
공유기를 AP스위치(허브)로 변경하는 방법(펌웨어 9.98.4 이상)
http://iptime.com/iptime/?page_id=67&pageid=1&mod=document&keyword=%ED%97%88%EB%B8%8C&uid=18119
일단 메인 공유기의 설정을 봐야합니다.
메인공유기에서 IP분배방식이 수동으로 되어있는지 DHCP로 되어있는지 확인 후, DHCP로 되어있다면 수동으로 바꿉니다. 그 다음, 각 포트별로 할당할 IP를 설정해줍니다.
그 다음, 교실 1 공유기의 설정에 들어가서 교실 1 공유기와 연결된 메인공유기 포트에 설정된 IP값을 외부 네트워크 IP로 설정해주신 후, IP분배설정을 DHCP로 해준 뒤 각 PC의 랜카드에서 IP를 자동으로 받아오도록 (DHCP) 설정해주면 됩니다.
참고로, 교실1 공유기와 메인공유기를 연결 시에는 메... 더 보기
메인공유기에서 IP분배방식이 수동으로 되어있는지 DHCP로 되어있는지 확인 후, DHCP로 되어있다면 수동으로 바꿉니다. 그 다음, 각 포트별로 할당할 IP를 설정해줍니다.
그 다음, 교실 1 공유기의 설정에 들어가서 교실 1 공유기와 연결된 메인공유기 포트에 설정된 IP값을 외부 네트워크 IP로 설정해주신 후, IP분배설정을 DHCP로 해준 뒤 각 PC의 랜카드에서 IP를 자동으로 받아오도록 (DHCP) 설정해주면 됩니다.
참고로, 교실1 공유기와 메인공유기를 연결 시에는 메... 더 보기
일단 메인 공유기의 설정을 봐야합니다.
메인공유기에서 IP분배방식이 수동으로 되어있는지 DHCP로 되어있는지 확인 후, DHCP로 되어있다면 수동으로 바꿉니다. 그 다음, 각 포트별로 할당할 IP를 설정해줍니다.
그 다음, 교실 1 공유기의 설정에 들어가서 교실 1 공유기와 연결된 메인공유기 포트에 설정된 IP값을 외부 네트워크 IP로 설정해주신 후, IP분배설정을 DHCP로 해준 뒤 각 PC의 랜카드에서 IP를 자동으로 받아오도록 (DHCP) 설정해주면 됩니다.
참고로, 교실1 공유기와 메인공유기를 연결 시에는 메인공유기의 LAN 포트 중 하나를 교실1공유기의 WAN 포트에 연결해주셔야 합니다.
상세 설정 방식은 공유기 제조업체별로 다르기 때문에 매뉴얼을 참고하셔야 합니다.
메인공유기에서 IP분배방식이 수동으로 되어있는지 DHCP로 되어있는지 확인 후, DHCP로 되어있다면 수동으로 바꿉니다. 그 다음, 각 포트별로 할당할 IP를 설정해줍니다.
그 다음, 교실 1 공유기의 설정에 들어가서 교실 1 공유기와 연결된 메인공유기 포트에 설정된 IP값을 외부 네트워크 IP로 설정해주신 후, IP분배설정을 DHCP로 해준 뒤 각 PC의 랜카드에서 IP를 자동으로 받아오도록 (DHCP) 설정해주면 됩니다.
참고로, 교실1 공유기와 메인공유기를 연결 시에는 메인공유기의 LAN 포트 중 하나를 교실1공유기의 WAN 포트에 연결해주셔야 합니다.
상세 설정 방식은 공유기 제조업체별로 다르기 때문에 매뉴얼을 참고하셔야 합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