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3/06/05 21:08:31 |
Name | 컴퓨터청년 |
Subject | 경제학과와 기계공학과 중 어떤 학과가 수학을 더 많이 쓸까요? |
친척이 경제학과 출신이라 그분 댁에 경제학 전공 대학서적이 있었는데, 수학책인지 경제학책인지 구분을 못하겠더군요. 역시 사회과학 계열 중 수학을 가장 많이 쓰는 학과답다고나 할까요? 그렇다면... (학부 기준으로) 경제학과와 기계공학과 중 어떤 학과가 수학을 더 많이 쓸까요? (왜 기계공학과를 비교의 예로 들었냐면... 공대 학과 중 수학과 물리학을 가장 많이 쓰는 학과가 기계공학과라고 들은 적이 있기 때문입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컴퓨터청년님의 최근 게시물
|
빈도나 의존도를 감히 평가는 못하겠지만
경제는 과학적 근거와 분석, 예측을 위해서 수학이 같이 다니지만 심리학적 기법도 있습니다.
다른 사회과학들이 그렇듯.
그러나 공대는 심리학적 기법이 보다 제한적이지 않을까.
공대 구석구석을 겪지 못해봤으니 이정도만 생각해봅니다.
경제는 과학적 근거와 분석, 예측을 위해서 수학이 같이 다니지만 심리학적 기법도 있습니다.
다른 사회과학들이 그렇듯.
그러나 공대는 심리학적 기법이 보다 제한적이지 않을까.
공대 구석구석을 겪지 못해봤으니 이정도만 생각해봅니다.
제가 직접 금융수학 들어본 기억과 기계과 친구가 유체역학 동역학 이런거 듣는거 옆에서 넘겨짚어본 기억으로는..
경제학은 넓게 활용하고 기본적인 수학 자체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하는 대신 그렇게 복잡한 산출물은 필요하지 않고, 응용역학(기계과의 80% 이상을 차지)은 선대와 미적분이 알파이자 오메가이고 굉장히 복잡한 계산을 통한 산출물을 필수 요구합니다.
어디가 수학을 더 많이 쓰냐는 질문에 대한 답변은.. 아래 동영상으로 갈음하겠습니다.
https://youtu.be/3smc7jbUPiE
경제학은 넓게 활용하고 기본적인 수학 자체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하는 대신 그렇게 복잡한 산출물은 필요하지 않고, 응용역학(기계과의 80% 이상을 차지)은 선대와 미적분이 알파이자 오메가이고 굉장히 복잡한 계산을 통한 산출물을 필수 요구합니다.
어디가 수학을 더 많이 쓰냐는 질문에 대한 답변은.. 아래 동영상으로 갈음하겠습니다.
https://youtu.be/3smc7jbUPiE
[리처드 파인만] “왜 자석은 서로 밀어내는가?”에 대한 답변 (한영 자막)
대기업기준 기계공학과를 가장 많이 필요로 하는곳
중공업, 건설이 대다수 입니다.
중공업도 크게봐서 플랜트, 조선으로 나뉘는데 수학? 그렇게 많이 안필요합니다.
제조업기준에서 미적분? 쓸일 없읍니다.
기존 현업에서 주구장창 쓰고 있는 표준이 있읍니다.
이거 본인 기업에 맞춰 쓸수있을 정도면 됩니다.
오히려 기계공학은 기본 3역학은 생각보다 덜 쓰이고
기계제작, 기계재료에 대한 이해도가 가장 큽니다.
본인이 '창업' 을 한다면 기본 3역학을 베이스로 해야겠지만
이미 모든 시스템이 다 갖춰진... 더 보기
중공업, 건설이 대다수 입니다.
중공업도 크게봐서 플랜트, 조선으로 나뉘는데 수학? 그렇게 많이 안필요합니다.
제조업기준에서 미적분? 쓸일 없읍니다.
기존 현업에서 주구장창 쓰고 있는 표준이 있읍니다.
이거 본인 기업에 맞춰 쓸수있을 정도면 됩니다.
오히려 기계공학은 기본 3역학은 생각보다 덜 쓰이고
기계제작, 기계재료에 대한 이해도가 가장 큽니다.
본인이 '창업' 을 한다면 기본 3역학을 베이스로 해야겠지만
이미 모든 시스템이 다 갖춰진... 더 보기
대기업기준 기계공학과를 가장 많이 필요로 하는곳
중공업, 건설이 대다수 입니다.
중공업도 크게봐서 플랜트, 조선으로 나뉘는데 수학? 그렇게 많이 안필요합니다.
제조업기준에서 미적분? 쓸일 없읍니다.
기존 현업에서 주구장창 쓰고 있는 표준이 있읍니다.
이거 본인 기업에 맞춰 쓸수있을 정도면 됩니다.
오히려 기계공학은 기본 3역학은 생각보다 덜 쓰이고
기계제작, 기계재료에 대한 이해도가 가장 큽니다.
본인이 '창업' 을 한다면 기본 3역학을 베이스로 해야겠지만
이미 모든 시스템이 다 갖춰진 곳이라면 '수학'이 그렇게 많이 필요하지 않읍니다.
중공업, 건설이 대다수 입니다.
중공업도 크게봐서 플랜트, 조선으로 나뉘는데 수학? 그렇게 많이 안필요합니다.
제조업기준에서 미적분? 쓸일 없읍니다.
기존 현업에서 주구장창 쓰고 있는 표준이 있읍니다.
이거 본인 기업에 맞춰 쓸수있을 정도면 됩니다.
오히려 기계공학은 기본 3역학은 생각보다 덜 쓰이고
기계제작, 기계재료에 대한 이해도가 가장 큽니다.
본인이 '창업' 을 한다면 기본 3역학을 베이스로 해야겠지만
이미 모든 시스템이 다 갖춰진 곳이라면 '수학'이 그렇게 많이 필요하지 않읍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