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4/03/20 10:54:16 |
Name | [익명] |
Subject | 공무원 이직 관련 문의드립니다. |
신원특정되면 문제가 될 수 있어 익명으로 글을 쓰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현재 30대 중후반, 지방직 공무원입니다. 솔직히 일이 좀 더러운 점과 박봉인 점은 참겠는데, 요즘 일하는 곳의 분위기가 굉장히 좋지 않아져서 인생이 갉아먹힌다는느낌을 많이 받읍니다. 이건 제 확증편향일 수는 있겠지만, 문제는 지방직의 특성상 이게 정권이 바뀌거나 시장이 완전히 바뀐다고 크게 달라질 거 같지는 않다는 것입니다. 여기가 유독 좀 주변 동네에 비해 이런 게 심합니다. 그래서 이직을 알아보려고 하는데, 지방직 공무원의 문제가 이거죠. 나이는 40향해 달려가고, 공직은 사회 나가면 변변한 커리어 취급 못 받고, 그렇다고 특기나 자격증 이런게 확실하지 않으니(게다가 저는 일상 생활에 지장이 있었을 정도로 심각한 똥손이라 기술 배우는 쪽은 어릴 때부터 포기했읍니다) 무턱대고 직장을 그만둘 수가 없읍니다. 이직을 하더라도, 집안 사정이 있어 그냥은 못 그만두고 소위 '환승'을 해야 합니다. 그래서 몇몇 준전문직을 보는데 소위 말하는 8대 자격은 확률 이전에 직장 다니면서 그냥 공부하기에는(휴직이면 몰라도 그만두지 않는다면) 불가능한 난이도까지 가는 거 같고, 그 외에 몇몇 길을 알아보고 있는데 정말 쉬운 게 없네요(며칠 전에는 USCPA 학원쪽도 상담을 받아봤는데 아직은 알아만 보는 단계입니다). 사실 의지만 있다면 길은 있어 보이는데, 혹시 저와 비슷한 상황에 있었던 분들이시라면, 아니면 어떤 떠오르는 추천할 만한 게 있다면 어떠한 방향을 찾을 수 있는지 좀 도움을 청합니다. 공부머리는 그래도 중간은 가는 거 같고, 건강에는 이상이 없으며, 대신 일을 휴직은 몰라도 몇 달 이상 그만두는 것은 거의 불가능합니다(이게 좀 패널티가 큽니다). 그냥 참고 다녀라 이런 조언도 이유가 타당하다면 받겠읍니다. 0
|
커리어에 대해서 인터넷에서 조언을 받는 것은 위험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홍차넷에는 좋은 분들이 많으니까 참고만 해보시고 전문적인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경력이라는 것은 본인이 했던 일과 본인이 속해 있는 산업으로 구성되는데 했던 일까지는 인터넷에서 조언을 받을 수 있어도 타 분야 산업까지 잘 아는 사람은 드물기 때문입니다.
===========================================================================
위험한 조언을 드린다면, 전문직을 하시던 다른 일을... 더 보기
===========================================================================
위험한 조언을 드린다면, 전문직을 하시던 다른 일을... 더 보기
커리어에 대해서 인터넷에서 조언을 받는 것은 위험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홍차넷에는 좋은 분들이 많으니까 참고만 해보시고 전문적인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경력이라는 것은 본인이 했던 일과 본인이 속해 있는 산업으로 구성되는데 했던 일까지는 인터넷에서 조언을 받을 수 있어도 타 분야 산업까지 잘 아는 사람은 드물기 때문입니다.
===========================================================================
위험한 조언을 드린다면, 전문직을 하시던 다른 일을 하시던 지금 하고 계신 업무와 연관된 일을 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서 노동부 근무 경력이 있는 사람이 공인노무사를 취득하면 다른 신입 노무사보다는 훨씬 경쟁력이 있는 것과 같습니다. 또한 인사담당자 입장에서 공직 경험이 있는 분들의 입사지원서를 몇 번 받은 적이 있는데 시험에 합격하셨고 조직생활 하셨으니까 역량이 있다는 것은 잘 알겠는데, 민간에 계셨던 분들과 비교했을 때 경쟁력이 있다는 느낌을 받지는 못했습니다. 앞서 말씀드렸던 것처럼 참고만 하시길 바라고, 원하시는 바 이루시길 바랍니다.
===========================================================================
위험한 조언을 드린다면, 전문직을 하시던 다른 일을 하시던 지금 하고 계신 업무와 연관된 일을 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서 노동부 근무 경력이 있는 사람이 공인노무사를 취득하면 다른 신입 노무사보다는 훨씬 경쟁력이 있는 것과 같습니다. 또한 인사담당자 입장에서 공직 경험이 있는 분들의 입사지원서를 몇 번 받은 적이 있는데 시험에 합격하셨고 조직생활 하셨으니까 역량이 있다는 것은 잘 알겠는데, 민간에 계셨던 분들과 비교했을 때 경쟁력이 있다는 느낌을 받지는 못했습니다. 앞서 말씀드렸던 것처럼 참고만 하시길 바라고, 원하시는 바 이루시길 바랍니다.
뭐 정확하게 말씀드리긴 어렵지만 공무원 임용규칙 제57조의11에 따른 수시인사교류를 통해 1:1 또는 다자간 교류를 할 수 있을겁니다. 중앙부처끼리도 가능하고 중앙/지방 간 교류도 가능한 것으로 알고있는데 동일직렬, 동일계급 간에서만 가능합니다.
그 외에도 군무원 경쟁채용의 경우 그 수가 기술직에 비해 적긴 하지만 학위나 특정 행정업무 경력 몇 년 이상 같은 제한으로 5급~7급 채용을 하긴 합니다. 그리고 우리 회사가 공직유관기관(원래 공공기관이다가 짤림)인데 블라인드 채용이라 신입 나이도 20후반에서 30중반까지 분포되는 것 같습니다.
그 외에도 군무원 경쟁채용의 경우 그 수가 기술직에 비해 적긴 하지만 학위나 특정 행정업무 경력 몇 년 이상 같은 제한으로 5급~7급 채용을 하긴 합니다. 그리고 우리 회사가 공직유관기관(원래 공공기관이다가 짤림)인데 블라인드 채용이라 신입 나이도 20후반에서 30중반까지 분포되는 것 같습니다.
현직장에 불만 있는 공무원이면 화면 한구석에 나라일터 켜놓는 게 일상이죠. 잘 추진되느냐와는 별개로..
저도 민간 나가면 경쟁력이 전혀 없을 거 같아서 어쨌든 공직에 메달리곤 싶지만 회사가 싫어서 나라일터만 쳐다보고 있습니다...
저도 민간 나가면 경쟁력이 전혀 없을 거 같아서 어쨌든 공직에 메달리곤 싶지만 회사가 싫어서 나라일터만 쳐다보고 있습니다...
'인생이 갉아먹힌다는 느낌' 공감가네요 저도 공무원이고 만32살인데 다른거 할줄 아는거 없고 억지로 다니네요 이렇게 인생의 절반을 살아야 한다 생각하면 우울해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