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8/12/31 09:02:22 |
Name | 기아트윈스 |
Subject | 특수문자 (ō 이거랑 ŏ 이거) 쉽게 입력하는 법이 궁금합니다 |
제곧내. 전자는 일본어를 햅번법에 따라 로마지로 전환시 장음표시한다고 자주 쓰는 문자입니다. e.g. 東洋史 (tōyōsi) 후자는 한국어를 맥큔-라이샤워법에 따라 영자표기시 'ㅓ'를 표시할 때 쓰는 문자입니다. e.g. 이명박 (Yi Myŏngbak) 직업상 저런 걸 쓸 일이 많은데 지금까진 그냥 저게 입력된 탭을 크롬에 띄워놓고 필요할 때마다 가서 복/붙 했는데, 이 짓을 계속 하려다보니 좀 더 근본적인 해결책, 깔끔하게 키보드로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이 없나 알아보는 중입니다. 일본어 부분은 아는 분이 좀 계실 것 같은데 힌트 좀 주세염...;ㅅ;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기아트윈스님의 최근 게시물
|
윈도우즈에서라면 특수문자는 alt + 넘버패드의 숫자로 간단하게 입력할 수 있습니다. (알트키 코드)
메모장 여시고
ō 는 alt 누른 채로 숫자 0333 (대문자는 0332)
ŏ 는 alt 누른채로 숫자 0335 (대문자는 0332)
인거 같네요.
메모장 여시고
ō 는 alt 누른 채로 숫자 0333 (대문자는 0332)
ŏ 는 alt 누른채로 숫자 0335 (대문자는 0332)
인거 같네요.
텍스트로
32 : 공백
33 : !
34 : "
35 : #
36 : $
37 : %
38 : &
39 : '
40 : (
41 : )
42 : *
43 : +
44 : ,
45 : -
46 : .
47 : /
58 : :
59 : ;
60 : <
61 : =
62 : >
63 : ?
64 : @
91 : [
92 : \
93 : ]
94 : ^
95 : ;
96 : `
123 : ~{
124 : |
125 ... 더 보기
32 : 공백
33 : !
34 : "
35 : #
36 : $
37 : %
38 : &
39 : '
40 : (
41 : )
42 : *
43 : +
44 : ,
45 : -
46 : .
47 : /
58 : :
59 : ;
60 : <
61 : =
62 : >
63 : ?
64 : @
91 : [
92 : \
93 : ]
94 : ^
95 : ;
96 : `
123 : ~{
124 : |
125 ... 더 보기
텍스트로
32 : 공백
33 : !
34 : "
35 : #
36 : $
37 : %
38 : &
39 : '
40 : (
41 : )
42 : *
43 : +
44 : ,
45 : -
46 : .
47 : /
58 : :
59 : ;
60 : <
61 : =
62 : >
63 : ?
64 : @
91 : [
92 : \
93 : ]
94 : ^
95 : ;
96 : `
123 : ~{
124 : |
125 : }
126 : ~
128 : €
130 : ‚
131 : ƒ
132 : „
133 : …
134 : †
135 : ‡
136 : ˆ
137 : ‰
139 : ‹
145 : ‘
146 : ’
147 : “
148 : ”
149 : •
150 : –
151 : —
152 : ˜
153 : ™
155 : ›
160 : (공백)
161 : ¡[2]
162 : ¢
163 : £
164 : ¤
165 : ¥
167 : §
168 : ¨
169 : ©
170 : ª
171 : «
172 : ¬
174 : ®
175 : ¯
176 : °
177 : ±
178 : ²
179 : ³
180 : ´
182 : ¶
183 : ·
184 : ¸
185 : ¹
186 : º
187 : »
188 : ¼
189 : ½
190 : ¾
191 : ¿
215 : ×
247 : ÷
4. 숫자[편집]
48 : 0
49 : 1
50 : 2
51 : 3
52 : 4
53 : 5
54 : 6
55 : 7
56 : 8
57 : 9
5. 알파벳[편집]
65 : A
66 : B
67 : C
68 : D
69 : E
70 : F
71 : G
72 : H
73 : I
74 : J
75 : K
76 : L
77 : M
78 : N
79 : O
80 : P
81 : Q
82 : R
83 : S
84 : T
85 : U
86 : V
87 : W
88 : X
89 : Y
90 : Z
97 : a
98 : b
99: c
100 : d
101 : e
102 : f
103 : g
104 : h
105 : i
106 : j
107 : k
108 : l
109 : m
110 : n
111 : o
112 : p
113 : q
114 : r
115 : s
116 : t
117 : u
118 : v
119 : w
120 : x
121 : y
122 : z
138 : Š
140 : Œ
142 : Ž
154 : š
156 : œ
158 : ž
159 : Ÿ
181 : µ
192 : À
193 : Á
194 : Â
195 : Ã
196 : Ä
197 : Å
198 : Æ
199 : Ç
200 : È
201 : É
202 : Ê
203 : Ë
204 : Ì
205 : Í
206 : Î
207 : Ï
208 : Ð
209 : Ñ
210 : Ò
211 : Ó
212 : Ô
213 : Õ
214 : Ö
216 : Ø
217 : Ù
218 : Ú
219 : Û
220 : Ü
221 : Ý
222 : Þ
223 : ß
224 : à
225 : á
226 : â
227 : ã
228 : ä
229 : å
230 : æ
231 : ç
232 : è
233 : é
234 : ê
235 : ë
236 : ì
237 : í
238 : î
239 : ï
240 : ð
241 : ñ
242 : ò
243 : ó
244 : ô
245 : õ
246 : ö
248 : ø
249 : ù
250 : ú
251 : û
252 : ü
253 : ý
254 : þ
255 : ÿ
32 : 공백
33 : !
34 : "
35 : #
36 : $
37 : %
38 : &
39 : '
40 : (
41 : )
42 : *
43 : +
44 : ,
45 : -
46 : .
47 : /
58 : :
59 : ;
60 : <
61 : =
62 : >
63 : ?
64 : @
91 : [
92 : \
93 : ]
94 : ^
95 : ;
96 : `
123 : ~{
124 : |
125 : }
126 : ~
128 : €
130 : ‚
131 : ƒ
132 : „
133 : …
134 : †
135 : ‡
136 : ˆ
137 : ‰
139 : ‹
145 : ‘
146 : ’
147 : “
148 : ”
149 : •
150 : –
151 : —
152 : ˜
153 : ™
155 : ›
160 : (공백)
161 : ¡[2]
162 : ¢
163 : £
164 : ¤
165 : ¥
167 : §
168 : ¨
169 : ©
170 : ª
171 : «
172 : ¬
174 : ®
175 : ¯
176 : °
177 : ±
178 : ²
179 : ³
180 : ´
182 : ¶
183 : ·
184 : ¸
185 : ¹
186 : º
187 : »
188 : ¼
189 : ½
190 : ¾
191 : ¿
215 : ×
247 : ÷
4. 숫자[편집]
48 : 0
49 : 1
50 : 2
51 : 3
52 : 4
53 : 5
54 : 6
55 : 7
56 : 8
57 : 9
5. 알파벳[편집]
65 : A
66 : B
67 : C
68 : D
69 : E
70 : F
71 : G
72 : H
73 : I
74 : J
75 : K
76 : L
77 : M
78 : N
79 : O
80 : P
81 : Q
82 : R
83 : S
84 : T
85 : U
86 : V
87 : W
88 : X
89 : Y
90 : Z
97 : a
98 : b
99: c
100 : d
101 : e
102 : f
103 : g
104 : h
105 : i
106 : j
107 : k
108 : l
109 : m
110 : n
111 : o
112 : p
113 : q
114 : r
115 : s
116 : t
117 : u
118 : v
119 : w
120 : x
121 : y
122 : z
138 : Š
140 : Œ
142 : Ž
154 : š
156 : œ
158 : ž
159 : Ÿ
181 : µ
192 : À
193 : Á
194 : Â
195 : Ã
196 : Ä
197 : Å
198 : Æ
199 : Ç
200 : È
201 : É
202 : Ê
203 : Ë
204 : Ì
205 : Í
206 : Î
207 : Ï
208 : Ð
209 : Ñ
210 : Ò
211 : Ó
212 : Ô
213 : Õ
214 : Ö
216 : Ø
217 : Ù
218 : Ú
219 : Û
220 : Ü
221 : Ý
222 : Þ
223 : ß
224 : à
225 : á
226 : â
227 : ã
228 : ä
229 : å
230 : æ
231 : ç
232 : è
233 : é
234 : ê
235 : ë
236 : ì
237 : í
238 : î
239 : ï
240 : ð
241 : ñ
242 : ò
243 : ó
244 : ô
245 : õ
246 : ö
248 : ø
249 : ù
250 : ú
251 : û
252 : ü
253 : ý
254 : þ
255 : ÿ
alt code 로 검색하시면 나오기도 하고요
아니면 글자나 기호를 구글에 검색하면 위키피디아 페이지가 나오는데 거기 들어가시면 유니코드가 있어요.
거기서 나오는 유니코드 숫자 부분이 16진수인데 이를 10진수로 변환해서 나오는 숫자를 alt와 함께 입력하시면 됩니당. 변환은 역시 구글 검색하면 나와요.
다만 이건 MS WORD 나 일부 프로그램에서는 안먹힙니다. 아쉬운대로 노트패드를 이용해서 복붙할 수 밖에요 ㅠ
아니면 예전에 MS OFFICE나 맥에서 text expander 처럼 특정 키배열 입력시 입력 내용을 바꿔주는 자동 변경 기능 쓰셔도 됩니다.
아니면 글자나 기호를 구글에 검색하면 위키피디아 페이지가 나오는데 거기 들어가시면 유니코드가 있어요.
거기서 나오는 유니코드 숫자 부분이 16진수인데 이를 10진수로 변환해서 나오는 숫자를 alt와 함께 입력하시면 됩니당. 변환은 역시 구글 검색하면 나와요.
다만 이건 MS WORD 나 일부 프로그램에서는 안먹힙니다. 아쉬운대로 노트패드를 이용해서 복붙할 수 밖에요 ㅠ
아니면 예전에 MS OFFICE나 맥에서 text expander 처럼 특정 키배열 입력시 입력 내용을 바꿔주는 자동 변경 기능 쓰셔도 됩니다.
mac에서는 좀 더 편하게 기본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 걸로 아는데, Windows에서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이 [AutoHotKey]로 매크로를 만들어 쓰는 방법일 듯 합니다. 매크로를 만들어서 이걸 시작 메뉴 폴더에다 넣어두면, 컴퓨터를 켤 때마다 매크로가 자동으로 실행되지요. 이 방법은 윈도우 내에서 실행되는 어떤 프로그램에서도 다 적용이 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실제로 제가 써먹고 있는 방법이기도 하고요.
참고 :
... 더 보기
참고 :
... 더 보기
mac에서는 좀 더 편하게 기본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 걸로 아는데, Windows에서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이 [AutoHotKey]로 매크로를 만들어 쓰는 방법일 듯 합니다. 매크로를 만들어서 이걸 시작 메뉴 폴더에다 넣어두면, 컴퓨터를 켤 때마다 매크로가 자동으로 실행되지요. 이 방법은 윈도우 내에서 실행되는 어떤 프로그램에서도 다 적용이 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실제로 제가 써먹고 있는 방법이기도 하고요.
참고 :
https://latin.meta.stackexchange.com/a/102
https://latin.meta.stackexchange.com/a/175
https://www.autohotkey.com/
혹시나 저런 것을 워드프로세서 안에서만 입력할 경우에는, 워드프로세서 프로그램의 상용구/자동 고침(AutoCorrect) 기능을 사용하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MS 워드에서는 [옵션] -> [언어 교정] -> [자동 고침 옵션]에서 옵션을 넣을 수 있습니다.
참고 :
http://wordfaqs.ssbarnhill.com/InsertSpecChars.htm
참고 :
https://latin.meta.stackexchange.com/a/102
https://latin.meta.stackexchange.com/a/175
https://www.autohotkey.com/
혹시나 저런 것을 워드프로세서 안에서만 입력할 경우에는, 워드프로세서 프로그램의 상용구/자동 고침(AutoCorrect) 기능을 사용하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MS 워드에서는 [옵션] -> [언어 교정] -> [자동 고침 옵션]에서 옵션을 넣을 수 있습니다.
참고 :
http://wordfaqs.ssbarnhill.com/InsertSpecChars.htm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