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0/05/15 08:27:31 |
Name | ![]() |
Subject | 원격의료에 의협이 반대한다는데... |
최근 여당이 코로나 사태를 계기로 비대면의료 혹은 원격의료의 물꼬를 트고 싶어하는 거 같은데, 시민단체는 '영리화' 문제로 반대하는 거 같고, 의협도 반대하는 이유는 무엇인지요? 아침에 뉴스 보는데 문득 궁금해지더라고요. 직관적으로는 비대면의료가 초래할 오진가능성의 상승, 대형병원 쏠림 현상일거 같긴 한데요...하튼 정확히는 잘 모르겠어요. 혹시 아시는 분 있으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미리 감사드려요.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옐빠님의 최근 게시물
|
모든 문제를 가장 쉽게 치환하면서 폄하하자면 밥그릇 싸움이네. 이러면 되는건데요
지금 원격을 누가 원하고 누가 밀어붙이고, 누가 반대하느냐를 보면 일단 모양새는 나옵니다.
https://www.medicaltimes.com/Users/News/NewsView.html?ID=1133564
... 더 보기
지금 원격을 누가 원하고 누가 밀어붙이고, 누가 반대하느냐를 보면 일단 모양새는 나옵니다.
https://www.medicaltimes.com/Users/News/NewsView.html?ID=1133564
... 더 보기
모든 문제를 가장 쉽게 치환하면서 폄하하자면 밥그릇 싸움이네. 이러면 되는건데요
지금 원격을 누가 원하고 누가 밀어붙이고, 누가 반대하느냐를 보면 일단 모양새는 나옵니다.
https://www.medicaltimes.com/Users/News/NewsView.html?ID=1133564
http://www.dailymedi.com/detail.php?number=856077
두가지 기사를 읽어 보면 그림이 나오죠 그 외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80673 이런 기사도
그런데 코로나 국면에서 보면 결국 이 코로나를 이만큼 이겨낸건 원격의료가 아니고 지역의료인들입니다. 그게 공공기관이 되었던, 지방 거점병원이 되었던. 그렇게 잘난척 하던 서울 빅5병원들은 환자 가려받기, 입원전에 코로나 검사 다 시행해서 음성대상만 입원시키기 등으로 지극히 소극적으로 임하고 말았지요. 물론 지역의 생활방역센터를 맡는 정도의 성의를 보였지만, 속내는 어떻게든지 본원들에 코로나가 불똥 안튀기게 하기 위한게 가장 큰 당면목표였지요. 의료는 결국 지방 균형발전의 큰 틀에서 벗어날 수가 없는데, 이를 의심하는 측에서는 서울 대형병원들이 결국 들어와서 다해먹자는거 아니냐.. 지방의료기관은 대형병원의 말초 터미널로만 기능하려는거냐 라는 오래된 의구심을 피할 수 없지요. 대략 지나온 역사가 그랬습니다. 2-30년전의 서울대형병원은 지금과 같지 않았지요.
여기에 의료를 통한 가치창출, 경제성, 수출 등등의 좋은 미사어구 붙이면 뭐 경제창출효과 1000조 찍지요.
지금 원격을 누가 원하고 누가 밀어붙이고, 누가 반대하느냐를 보면 일단 모양새는 나옵니다.
https://www.medicaltimes.com/Users/News/NewsView.html?ID=1133564
http://www.dailymedi.com/detail.php?number=856077
두가지 기사를 읽어 보면 그림이 나오죠 그 외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80673 이런 기사도
그런데 코로나 국면에서 보면 결국 이 코로나를 이만큼 이겨낸건 원격의료가 아니고 지역의료인들입니다. 그게 공공기관이 되었던, 지방 거점병원이 되었던. 그렇게 잘난척 하던 서울 빅5병원들은 환자 가려받기, 입원전에 코로나 검사 다 시행해서 음성대상만 입원시키기 등으로 지극히 소극적으로 임하고 말았지요. 물론 지역의 생활방역센터를 맡는 정도의 성의를 보였지만, 속내는 어떻게든지 본원들에 코로나가 불똥 안튀기게 하기 위한게 가장 큰 당면목표였지요. 의료는 결국 지방 균형발전의 큰 틀에서 벗어날 수가 없는데, 이를 의심하는 측에서는 서울 대형병원들이 결국 들어와서 다해먹자는거 아니냐.. 지방의료기관은 대형병원의 말초 터미널로만 기능하려는거냐 라는 오래된 의구심을 피할 수 없지요. 대략 지나온 역사가 그랬습니다. 2-30년전의 서울대형병원은 지금과 같지 않았지요.
여기에 의료를 통한 가치창출, 경제성, 수출 등등의 좋은 미사어구 붙이면 뭐 경제창출효과 1000조 찍지요.
필요한 부분이 있는데 그게 꼭 대형병원이 해야할 필요가 있는지는 의문이지요.
희귀병-오지: 이건 대형병원이겠지만
만성병-오지: 이건 읍면 의원이 나을 수도 있거든요. 근데 지금 주로 나오는 사업들이 후자를 먹겠다고 하니 곱게 보이지가 않는 거지요. 말들 어렵게 하는데 키는 그겁니다. 조금 더 나쁘게 보자면 2차병원 잡아먹기로 몸집 키운 대형병원들이 일차까지 잡아먹는거지요.
근데 코로나사태가 중명하는게 의료는 결국 말단에서 서비스를 해야한다는 점에서 이렇게 다 해쳐먹고 일차의료, 지역의료가 망가지면 과연 코로나 같은게 다시 터지면 처치가 될까 하는 의구심이 들지요. 여기에 출산같은거를 끼얹으면 원격으로 가능할 리가 없지요.
희귀병-오지: 이건 대형병원이겠지만
만성병-오지: 이건 읍면 의원이 나을 수도 있거든요. 근데 지금 주로 나오는 사업들이 후자를 먹겠다고 하니 곱게 보이지가 않는 거지요. 말들 어렵게 하는데 키는 그겁니다. 조금 더 나쁘게 보자면 2차병원 잡아먹기로 몸집 키운 대형병원들이 일차까지 잡아먹는거지요.
근데 코로나사태가 중명하는게 의료는 결국 말단에서 서비스를 해야한다는 점에서 이렇게 다 해쳐먹고 일차의료, 지역의료가 망가지면 과연 코로나 같은게 다시 터지면 처치가 될까 하는 의구심이 들지요. 여기에 출산같은거를 끼얹으면 원격으로 가능할 리가 없지요.
격오지도 중증 급성 질환이나 몇몇 특수 전공과에 대한 의료 공급이 모자라는 거지
기본적인 일차 진료 정도는 지금도 의료 자원이 모자라지 않거든요
물론 배 타고 몇 시간 가야 하는 외딴 섬이라던지 차로 한 시간 이상 나와야 상업시설에 접근할 수 있는 정도의 동네면 그조차도 모자라겠지만, 그런 곳이라면 원격진료 설비 투자조차도 손해가 나기에 원격의료가 들어가지 못할 가능성이 높읍니다
기본적인 일차 진료 정도는 지금도 의료 자원이 모자라지 않거든요
물론 배 타고 몇 시간 가야 하는 외딴 섬이라던지 차로 한 시간 이상 나와야 상업시설에 접근할 수 있는 정도의 동네면 그조차도 모자라겠지만, 그런 곳이라면 원격진료 설비 투자조차도 손해가 나기에 원격의료가 들어가지 못할 가능성이 높읍니다
한가지 더
의사들은 환자를 직접 보고 만지고 느껴서 진료하라고 교육 받습니다. 원격의료에 대한 본능적인 거부감이 있습니다. 일부는 부도덕하다고 까지 생각하지요.
의사들은 환자를 직접 보고 만지고 느껴서 진료하라고 교육 받습니다. 원격의료에 대한 본능적인 거부감이 있습니다. 일부는 부도덕하다고 까지 생각하지요.
이거 레알인게 전화로 전원 문의 받을 때나 영상통화로 119 의료지도 해주면서 환자가 이렇겠구나 대응하다가
막상 환자 와서 진짜로 대면하게 되면 느낌이 확 다릅니다 ㅎ
뭐야 이거??!? 싶을 때가 한두번이 아닌...
막상 환자 와서 진짜로 대면하게 되면 느낌이 확 다릅니다 ㅎ
뭐야 이거??!? 싶을 때가 한두번이 아닌...
이것도 맞죠.
아직까지 원격의료체계가 대면진료를 완벽하게 대체할 수 있는 기술력을 갖고 있는게 아니니까요. 빛의 속도때문에 발생하는 핑문제 때문에 롤드컵도 원격으로 못하는 마당에 원격의료를 돌렸을때 발생할 부작용에 대해 누가 책임을 질껀가에 대한 문제가 남아있죠.
아직까지 원격의료체계가 대면진료를 완벽하게 대체할 수 있는 기술력을 갖고 있는게 아니니까요. 빛의 속도때문에 발생하는 핑문제 때문에 롤드컵도 원격으로 못하는 마당에 원격의료를 돌렸을때 발생할 부작용에 대해 누가 책임을 질껀가에 대한 문제가 남아있죠.
http://www.medicaltimes.com/Users/News/NewsView.html?ID=1133529
이 기고가 좋은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스마트앱이나 디바이스, AI등의 사용에 우호적이라 의미있는 사업을 잘 찾으면 나쁠거 같지는 않는데 어쨌거나 신뢰가 우선이지요. 약간 mp3와 음반협과의 역사 같은 느낌도 있긴 하지요.
이 기고가 좋은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스마트앱이나 디바이스, AI등의 사용에 우호적이라 의미있는 사업을 잘 찾으면 나쁠거 같지는 않는데 어쨌거나 신뢰가 우선이지요. 약간 mp3와 음반협과의 역사 같은 느낌도 있긴 하지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