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23/10/01 15:53:20
Name   골든햄스
Subject   살아남기 위해 살아남는 자들과 솎아내기의 딜레마
당장 밥 값이 떨어지기도 했던 로스쿨 때를 생각하면, 인턴으로 나갔던 로펌 구내식당에서 남은 밥을 모아 싸가는 내내 정말로 단 한 번도 어떤 문장으로 된 생각이 들지 않았던 기억이 납니다. 긴박한 이미지, 소음의 조각들만이 있었습니다.

살아남는 것과 공부는 병행이 불가하다는 것을 그 시절 기억으로 많이 익히게 되었습니다. 특히 내내 어떻게 해야만 다음 달 생활비를 구멍 내지 않을까 전전긍긍 하다보면, 수많은 플랜을 A부터 Z까지 세우느라 공부를 하기가 힘들었습니다.

어떤 사람을 만나도 '이 사람이 내 생활에는 도움이 될까' 하는 생각 뿐이었고 (지금 생각해보면 죄송할 따름입니다. 용서해주시기를.) 교내 장학 시스템과 교외장학금의 선정 문턱 앞에서 몇 번이고 좌절하면서 '도대체 왜' 하는 단말마 같은 생각이 날카롭게 뇌를 조각내기를 반복했습니다.

다음 과외 아이템에 대한 고민은 끝없이 머리를 맴돌았습니다. 그와 함께 쏟아지는 과제, 수업, 팀플, 인턴, 대인관계 문제를 해결하느라 늘 분노 200% 상태였던 기억이 납니다. '내가 먹고 살기 바쁜데 이거까지 신경 써야 해?' 하는 서러움의 연속이었습니다. 소소한 일로 서로 싸워 편을 가르거나, 누구를 흘겨 보는 아이들을 보며 '부럽다' 속으로 몇 번이고 외쳐야만 했습니다. '그런 일로 목숨이 걸린 듯 싸우는 너네가 부럽다! 난 다음 끼니가 없다!' 물론 아이들은 저도 흘겨보고 무시했습니다만, 그때마다 속상해지기도 했지만 그걸 해결할 에너지가 없었습니다. '다음 끼니가 없다, 이 놈들아!' 사회적인 문제에 신경을 쓰기에는 당장의 굶주림이 급했습니다.

이런 처지의 사람들 중 절반 이상이 졸업을 포기하고 자퇴했다는 것이 상담을 부탁 드린 한 교수님의 말씀이었습니다. 갑작스런 집안의 도산이나 문제가 터져 상담을 한 아이들을 통해 나름 통계를 낸 모양이었습니다. 다행히 저는 50% 미만의, 졸업에 성공한 자에 들었습니다. 어떻게든 생활비 장학금을 받아냈고, 외부 장학금을 받아냈고, 끝없이 과외를 했으며, 친구들에게 빚을 졌다 갚았고, 좋은 애인을 만나 결혼을 약속했고, 무너진 건강을 회복해나가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 도박을 실패했다면?

가난한 사람들에게 공부는 본질적으로 목숨을 건 도박이나 다를 바 없습니다. 그래서 가난한 사람들에게 '너네가 예전에 성실히 공부를 하지 않았으니 지금 이런 대우를 받는 건 당연해' 라고 말하는 건 너네가 예전에 목숨 건 도박을 하고 거기다 성공까지 하지 못한 죄를 묻겠다는 말이나 다를 바가 없습니다. 날것의 표현입니다만 제가 그 시절 굶고 다니며 느낀 건 그것이었습니다. 물론 폭력적이고 빚까지 얹어주는 아버지가 흔한 불운은 아니므로 정책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없다고 하실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생각보다 하위 계층에는 흔합니다. ..... 그 외에도 가족의 병환이나, 도산 등등의 별의별 이유로, 혹은 잘못된 나라 잘못된 인종으로 태어났단 이유로 "살아남기 위해 살아남는" 자들은 생겨날 수밖에 없습니다.

그들은 분노할 수밖에 없고 슬퍼할 수밖에 없습니다. 가끔 진상이라는 카테고리로 묶이는 이들을 보며 나도 그러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그랬던 거 같습니다. 다른 게 없습니다. 그래서 그들을 같이 선뜻 욕하지 못하는 저 자신을 발견하고는 합니다. 분노와 슬픔과 굶주림에 그렁그렁한 눈을 한 자들을, 마냥 밀어내기가 힘든 경험을 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한편으로 현대인들은 그런 자들을 밀어내고, 끊임없이 밀어내며, 솎아내는 작업을 수행해야 합니다. 그들 중 특히 선을 넘은 자는 감옥이나 병원에 보내면서요. 그것이 우리의 안녕과 일상을 지키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의인화된 도시라는 시스템의 손과 발, 톱니이자 나사로 행동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럴 때 도시와 법과 여론은 준엄합니다.

'우리는 그 어떤 일이 있더라도, 설령 밑바닥에 떨어지더라도 너네처럼 선을 넘고 분노에 몸을 불태우지는 않을 거야'라고 선언하듯이요.

글쎄, 적어도 그 직전까지는 갔다 왔습니다.

그렇지만 또 다시 그들을 밀어내는 정신적 호신술을 심리상담에서 배우고 그들을 유형화해서 감옥에 보내는 법을 공부합니다. 적어도 제 개인의 행복과 영달을 위해서는 이래야 한다고 모두가 입 모아 말하니까요. 저 또한 제 소중한 사람들에게는 그렇게 가르칠 거니까요. 하늘과 땅 위에서의 법도가 다른 걸지도 모르고요.

이 딜레마에 온몸이 찢어져라 괴로웠던 적도 있지만, 이제는 신께 기도합니다. 제게 모를 수 있는 권리를 주십시오.

찾아낸 답이라곤 그것 뿐입니다.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3-10-17 00:21)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20


    절름발이이리수정됨
    가난, 폭력, 병증 등 고통을 수반하는 것들과는 물리적으로든 정신적으로든 멀어지는 것이 개인의 차원에서 건강을 유지하는 현명한 방법입니다. 하지만 모두가 부조리에 눈을 감는다면, 계속 어느 구석에서 비명 소리가 구조화 되어 끊이지 않겠지요. 그러니 그런 문제에 도전하는 이들을 존경하고, 그들이 전방에서 사회와 시스템을 더 발전시키기 위해 싸우는 것을 후방에서 지원하는 형태가, 충분히 견고하지 못한 개인들에게 적당할 것입니다. 괴로움에 사무치지도, 철저히 외면하지도 않고 살아갈 수 있는 간격은 분명히 있습니다. 단 그 영역이 너무 협소하고 외줄타기 같아 견디기 힘들다면, 스스로를 지키는 것을 우선시하시는게 맞습니다. 스스로를 지키는 것에는 누구의 허락을 구할 필요도, 권리를 찾을 필요도 없습니다. 그래도 괜찮습니다.
    20
    골든햄스
    감사합니다 선생님…… 역시 홍차넷 선생님들은 길을 아시는군요
    공적 시스템은 아니지만 홍차넷이라는 시스템을 운영하다보니 '나 힘들다고!' 소리지르는 회원들에게 제재를 주면서 '그래도 공격적인 말로 하면 안됩니다'를 가이드해야 하는 입장에 서게 되더라고요.
    전장연의 지하철 시위에서 볼 수 있듯이 사람들은 나에게 불편을 주는 호소에는 관대하지가 않고요.
    그런 현실에서 어려운 이들과의 연대는 어떻게 할 수 있는걸까 고민해보게 됩니다.
    10
    골든햄스
    이미 홍차넷은 훌륭합니다… (어쩐지 계속 나 힘들다고 소리 질렀으나 제재를 안 받은 1인…)
    농담이고 이렇게 고민한다는 것 자체가 중요한 것이구나 새삼 느끼는군요 너무나도 무책임한 답이지만.. 드라마 나의 아저씨에서 이지안이 자기를 연민해 다가온 사람도 다들 몇 번 이상은 못 버텼다 하는데 저는 그 몇 번을 이용해 살아온 사람 같아요 이 사람이랑 놀다가 저 사람이랑 놀다가.. 옮겨가면서ㅋㅋㅋ 지구는 넓고 사람은 많으니까..(응?)
    그런 의미로다가 가끔 한 번씩 더 기회를 주는 것만으로도 나은 거 같기도 합니다.. 내가 너를 온전히 책임질 순 없어도 이 1분은 네 이야기를 듣는 데 쓰겠다는 자세지요.. 이미 홍차넷은 그런 의미서 충분한 공간이고요..
    하지만 어째서인지 그 힘든 시절을 겪고도 너흰 이래서 안돼 난 성공했어!! 하며 계층가르고 위로는 못해줄 망정 무시하고 혐오하는 정서가 만연하게된 이 세대...이 시대.
    2
    각자도생의 시대.... ㅠㅠ
    바이엘(전문가)

    으르신들과 일을 많이하는
    제 처세술입니다
    바이엘(전문가)

    일단 무릎이 유연해야됩니다
    1
    골든햄스
    든든합니다
    하마소
    생존이 최우선의 목표여야 하는 이들이 그 생존을 체득하기에 현 사회 전반이 이를 허락하지 않는다는 느낌을 꽤 받읍니다. 이를테면 공공의 질서 내의 시스템이 허용하는 시민의 범위는 꽤나 높은 수준의 고등교육을 받은, 그래서 모르는 것에 자책을 넘은 수치심을 지녀야 하는, 그래서 그 범주를 벗어난 이들에게 당신 자신의 부주의라며 아낌없는 질책을 가할 수 있는 이들처럼 보이는 현실이 그렇죠. 수급 지원 자격을 행사하기 위해서도, 흔한 상식 논쟁에서 힐난의 대상이 되지 않기 위해서도 그리고 사회 동력의 저해범으로 낙인찍혀 비난당하지 않기 ... 더 보기
    생존이 최우선의 목표여야 하는 이들이 그 생존을 체득하기에 현 사회 전반이 이를 허락하지 않는다는 느낌을 꽤 받읍니다. 이를테면 공공의 질서 내의 시스템이 허용하는 시민의 범위는 꽤나 높은 수준의 고등교육을 받은, 그래서 모르는 것에 자책을 넘은 수치심을 지녀야 하는, 그래서 그 범주를 벗어난 이들에게 당신 자신의 부주의라며 아낌없는 질책을 가할 수 있는 이들처럼 보이는 현실이 그렇죠. 수급 지원 자격을 행사하기 위해서도, 흔한 상식 논쟁에서 힐난의 대상이 되지 않기 위해서도 그리고 사회 동력의 저해범으로 낙인찍혀 비난당하지 않기 위해서도. 그저 법을 유형화와 분리의 수단으로 놓고 삼기에는 사회의 미덕이라 불리는 행위 전반이 이러한 동력으로 가득하지요.

    그런 측면에서 생각해볼 때, 생존이 목표이던 시기로 인해 뒤쳐진 사회와의 조우 및 교육을 삶의 현장으로 일컬어지는 날 것의 무대에서 진행됨이 옳은 지를 떠나 가능한 지에 대해서는 생각해볼 필요가 있읍니다. 물론 그 기능이 원활히 동작하지 않기에 일어나는 악순환은 필시 문제겠지만. 어쨌든 그 어떤 부침도 기다려주지 않기 위해 애써온 사회에 그대로 둔 채 또 한 번의 기회를 부여하는 건 그 자체로 가혹하죠. 우리가 한 인생의 재활을 위해 모든 것이 될 필요는 없읍니다. 사실 모든 것이 될 수가 없고요. 다만 지금 당면한 과업이 그 모든 과정을 위해 필요한 일련의 단서가 될 수 있음은 생각하기에 달린 문제같아요. 그러니, 그 마음 간직하시고 괴로움은 조금 덜어둔 채 앞으로 걸어나갈 수 있기를.
    1
    골든햄스
    이 일이 제게 단서가 될 수 있기를. 아멘.
    비슷한 생각을 갖고있는데, 글로 잘 풀어주셨네요. 덕분에 저도 어느정도 생각을 정리하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저 나름대로는 '생자에 대한 갑질' 정도로 정의했었습니다. '그렇다고 살아있기 전으로 돌아갈 순 없잖아?' 라는, 뒤가 없음을 뻔히 알고도 구는 일종의 갑질이죠.
    문제는 뭐냐면, 이를 되돌릴 수 있는 기회가 있는데, 바로 2세 생산이죠. 여기서 피해자들이 기다렸다는듯, 태어나지 않을 권리를 행사합니다. 공동체에 대한 믿음이 붕괴된 사회에서 최후의 연대가 되버린 셈이죠.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50 일상/생각아보카도 토스트 개발한 쉐프의 죽음 10 Soporatif 23/12/31 2655 19
    1349 문화/예술커버 댄스 촬영 단계와 제가 커버 댄스를 찍는 이유. 6 메존일각 23/12/25 2482 15
    1348 기타만화)오직 만화만이 할 수 있는 것. 아트 슈피겔만의 <쥐> 1 joel 23/12/24 2677 12
    1347 일상/생각빙산 같은 슬픔 10 골든햄스 23/12/17 2674 37
    1346 기타스몰웨딩 하고싶은 티백들에게-2 4 흑마법사 23/12/16 2409 8
    1345 정치/사회한국 철도의 진정한 부흥기가 오는가 31 카르스 23/12/16 3600 7
    1344 일상/생각비오는 숲의 이야기 38 하얀 23/12/14 3108 56
    1343 정치/사회지방 소멸을 걱정하기에 앞서 지방이 필요한 이유를 성찰해야 한다. 42 Echo-Friendly 23/12/05 4305 18
    1342 일상/생각이글루스의 폐쇄에 대한 잡다한 말들. 10 joel 23/12/03 3073 19
    1341 꿀팁/강좌스몰웨딩 하고싶은 티백들에게-1 31 흑마법사 23/11/30 3390 23
    1340 경제주식양도소득세 정리(2022. 12. 31. 법률 제19196호로 일부개정된 소득세법 기준) 7 김비버 23/11/22 3055 8
    1339 체육/스포츠JTBC서울국제마라톤 후기 10 영원한초보 23/11/09 2460 22
    1338 기타2023 걸그룹 5/6 5 헬리제의우울 23/11/05 2813 12
    1337 일상/생각적당한 계모님 이야기. 10 tannenbaum 23/10/30 3050 48
    1336 여행북큐슈 여행기 1 거소 23/10/15 2526 9
    1335 역사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을 알기 위한 용어 정리. 2편 6 코리몬테아스 23/10/14 2845 12
    1334 역사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을 알기 위한 용어 정리. 1편 17 코리몬테아스 23/10/12 3250 27
    1333 일상/생각살아남기 위해 살아남는 자들과 솎아내기의 딜레마 12 골든햄스 23/10/01 3590 20
    1332 일상/생각나의 은전, 한 장. 6 심해냉장고 23/09/30 3104 24
    1331 꿀팁/강좌귀농하려는 청년들에게 (시설하우스 기준) 18 바이엘(전문가) 23/09/27 3131 8
    1330 일상/생각아내는 아직 아이의 이가 몇 개인 지 모른다 2 하마소 23/09/25 3013 21
    1329 기타여름의 끝자락. 조금 더 자란 너 7 쉬군 23/09/14 2584 26
    1328 과학체계화된 통빡의 기술 - 메타 휴리스틱 13 서포트벡터 23/09/14 3366 26
    1327 문학트라우마는 어떻게 삶을 파고드는가 - 폴 콘티 골든햄스 23/09/14 2638 19
    1326 일상/생각현장 파업을 겪고 있습니다. 씁슬하네요. 6 Picard 23/09/09 3361 16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