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25/06/18 11:23:21
Name   사슴도치
File #1   IMG_20240918_215728_877.jpg (152.6 KB), Download : 4
Subject   [사진]을 찍는다는 것


사진을 찍는다는 건 결국, 세계를 다시 조율하는 일이다. 그것은 ‘보는 것’ 이상의 감각이다. 낯익은 세계의 질서를 의심하고, 그 안의 구조를 다시 설계하려는 시도다. 내가 좋아하는 방식은 ‘낯설게 하기’다. 평범한 사물, 아무 의미도 없어 보이는 풍경, 무심하게 지나쳤던 빛과 그림자의 각도. 그 모든 것을 다시 들여다보게 만드는 시선. 낯섦은 보는 이로 하여금 멈추게 하고, 질문하게 만든다. 이건 어디지? 왜 이런 구도지? 무엇이 잘렸고, 무엇이 강조되었나?

그 중심에는 파인더라는 장치가 있다. 나는 파인더를 통해 공간을 자른다. 그것은 단순한 기록이 아니라, 선택과 배제의 연속이다. 현실은 끊임없이 연속되어 있지만, 사진은 그것을 끊는다. 파인더는 마치 메스처럼 공간을 가르고, 하나의 단면을 고정한다. 그 절단면은 사실 ‘현실’이 아니라, 이미 내 시선의 조작을 거친 허구이다. 내가 보고 있는 것이 아니라, 보고자 한 것만 남아 있는 구성물이다.

하지만 그 절단은 무작위적이지 않다. 파인더로 공간을 자르는 순간, 나는 무의식적으로 피사체를 재배치한다. 물리적으로 움직이지 않더라도, 내가 어느 위치에서 어느 각도로 보는가에 따라 사물의 위계는 달라진다. 거리와 배경, 빛의 밀도, 그림자의 깊이까지. 피사체는 항상 그 자리에 있었지만, 그 구도에서의 의미는 매번 새롭게 구성된다. 나는 그 배열을 통해 질문을 던지고, 리듬을 만든다. 때로는 아주 사소한 사물이 화면의 중심이 되고, 때로는 의도적으로 사람의 얼굴을 프레임 바깥으로 밀어낸다. 그것은 피사체에 대한 판단이 아니라, 세계를 해석하는 방식의 선택이다.

피사체의 재배치는 곧 세계의 재구성이다. 현실에서는 눈길조차 주지 않았던 사물이, 사진에서는 하나의 상징처럼 떠오른다. 그것은 물건이 아니고 메시지이고, 단순한 구조물이 아니라 감정의 지지대가 된다. 정지된 이미지 안에서 사물은 말 없는 은유가 되고, 감상자에게는 해석의 실마리를 제공한다. 그리고 그 순간, 사진은 ‘타자의 것’이 된다. 내가 찍었지만, 더 이상 나의 것이 아니다. 나는 단지 그 장면을 통과했을 뿐이고, 그 이미지는 스스로의 질서를 가지고 감상자와 만난다.

감상자는 그 재배치된 구조 속에서, 낯선 감정을 느낀다. 무언가 불편하거나 묘하게 끌리는 장면들. 그 감정의 진원은 설명할 수 없지만, 분명히 감각된다. 왜 이 장면이 나를 멈추게 했는지 알 수 없어도, 우리는 멈춘다. 그리고 그것이 감상자의 참여를 가능하게 한다. 그들은 프레임 속 빈 공간에 자신의 기억과 정서를 밀어넣고, 거기서 자신만의 구도를 만들어낸다. 사진은 그처럼, 찍는 자와 보는 자의 공간이 어긋나면서 맞물리는 하나의 ‘만남’이다.

그래서 나는 다시 카메라를 들고 나간다. 익숙한 공간을 잘라내고, 고정된 피사체를 흔들고, 스스로의 감각을 낯설게 만든다. 찍을 만한 것이 있는가를 묻기보단, 찍는 내가 무엇을 보고 있는지를 되묻는다. 그 모든 과정은 결국, 세상을 어떻게 구성하느냐는 선택의 문제이고, 동시에 내가 누구인가를 묻는 일이기도 하다.

어쩌면 사진은 어떤 진실을 포착하는 것이 아니라, 진실을 '편집'해 나가는 과정인지도 모른다. 나는 그 프레임 안에서 질문을 던지고, 감정을 놓고, 질서를 흔든다. 그렇게 세계는 다시 조율되고, 나는 그 조율의 틈에 머문다. 낯설게 바라보고, 잘라내고, 다시 배열함으로써. 사진은 그렇게, 늘 현실보다 반 발짝 느린 감각으로 나를 기다리고 있다.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5-06-29 21:29)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0
  • 네모반듯한 사진 넘모 좋읍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77 기타의외로 잘 알려지지 않은 생산직들의 급여체계 10 Picard 25/06/27 1099 21
1476 기타2030, MZ세대, 청년 어쩌구를 더 이상 말하면 안 되는 이유 15 구밀복검 25/06/28 1647 23
1475 기타읽었다는 증거, 말하지 못한 말 – 응답의 심리와 소통의 변질 9 사슴도치 25/06/19 841 19
1474 기타[사진]을 찍는다는 것 6 사슴도치 25/06/18 485 10
1473 기타교통체계로 보는 경로의존성 - 1 6 루루얍 25/06/11 791 16
1472 기타개표 참관 후기 7 dolmusa 25/06/04 1058 19
1471 기타내란 밤 이야기 거소 25/06/03 861 39
1470 과학전자렌지에 대하여 32 매뉴물있뉴 25/05/19 2032 17
1469 체육/스포츠축구에서 공간을 숫자로 해석해보기. 10 joel 25/05/16 1453 25
1468 정치/사회민중당, 정의당, 민주노동당. 13 마키아토 25/05/12 2459 21
1467 일상/생각사진 촬영의 전문성을 인정하자는 것. 12 메존일각 25/05/11 1489 18
1466 정치/사회중대재해처벌법은 악법인가 32 당근매니아 25/05/08 2340 27
1465 기타백종원 사태에 대한 생각 17 Daniel Plainview 25/05/07 2478 20
1464 기타광명역에서 세 번의 목요일, 그리고 어머니 22 그런데 25/05/05 1382 52
1463 정치/사회양비론이 가소로워진 시대 1 meson 25/05/01 1471 11
1462 음악탐라를 지키는 100명의 회원들 68 토비 25/04/29 2523 38
1461 꿀팁/강좌4. 좀 더 그림의 기초를 쌓아볼까? 6 흑마법사 25/04/22 1046 19
1460 일상/생각초6 딸과의 3년 약속, 닌텐도 OLED로 보답했습니다. 13 큐리스 25/04/21 1594 31
1459 기타요즘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AI툴들 13 kaestro 25/04/19 1631 18
1458 기타코로나세대의 심리특성>>을 개인연구햇읍니다 16 흑마법사 25/04/15 1404 11
1457 꿀팁/강좌3. 다양한 사람과 다양한 감정 36 흑마법사 25/04/08 1672 20
1456 체육/스포츠90년대 연세대 농구 선수들이 회고한 그 시절 이야기. 17 joel 25/04/11 1844 9
1455 기타계엄 선포 당일, 아들의 이야기 6 호미밭의파스꾼 25/04/04 1839 38
1454 꿀팁/강좌2. 인스타툰을 위한 초보적인 기초를 해보자! 12 흑마법사 25/04/02 1237 17
1453 기타만우절 이벤트 회고 - #1. 왜 했나, 왜 그런걸 했나 82 토비 25/04/02 2425 43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