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8/10/16 22:36:13수정됨
Name   메아리
Subject   은탄환의 딜레마
  There is no silver bullet. ‘은탄환은 없다’라는 영어 속담입니다. 문제를 한 방에 해결할 수 있는 마법의 은탄환, 다시 말해서 모든 문제를 일거에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은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아시겠지만, 이 속담의 기원은 늑대인간 전설입니다. 늑대인간을 잡을 수 있는 최적의 솔루션이 바로 이 은탄환입니다. 그런데 은탄환이 없다고 합니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대체 무엇일까요?

  유명한 SW 설계자인 프레드릭 브룩스의 논문 제목이기도 한 이 속담은 SW업계의 금언으로 자리 잡아 있습니다. 브룩스는 이것을 프로젝트에서 발생한 문제를 한 방에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은 없다는 것을 말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대부분의 해결이 힘든 문제는 복합적이기 마련이고 그래서 해결책도 복합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즉, 단 하나의 방책으로 문제가 일소에 해결되는 것은 요원하다는 의미입니다.

  이것은 비단 프로젝트에서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우리의 삶도 마찬가지입니다. 삶은 사실상 문제의 연속, 하나의 문제가 해결되기도 전에 다음 문제가 들이닥치기 마련입니다. 혹은 이전 문제의 해결책이라 생각했던 것이 다음 문제의 촉발점이 되기도 합니다. 이러한 삶에서 우리의 문제를 해결해줄 단 하나의 해결책이 있을 리 만무합니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문제가 복잡해지면 복잡해질수록 사람들은 단 하나의 해결책, 은탄환을 바라게 됩니다. 왜냐하면 문제의 해결이 정말로 불가능해 보이기 때문입니다. 절망은 환상을 만들 게 하고 비현실적이 되게 합니다. 그 복잡하고 많은 문제를 해결한다는 것은 정말 힘들기 때문입니다. 그 힘듬, 버거움이 사람들로 하여금 은탄환을 찾게 합니다.

  근대 무렵 인류는 과학기술이 은탄환인 줄 알았습니다. 그 당시 온갖 과학기술들이 인류를 질병과 기아의 위협으로부터 획기적으로 구해낸 것이 사실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지금은 과학기술을 은탄환이라 생각하기엔 무리가 있습니다. 많은 과학기술의 성공이 우리의 삶을 풍요롭고 윤택하게 만든 것은 사실이나, 또 다른 실패의 원인이 되기도 했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문제는 우리가 더 과학적이지 못해서 해결되지 못하는 것이 아니니까요.

  문제는 은탄환 자체에 있다기보다, 은탄환에 대한 바램에 있다고 해야 할 것입니다. 은탄환을 원하는 바램은 은탄환처럼 보이는 무엇을 계속 만들어 내게 합니다. 이 은탄환을 향한 갈망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 오히려 또 다른 유형의 문제를 만들어 내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은탄환의 딜레마입니다. 그러한 갈망이 다른 차원의 문제를 발생시켜 결국 해결책과 더욱 거리를 두게 만들고 만다는 겁니다. 인류의 역사에는 이러한 식의 접근이 상당히 많았습니다. 과학기술에 대한 일부의 맹목적 숭배도 그러한 모습 중 하나였고, 이전 세기의 막시즘, 종교나 신비주의에 대한 맹목적 접근도 마찬가지입니다. 돈과 우상에 대한 숭배 등도 은탄환을 원하는 갈망이라 말할 수 있다. 사실은 과학기술, 막시즘, 종교, 신비주의, 돈, 우상 등, 그 자체에 문제가 있었다기 보다는 그것을 바라보는 사람들의 마음가짐이 문제였던 겁니다.  

  문제가 복합적이고 다층적이면 그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가 약해질 수 있습니다. 갑자기 복합적이고 어려운 수학 문제가 던져지면 그것의 풀이를 쉽게 포기하듯이 말입니다. 은탄환을 원하는 사람들의 갈망이 문제인 이유는 그것이 문제를 일거에 초월해 버리려는 태도의 투사이기 때문입니다. 앞서 말했듯이, 그런 갈망은 문제 자체도 해결하지 못할 뿐 아니라 그 문제와는 다른 방향의 문제를 더불어 출현시키기도 합니다. 문제가 해결되기를 원하지만 그것의 해결방법으로 은탄환을 원하면 원할수록 문제는 더 복잡해지게 됩니다. 의도만으로는 소용없습니다. 더불어 수단도 적절해야 합니다. 비록 결과는 장담하지 못할지라도 말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떠한 태도를 취해야 할까요? 해봐도 소용없을 테니 일찌감치 포기하는 게 맞는 걸까요? 마치 수학시험에서 모르는 문제는 과감히 포기하고 아는 문제에 집중하는 식으로 말입니다. 그게 아니라면 우린 문제와 그 해결책에 대해서 어떤 태도를 취해야 하는 걸까요?

  은탄환이 없다라는 것을 인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사실에 대한 인정은 중요합니다. 그래야 더 이상 은탄환을 찾으려 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러한 과정을 거쳐 있지도 않은 은탄환을 찾는데 에너지를 쏟는 대신에 좀 더 현실적이고 도움이 되는 솔루션을 찾는데 집중할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태도는 적어도 있지도 않은 은탄환에 대한 갈망으로 생기는 문제는 피할 수 있게 합니다. 그리고 직면한 문제 그 자체에 집중할 수 있게 됩니다. 모든 문제를 예측하고 한방에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은 없습니다. 사회, 그리고 개인의 문제 역시 복합적이고 다층적이기 때문에 결코 쉽고 간단하게 해결될 수 없습니다. 다시 말해서, 초월적 해결방법은 없다는 것입니다. 초월은 해결방법이 될 수 없습니다.

  우리는 확실하게는 아니지만 어렴풋이 경험적으로 알고 있습니다. 삶에 은탄환이 없다는 사실을요. 하지만 안다는 것과 바란다는 것은 다른 차원입니다. 은탄환이 없다는 사실을 알긴 하지만 동시에 은탄환이 있기를 바라기도 합니다. 양가(楊家)적입니다. 그 어려움을 다 견뎌내기 힘들기 때문에 우리의 삶에 그런 마법적 해결책이 있었으면 합니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 중에 하나는 문제를 인정하고 그 문제가 해결되기까지 문제가 주는 어려움을 견뎌내는 힘이라 할 수 있습니다. 우리에게 주어진 시간을 너무 짧게 볼 필요가 없습니다. 어려운 문제를 어려운 문제로 인정하고 그 어려움을 견디면서 풀어나가는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그 ‘견딜 수 있게 해주는 힘’은 무엇일까요? 무엇이 우리를 그 어려움에서도 견딜 수 있게 해줄까요?

* Toby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8-10-31 11:06)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24
  • 명탐정코난에서 은탄환얘기가 나오더니 이런얘기였군요
  • 좋은 이야기 감사합니다.
  • 곱씹어보게 되는 글 감사합니다
  • 아 .. 이가슨 탐 조은 글입니다
  • 좋은 글 입니다.
  • 공감합니다.
  • 좋은 글 감사합니다.


CONTAXS2
회의때 써먹어야겠다!
뭔지 너무 알고싶네요. 그게 뭔지...
곰돌이두유
희망이요. 내일은 오늘보다 나을 거라는 희망.
절름발이이리
대개는 해결책과 무관하게 견딜만한 문제를 견디는 것이지요.
레지엔
은탄환이 없을 경우 축성받은 말뚝을 사용하거나 심장을 꺼내고 목을 자르거나 알파를 찾아서 죽이고 알파의 피를 먹이는 방법이 있...
두번째 문단 발췌해서 개인적으로 가지고있어두 되겠읍니까?? 요즘 너무 공감가서 배경사진으루 쓰고싶네욤 ㅜ
맥주만땅
하지만 우리는 은탄환을 가지고 있다는 정치인에게 표를 주고 은탄환을 쏴 보라고 하지요.

그 탄환이 누구를 죽일지는 모르지만....
""현실을 설명하는 유일무이한 방법은 없다.
(There is no unique picture of reality.)"

호킹이 한 말이라고 합니다. 일맥상통하는 이야기로군요, 인식론과 방법론의 차이는 있습니다마는.
곰곰이
구구절절 와닿습니다. 여러 번 다시 읽어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복잡한 문제에 대한 복잡한 해결책을 찾고 거기서 촉발된 또 다른 문제에는 또 다른 해결책이 필요하고, 그렇게 우주의 엔트로피는 조금 더 증가하고, 인류는 소멸의 길에 한걸음 더 다가서게 되는 걸까요? 흐흐흐
문제에 마주했을 때 견디지 못하고 도망가거나, 도망갈 수 없는 문제 앞에서 이른바 '마음이 무너진 사람들'이 생기는 반면 그렇지 않은 사람들이 항상 있어왔고 이들에 대한 논의는 영웅과 인내에 관한 오래된 떡밥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역경이나 어려운 문제 내지는 스트레스 상황에 부딪혔을 때 이 문제에 맞서 해결해보려는 속성을 자아탄력성이라 하는데, 이게 가정에서 신뢰와 지지를 받고 자란 사람에게 높게 나온다고는 하는데 막상 주변 사람들을 보면은 온갖 역정을 겪으면서 자란 사람들이 문제를 더 잘 견디는 것 같은 느낌도 듭니다;;

이도저도 아니면 유전자탓(...)으로 몰고 가서 태어날 때마다 고통의 역치값이 다른 걸지도 모르겠다고 결론을 내려야 할 지도 모르겠습니다.
칼라제
제가 특정 이데올로기를 신봉하는 사람들을 싫어하는데 그 이유를 잘 얘기해주셨네요.
BlazePsiki
아 설마 Brooks' law 이야기려나 하고 들어왔더니 진짜 그렇네요.
뭐 OOP가 처음 정립될 8~90년대 당시에는 이게 Silver Bullet일거라고 예측했ek는 말을 수업시간에 듣기도 했습니다만 지금 상황은(...)
Drawing is Seeing in the Art dimension이라는 말을 바꾸어 Designing is Seeing in the Programming dimension이라고 말씀하신 교수님의 말을 듣고는 과연 제가 잘할수 있는지 참 의문이 들었더랬죠. 지금도 마찬가지입니다만...
영원한초보
최근 본 영화 퍼스트맨과도 겹치는 부분이있네요.
달착륙의 추진력은 누구에게는 이데올로기 전쟁 도구였을 테지만
누구에게는 삶에 대한 갈망이였을 수 있듯이요.
왜 산에 올라갔냐고 묻는 다면 그냥 그래야 될 것 같아서가 가장 강력한 동기일지 모릅니다.
1
무엇이 우리를 그 어려움으로부터 견디게 만드느냐? 는 질문은 글쎄요.
왜 어떤 사람은 어려운 걸 인정하고 그걸 견디며 일을 하고, 그렇지 못한 사람은 왜 안그러는가?
이거야말로 복잡한 질문이네요. 이 질문에 대해서는 은탄환이 없는 것이 확실합니다.
그래도 가장 비슷한 동탄환이라면 멘탈?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16 철학/종교비 내리는 진창을 믿음으로 인내하며 걷는 자. 8 심해냉장고 24/10/30 1464 21
1077 철학/종교사는 게 x같을 때 떠올려보면 좋은 말들 34 기아트윈스 21/04/02 8378 31
1018 철학/종교타이완바 세계사중국편 (5.4운동) 6 celestine 20/10/15 4885 11
1004 철학/종교나이롱 신자가 써보는 비대면예배에 대한 단상 14 T.Robin 20/08/31 5338 6
994 철학/종교최소한 시신은 없었다 6 아침커피 20/08/10 5669 17
981 철학/종교자제력, 지배력, 그리고 이해력 13 기아트윈스 20/07/10 6634 30
757 철학/종교율법주의 : 최후의 유혹 34 구밀복검 19/01/11 9049 28
742 철학/종교인생은 아름다워 22 기아트윈스 18/12/08 7926 50
717 철학/종교은탄환의 딜레마 15 메아리 18/10/16 7957 24
653 철학/종교칸트 전집 번역 논쟁은 왜때문에 생겼나. 76 기아트윈스 18/06/28 8837 16
605 철학/종교감동(感動) 23 기아트윈스 18/03/22 7815 31
596 철학/종교옛날 즁궈런의 도덕관 하나 6 기아트윈스 18/02/23 7155 21
592 철학/종교푸코의 자기 배려와 철학상담(1) 3 메아리 18/02/11 6929 10
591 철학/종교한국 사회주의의 역사적 기원과 종말. 9 quip 18/02/11 8465 18
501 철학/종교정상영웅 vs 비정상영웅 93 기아트윈스 17/08/26 10557 25
335 철학/종교산타가 없다는 걸 언제쯤 아셨어요? 51 기아트윈스 16/12/30 8477 11
268 철학/종교다윗왕과 밧세바 이야기 구약 시대의 가장 큰 섹스 스캔들 20 기쁨평안 16/09/21 10592 14
261 철학/종교손오공과 프로도 배긴스 32 기아트윈스 16/09/04 8633 18
253 철학/종교주디 버틀러가 말하는 혐오언어의 해체 75 눈부심 16/08/21 11032 3
162 철학/종교매너의 진화 11 눈부심 16/02/28 7885 7
130 철학/종교과학의 역사로 읽어보는 형이상학의 구성과 해체 30 뤼야 15/12/13 8830 5
53 철학/종교보수, 진보, 도덕, 공리주의 23 눈부심 15/07/27 10518 0
14 철학/종교[서평] 빅데이터 시대 : 알고리즘적 자아와 존재론적 위기, <만물의 공식> 4 그녀생각 15/06/07 10534 1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