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1/09/04 20:19:01 |
Name | ![]() |
Subject | 예식장 뷔페는 왜 맛이 없을까? |
무스쿠스라는 씨푸드 뷔페가 있었습니다. 출시 초기에는 가격도 상당히 쎄고 퀄리티도 나쁘지 않았습니다. 아마 당시 가격이 4만원이 넘었을 거에오. 부가세 별도. 한 10년전 이야기입니다. 그 때 예식장 김사장님은 뷔페 식당 조사를 다니면서 서울시내 곳곳의 예식장 뷔페와 호텔 뷔페를 곳곳 돌아다녔습니다. 보통 아내분이랑 같이 가셨지만 아들을 데리고 갈 때도 있었죠. 그 떄 김사장 자제분이 김사장님께 물었답니다. "아빠, 근데(무스쿠스) 여기는 왜 식대가 1인 4만원인데 지난 번 가본 OO예식장보다 훨씬 더 맛있어?" OO예식장은 강남에 위치한 한 예식장이었는데 정말 밥이 맛이 없었습니다. 식대는 10년 전인데도 5만원에 육박했죠. 근데 진짜 맛이 없었어요 그러자 김사장님은 친절하게 세 가지 이유가 있다고 설명했죠 1. 예식장 임대료 등등이 식대에 포함돼 있는 것 2. 점점 식 하나당 인원수가 줄고 있는 점 3. [신랑신부는 밥을 먹을 일이 없기 때문] 입니다. 1. 결혼 해보신 분들은 모두 아시겠지만 예식장 임대료는 정말 얼마 안 됩니다. 그럼 예식장들은 다 돈을 어디서 버냐? 당연히 식대로 법니다. 밥에서 남기는 거죠. 그러니 식대 비용이 같아도 일반적인 뷔페 음식점보다 퀄리티가 낮을 수밖에 없죠 2. 그래도 예전에는 식 하나당 400~500명씩 오니까 박리다매 정신으로 가면 퀄리티가 그렇게 나쁘지 않았죠. 하지만 요즘 예식장은 그렇게 사람 많이 안 옵니다. 당장 10년 전에 비하면 예식장 의자 개수부터 확연히 줄어든 게 보이죠. 많이 팔면 식대가 낮아도 퀄리티 유지가 더 용이한데, 뷔페 식당에서 사람 수 줄어들면 치명타입니다... 음식 회전률도 떨어지고... 3. 이게 가장 핵심입니다. 신랑 신부는 그날 밥 안 먹어요 신랑 신부가 밥 먹을 시간이 어딨습니까. 그날아침부터 메이크업이랑 드레스 하고 정신없고 신랑신부는 손님 맞아야 되고 식 시작하고 식 끝나면 축의금 받고 식대 계산해야죠? 폐백도 해야죠? 그날 부부는 절대 절대 절대 밥을 먹을 시간이 없습니다. 그렇다고 신랑신부 앞에서 밥 맛없다고 할 사람도 없구요. 어차피 한 번 먹고 말 밥이라고 생각하는 거죠. 어떻게 보면 육군훈련소 앞 식당과도 비슷한 면이 있습니다. 그리고 예식장 정하기 전에 신랑신부가 미리 와서 구경할 때 뭐 보나요? 식장 보죠? 밥 봅니까? 밥 구경하려면 토일 프라임타임에 와서 돌아다니면서 비교해야 되는데 그렇게 하는 신랑신부가 어디 있습니까. 거의 없죠 (아무도 없다고 하지 않는 건 실제로 김사장네 예식장에 밥 비교해서 먹어보고 결정한 신부가 있었다는 사례가 있어서 그렇습니다) 또 이유가 있다면 옛날에는 뷔페 식당이라는 것 자체가 생소한 문화였기 때문에 예식장과 비교할 만한 뷔페 식당이 별로 없었지만 요즘은 정~~~말 널리고 널린 게 뷔페 식당이라는 문제도 있구요. 그래서 예식장 뷔페는 가격에 비해 맛이 없습니다. 물론 결혼해보신분, 식장 많이 가보신 분들이면 모두 알만한 내용이지만 그냥 한 번 써봤습니다. ㅎㅎ 결론은 그래서... 호텔 예식 하세요. 1
이 게시판에 등록된 Cascade님의 최근 게시물
|
예식 전에 신랑신부 시식하기는 합니다.
호텔이라고 가격에 비해 딱히 더 맛있고 그렇지는 않습니다.
그래도 워낙 단가가 쌔니 호텔도 다른 행사보다 결혼식을 선호하더군요.
도시락 하나 7-8만원 받는 행사보다 결혼식이 더 많이 남는 모양이더군요.
호텔이라고 가격에 비해 딱히 더 맛있고 그렇지는 않습니다.
그래도 워낙 단가가 쌔니 호텔도 다른 행사보다 결혼식을 선호하더군요.
도시락 하나 7-8만원 받는 행사보다 결혼식이 더 많이 남는 모양이더군요.
신랑신부가 밥을 비중에 안두고 예식장을 결정하든 말든은
그건 신랑신부가 그날 밥을 안먹고와는 무관하다는 겁니다.
그냥 신랑신부가 시식을 하고 결정하는걸 모르셨던거같은데
왜 이렇게 글이 길어지는지 모르겠네요
그냥 첫 댓글로 충분했습니다.
그건 신랑신부가 그날 밥을 안먹고와는 무관하다는 겁니다.
그냥 신랑신부가 시식을 하고 결정하는걸 모르셨던거같은데
왜 이렇게 글이 길어지는지 모르겠네요
그냥 첫 댓글로 충분했습니다.
저 결혼한데서 하시면 축의금 내고 결혼식 갈께요. 결혼하고 “형 결혼한 예식장 부페 진짜 맛있었는데” 이런말 몇번 들었습니다. 제 식장 선택의 기준은 음식과 대중교통뿐이었습니다
제가 아는 상식과 많이 다른데 일반적인 결혼을 한다면 식장 선택의 가장 큰 요소가 교통과 주차 그리고 식사입니다. 사실 식장이 저게 다죠 뭐. 그래서 식장 고를때 투어하면서 미리 뷔페 먹어보고 최소한 어떻게 나오는지는 둘러봅니다. 계약전엔 뷔페 안주는곳도 있지만...
그리고 예식 후 밥먹는 신랑신부 흔합니다. 축의금이랑 식대계산은 보통 가족이 하고 그리 오래 걸리는일도 아닙니다. 신행시간이 촉박하지 않다면 다 밥먹고 갑니다.
식장이야 거기서 거기기 때문에 가격과 교통과 주차만 성에 찬다면 식사야 그냥저냥 만족하고 계약합니다. 애초에 큰 기대치가 없기 때문에 아주 나쁘지만 않으면 계약하는거죠.
비싼 호텔예식은 다를수도 있겠지만요.
그리고 예식 후 밥먹는 신랑신부 흔합니다. 축의금이랑 식대계산은 보통 가족이 하고 그리 오래 걸리는일도 아닙니다. 신행시간이 촉박하지 않다면 다 밥먹고 갑니다.
식장이야 거기서 거기기 때문에 가격과 교통과 주차만 성에 찬다면 식사야 그냥저냥 만족하고 계약합니다. 애초에 큰 기대치가 없기 때문에 아주 나쁘지만 않으면 계약하는거죠.
비싼 호텔예식은 다를수도 있겠지만요.
다들 언급하셨지만 3번은 진짜 잘못된 답변입니다.
상당수 기혼자들이 예비 부부들에게 말하는 예식장 선택의 가장 중요한 점은 식사와 교통입니다.
(주차장 포함)
예식장도 이걸 알기 때문에 대부분 계약하기 전에 식사 할 수 있습니다.
또 예식장 위치에서 중요한 부분 중 하나가 양가 혹은 한쪽 부모님의 거주지입니다.
(하객 대부분은 부모님 손님이고, 양가가 가까운 경우면 베스트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한쪽에 가까운 곳을 잡고, 다른 한쪽은 버스를 대절하죠.)
그리고 양가 부모님은 혼주석이라고 해석 따로 자리를... 더 보기
상당수 기혼자들이 예비 부부들에게 말하는 예식장 선택의 가장 중요한 점은 식사와 교통입니다.
(주차장 포함)
예식장도 이걸 알기 때문에 대부분 계약하기 전에 식사 할 수 있습니다.
또 예식장 위치에서 중요한 부분 중 하나가 양가 혹은 한쪽 부모님의 거주지입니다.
(하객 대부분은 부모님 손님이고, 양가가 가까운 경우면 베스트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한쪽에 가까운 곳을 잡고, 다른 한쪽은 버스를 대절하죠.)
그리고 양가 부모님은 혼주석이라고 해석 따로 자리를... 더 보기
다들 언급하셨지만 3번은 진짜 잘못된 답변입니다.
상당수 기혼자들이 예비 부부들에게 말하는 예식장 선택의 가장 중요한 점은 식사와 교통입니다.
(주차장 포함)
예식장도 이걸 알기 때문에 대부분 계약하기 전에 식사 할 수 있습니다.
또 예식장 위치에서 중요한 부분 중 하나가 양가 혹은 한쪽 부모님의 거주지입니다.
(하객 대부분은 부모님 손님이고, 양가가 가까운 경우면 베스트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한쪽에 가까운 곳을 잡고, 다른 한쪽은 버스를 대절하죠.)
그리고 양가 부모님은 혼주석이라고 해석 따로 자리를 마련해두고, 당연히 식사를 하시며, 이미 동네 결혼식장 음식 맛은 파악하고 계시기 때문에 진짜 맛없는 곳은 선택하기 어렵습니다.
(물론 자녀들의 선택을 존중하시만, 의견을 내시죠. 그리고 부모님이 완전 반대하는 곳은 당연히 선택하기 어렵습니다.)
그리고 저희는 예식장에서 밥도 먹었습니다. 신행이 다음날 출발이고, 새벽 5시부터 준비, 12시 결혼식 시작해서 모든 예식이 3시쯤 끝났는데, 완전 진빠진 상태에서 밥 먹었습니다.
상당수 기혼자들이 예비 부부들에게 말하는 예식장 선택의 가장 중요한 점은 식사와 교통입니다.
(주차장 포함)
예식장도 이걸 알기 때문에 대부분 계약하기 전에 식사 할 수 있습니다.
또 예식장 위치에서 중요한 부분 중 하나가 양가 혹은 한쪽 부모님의 거주지입니다.
(하객 대부분은 부모님 손님이고, 양가가 가까운 경우면 베스트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한쪽에 가까운 곳을 잡고, 다른 한쪽은 버스를 대절하죠.)
그리고 양가 부모님은 혼주석이라고 해석 따로 자리를 마련해두고, 당연히 식사를 하시며, 이미 동네 결혼식장 음식 맛은 파악하고 계시기 때문에 진짜 맛없는 곳은 선택하기 어렵습니다.
(물론 자녀들의 선택을 존중하시만, 의견을 내시죠. 그리고 부모님이 완전 반대하는 곳은 당연히 선택하기 어렵습니다.)
그리고 저희는 예식장에서 밥도 먹었습니다. 신행이 다음날 출발이고, 새벽 5시부터 준비, 12시 결혼식 시작해서 모든 예식이 3시쯤 끝났는데, 완전 진빠진 상태에서 밥 먹었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