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1/09/17 22:43:31수정됨
Name   cummings
File #1   제목_없음.png (1015.1 KB), Download : 41
File #2   제목_없음1.png (1.20 MB), Download : 41
Subject   왕릉 옆에 무허가 아파트…3,000채.




왕릉 옆에 무허가 아파트…3,000채 공사 중단
https://youtu.be/ANd8wIYoaXM?t=55
왕릉 옆에 무허가 아파트…3,000채 공사 중단 / SBS



[문화재청 관계자 : 파주 장릉이 인조의 능이잖아요? 봉분에서 정확히 정자로 해서 선을 쭉 긁게 되면 정확히 아버지 산의 아버지 봉분(김포 장릉)을 정확히 바라보고 있어요.]

---------------------------------------------------------------------------------


처음엔 문화재청 - 김포시 - 건설사 간 커뮤니케이션 문제로 생긴 문제고

에이 뭐 3천세대나 입주 예정인 아파트 거의 다 지었는데 어쩌겠어? 싶었는데...

찾아보다보니 생각보다 문화재청 입장에서 쉽게 넘어갈만한 껀수가 아닌것 같네요.





저러한 자리 위치와 산을 보는 경관 자체가 문화유적이다보니

좌우나 다른방향에서 지어진 아파트가 단순히 '왕릉에서 아파트가 보이네?'정도가 아니라

계양산이 보이냐 마냐에 따라서 유적의 가치 자체에 영향을 주게 되는듯 합니다.
(문화재청이 자기들 권한을 남용하거나 꼰대짓 하고있네 싶었는데, 생각보다 심각한 문제인듯;;)



유네스코에서 조선왕릉 등재시켜주면서 훼손된 능역의 원형보존 권고한것 때문에 태릉선수촌도 밀어버렸던걸 생각하면

능역훼손이라고 정말로 부셔야할지도 모르겠어요;;;
(두번째 사진은 장릉에 있는 역사문화관의 설명내용입니다)


애초에 법에서 건설사가 문화재청의 허가를 받아야한다고 되어있는데,
중소건설사가 그러한 법개정 자체를 인지하지 못해서 건너뛰어졌고(1차책임)

김포시청에서도 받아와야 건축허가내준다고 했었어야했는데 얘네들도 몰랐는지 그냥 허가내고 짓기 시작한게 문제인듯한데(2차책임)

건설사 탓이든 시청 탓이든 애꿎은 입주예정자들만 피해를 보게 생긴듯 합니다ㄷㄷㄷ



0


    엄마곰도 귀엽다
    지금 기와얹고 뭐해서 유지시킨다고 하는 기사가 있긴하던데 그런 멍멍이 소리하지 말고
    허물고 다시 지으면 좋겠어요

    입주자 커뮤니티에 이런 글이 도는걸 보니 진짜인가보네요 어휴...
    색칠하고 기와지붕 얹는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닌것같은데;;;;

    입주자 생각하면 어쩔수없나 싶기도 하고, 참 골때립니다... 안좋은 선례가 남을듯.
    개인적으로는 몆 백 년 전 죽은 이 씨 가문의 묘지 경관 문제보다는 입주예정자들의 난처함이 훨씬 크다고 봐서 문화재청이 협조적으로 나올 때 원만히 협의되면 좋겠네요.
    cummings
    계속 찾아보다보니 저러한 경관구성이 애초에 의도했던 바가 아니었던것 같기도 하네요.
    그냥 후대에서 꿈보다 해몽식이었던건가? 중요한게 아닌가? 싶기도 하고=_=;;;
    (오늘 올라온 청와대 청원이 2.8만명 기록중이네요)

    언급하신대로 입주예정자들이 최대한 피해보지 않도록 건설사가 그랜절박고 문화재청 하자는대로 진행되면 좋겠습니다.

    능의 조성 :
    1636년(인조 14), 1649년(효종즉위), 1731년(영조 7)
    능의 구성
    장릉은 조선 16대 인조와 첫 번째 왕비 인열왕후 한씨의 능으로 합장릉의 형식이다. 장릉은 원... 더 보기
    계속 찾아보다보니 저러한 경관구성이 애초에 의도했던 바가 아니었던것 같기도 하네요.
    그냥 후대에서 꿈보다 해몽식이었던건가? 중요한게 아닌가? 싶기도 하고=_=;;;
    (오늘 올라온 청와대 청원이 2.8만명 기록중이네요)

    언급하신대로 입주예정자들이 최대한 피해보지 않도록 건설사가 그랜절박고 문화재청 하자는대로 진행되면 좋겠습니다.

    능의 조성 :
    1636년(인조 14), 1649년(효종즉위), 1731년(영조 7)
    능의 구성
    장릉은 조선 16대 인조와 첫 번째 왕비 인열왕후 한씨의 능으로 합장릉의 형식이다. 장릉은 원래 파주 운천리에 있었다가 1731년(영조 7)에 현재의 자리로 천장하면서 합장릉으로 조성하였다.
    네더라이트
    안좋은 선례는 선례고 그냥 인터넷의 좋은 유희거리중 하나라 생각합니다.
    문화재 보존과 원리원칙 준수라는 유리한 포지셔닝에서 일방적으로 팰수있는 주제인데 얼마나 신나요. 다 지어올라가는 아파트를 박살내 부술수도 이따는 짜릿함과 배째라는 시공사의 배를 째는 쾌감, 그 사이다가 맛보고 싶은거죠. 그리고 피해자라 할 수 있는 입주예정자들도 살짝 안타까워 하는 척 하면서도 뭐 어쩔수 있냐 니들이 잘못 선택한거지 하며 은근 비웃음과 고소함이 숨겨져 있는 유희거리를 즐기는 양상.
    주제를 바꿔가며 양상은 비슷비슷하지만 이번 정의감 오락의 주제... 더 보기
    안좋은 선례는 선례고 그냥 인터넷의 좋은 유희거리중 하나라 생각합니다.
    문화재 보존과 원리원칙 준수라는 유리한 포지셔닝에서 일방적으로 팰수있는 주제인데 얼마나 신나요. 다 지어올라가는 아파트를 박살내 부술수도 이따는 짜릿함과 배째라는 시공사의 배를 째는 쾌감, 그 사이다가 맛보고 싶은거죠. 그리고 피해자라 할 수 있는 입주예정자들도 살짝 안타까워 하는 척 하면서도 뭐 어쩔수 있냐 니들이 잘못 선택한거지 하며 은근 비웃음과 고소함이 숨겨져 있는 유희거리를 즐기는 양상.
    주제를 바꿔가며 양상은 비슷비슷하지만 이번 정의감 오락의 주제는 이거구나 싶네요.

    저 또한 가장 깔끔하고 속시원한 엔딩은 원리원칙 준수하며 깔끔히 부수는 것이 낫다고 생각하지만 주택문제라는게 한국인들에게 극히 예민하고 중요한 문제이고 수천세대의 인생이 엮인 문제가 그렇게 손쉽게 이야기될 주제가 아니기에 발언과 의견표명에 신중함이 기본적으로 갖추어져 있어야 한다 생각하는데요, 그런데 사이다 배찢기를 부르짖는 인터넷 여론중에 과연 얼마나 한국의 문화유산의 가치보존에 관심있어왔고 및 원리원칙이 지켜지는 사회를 위해 철두철미하게 살아왔을까 회의적입니다. 그래서 저는 뭔가 절충안 같은 결론이 나도 그것도 나름 이해가 가고 앞으로는 더 철저한 관리감독으로 같은일니 재발하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정도의 포지션이긴 한데 워낙 정의감에 두들겨맞기 좋은 주제라 이정도 포지션도 위험하기엔 매한가지여서 그냥 이정도만 끄적입니다.
    13
    cummings
    맞는말씀인듯 합니다.
    내가 손해보지 않는 상황에서는 정의감을 발휘하기가 너무나 쉽죠...
    2
    일상생활가능수정됨
    손해보지 않는 상황에서 발휘하는 정의감이 틀린 것도 아니고요. 신념을 지키기 위해 고문을 버티어내는 건 독립투사들 정도는 되어야 할 수 있는 일이니까요.
    syzygii
    다르게 말하면 이런 반응 예상, 기대하고 절충안 찾아줄테니 건설사가 배 째고 지어왔던거라고 볼수도 있죠. 그러니까 배 째야 한다고 할수도 있는거고.
    1
    cummings

    인천광역시
    · 해당 필지는 장릉에서 바라볼 때 삼성쉐르빌 아파트로 인해 문화재 경관에 영향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32m에서 20m로 제한을 강화하는 것은 불합리하며(기 건축된 삼성쉐르빌 아파트로 인해 경관에 영향이 없는
    높이까지는 심의 없이 허용해도 무방하다고 사료됨)
    · 아울러 해당 필지는 검단신도시 개발예정지구로 재산권 행사, 매장문화재의 허용기준 완화 추세를 고려할 때 현행 유지(32m) 또는 완화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하니 검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더 보기
    인천광역시
    · 해당 필지는 장릉에서 바라볼 때 삼성쉐르빌 아파트로 인해 문화재 경관에 영향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32m에서 20m로 제한을 강화하는 것은 불합리하며(기 건축된 삼성쉐르빌 아파트로 인해 경관에 영향이 없는
    높이까지는 심의 없이 허용해도 무방하다고 사료됨)
    · 아울러 해당 필지는 검단신도시 개발예정지구로 재산권 행사, 매장문화재의 허용기준 완화 추세를 고려할 때 현행 유지(32m) 또는 완화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하니 검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제가 화가났던것도 2016년도 문화재위원회 제13차 사적분과위원회 회의록을 보면
    인천광역시에서 해당 필지에 저렇게 건물을 지으면 안된다는걸 알고있었어요.

    그럼에도 서구청이 미쳤던건지 건설사가 미쳤던건지 자기들 마음대로 허가하고 냅다 지어버린거죠.
    그래도 배는 째야죠.
    건설사에 1차 책임이 있는 게 맞고,
    뭔가 일반 국민들이 실수한 걸 관에서 뒤늦게 바로잡아야할 때 봐주는 일 없잖아요.
    저 건물을 그냥 두더라도 허무는 것 이상의 벌금 내게 해야죠.
    2
    syzygii
    현행법으로 허무는것 이상의 벌금이란게 가능은 한가요? 이제와서 특별법이라도 만들거 아니면 법정에서 질질끌다보면 몇천만원 몇억원이 끝이겠죠. 건설사에 적절한 페널티를 주기 위해선 그냥 허무는거 이외의 선택지가 없어요. 그리고 건설사가 명백한 손해를 보는걸 제쳐두고 입주민들이 애매한 이득을 보는것도 냅두면 안됩니다. 구멍을 허용하는게 되면 행정과 법이 대처방법이 없어요. 문화재쪽 창문에 판자라도 대던가..
    syzygii
    공무원 업무 프로세스를 생각하면 인천시는 잘못 없죠. 건설사 100%잘못이죠
    동그라미 치신 부분은
    높이가 20m가 넘으면 공무원 개인판단에 따르지말고
    전문가들과 의논(=심의) 하라는이야깁니다

    해당 조정안에 따라 심의를 거쳐 현상변경허가를 다시 받았겠죠


    그 윗줄 3구역을 보시면 3m이상의 법면 석축 옹벽은 심의 대상입니다
    그럼 같은 논리로 3m이상의 법면이나 구조물을 하지 말아야하는 걸까요?
    회의록이 어떤 내용인지 잘 모르시는 것 같은데 해석을 좀 달아볼까요?

    · 해당 필지는 장릉에서 바라볼 때 삼성쉐르빌 아파트로 인해 문화재 경관에 영향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32m에서 20m로 제한을 강화하는 것은 불합리하며(기 건축된 삼성쉐르빌 아파트로 인해 경관에 영향이 없는
    높이까지는 심의 없이 허용해도 무방하다고 사료됨)

    해석 : 그 땅은 문화재 경관에 영향이 적어 높이제한을 현 32m에서 20m로 '강화'하는 건 "불합리" 하며 경관에 영향이 없을 경우 별도 전문가들의 검토 없이 담당자의 재량으로 허가가 가... 더 보기
    회의록이 어떤 내용인지 잘 모르시는 것 같은데 해석을 좀 달아볼까요?

    · 해당 필지는 장릉에서 바라볼 때 삼성쉐르빌 아파트로 인해 문화재 경관에 영향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32m에서 20m로 제한을 강화하는 것은 불합리하며(기 건축된 삼성쉐르빌 아파트로 인해 경관에 영향이 없는
    높이까지는 심의 없이 허용해도 무방하다고 사료됨)

    해석 : 그 땅은 문화재 경관에 영향이 적어 높이제한을 현 32m에서 20m로 '강화'하는 건 "불합리" 하며 경관에 영향이 없을 경우 별도 전문가들의 검토 없이 담당자의 재량으로 허가가 가능하다


    · 아울러 해당 필지는 검단신도시 개발예정지구로 재산권 행사, 매장문화재의 허용기준 완화 추세를 고려할 때 현행 유지(32m) 또는 완화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하니 검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해석 : 그 땅은 개발이 예정된 땅으로 추세를 고려할 때 한 높이규졍 32m를 유지하거나 아니면 더 높히는 게 타당하다고 생각하니 검토바란다


    이 두 줄은
    그 땅은 경관에 큰 문제가 없어보인다
    현행 높이제한은 32m이며 개발이 예정된 땅이니 더 높히는 것도 괜찮지 않겠냐? 는 이야깁니다
    아마 회의록을 직접 찾아보시지 않으셨을것 같은데, 직접 회의록을 다시 읽어보시면 좋을듯합니다.
    회의록 내용일부를 복사해서 구글검색하시면 금방 나옵니다.

    제가 발췌해온 부분은 문화재위원회의 언급이 아니라
    20m 제한은 너무 과도한것 아니냐? 줄여달라고 [인천시청에서 요청]한 내용을 발췌한겁니다.

    [인천시청측에서 4-1구역에 20m제한이 있고, 그 이상은 개별심의가 필요하다는 걸알고있었다는 증빙자료로서요.]

    문화재청에서는 20m제한을 유지하였고 유지되고있는지에 대한 내용은
    ... 더 보기
    아마 회의록을 직접 찾아보시지 않으셨을것 같은데, 직접 회의록을 다시 읽어보시면 좋을듯합니다.
    회의록 내용일부를 복사해서 구글검색하시면 금방 나옵니다.

    제가 발췌해온 부분은 문화재위원회의 언급이 아니라
    20m 제한은 너무 과도한것 아니냐? 줄여달라고 [인천시청에서 요청]한 내용을 발췌한겁니다.

    [인천시청측에서 4-1구역에 20m제한이 있고, 그 이상은 개별심의가 필요하다는 걸알고있었다는 증빙자료로서요.]

    문화재청에서는 20m제한을 유지하였고 유지되고있는지에 대한 내용은
    http://gis-heritage.go.kr/board/boardAnnPerList.do 여기에서 장릉으로 검색하셔서 4-1구역에 대한 2017년 현상변경허가가 기존대로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결국 [개별심의]대상이어야 할 현재의 4-1구역 아파트를 [개별심의를 받지 않은 채로] 허가와 건설이 진행되었다는게 포인트입니다.

    저도 일반인이라 정확한 일의 진행사정이나 내용은 알지 못하고
    개별심의가 가결되었는지는 모르지만, 문화재청이 이 난리를 피우는걸 보면 개별심의를 받지 않았을거라 생각됩니다.

    오히려 leiru님이 과도한 추측이나 자의적인 해석을 하시는 부분이 있는듯 합니다.
    (ex : 현상변경허가를 다시 받았겠죠, 현행 높이제한은 32m이며 개발이 예정된 땅이니 더 높히는 것도 괜찮지 않겠냐? )
    현상변경허가를 14년에 받은 건 기사에 언급된 팩트입니다

    그 다음줄은 쓴 내용을 그대로 풀어 쓴 거구요

    어디가 자의적 해석인가요? :)
    일상생활가능
    선빵이 모든 역사적 책임을 지는 오늘날 사회의 정의에 따르면 그 귀책은 벼락거지란 단어를 창조하고 유행시킨 이들에게 있을듯 하네요.
    구글 고랭이
    모든 책임은 빅뱅에 있습니다.
    네더라이트님도 깔끔히 부수는 게 맞다하시면서 다른 사람들이 부수라고 하는 건 공격성을 동반한 사이다패스?라 하시는 건 좀..
    대법관
    https://www.wikitree.co.kr/articles/612603
    서울 사람이 아닌터라 이런 아파트가 있는 줄도 몰랐는데 이번 사건을 통해 알게 된 아파트입니다. 이미 지을대로 지은 아파트를 이런 식으로 깎아낸다는 것은 말이 안되지만, 최대한 이런 식의 타협점이라도 찾았으면 해요. 문화재청의 원칙에 의거해서 건설사가 손해를 감내해야한다는 쪽이지만, 내 집 마련의 꿈에 부푼 사람들의 입장이 너무 안타깝습니다.
    cummings
    지어지기 전이라고 하면 낮은 단지를 여러개 만들던가 하는 방법들도 있었을텐데...
    너무 멀리 온 듯 해서 아쉽습니다.
    문화재청이 적절한 의견을 줬는데 건설사가 씹은 거면 건설사가 문제인데

    장릉껀은 문화재청이 의견 자체를 안 준 케이스로 보입니다

    그래서 전 건설사 책임이 적다고 보는 쪽이죠
    구글 고랭이
    끄응.. 저렇게 절차를 건너뛸 수도 있구나;;
    맥주만땅
    오늘 읽었던 댓글 중 가장 재미있었던 것은

    저거 허가해 주면 경주는 어쩌나
    1
    엄마곰도 귀엽다
    경주야 뭐...

    저는 몽촌토성 쪽이 더 기대됨
    사람이 먼저다?
    잘못된 선례를 남길꺼다에 한표
    왼쪽의지배자
    청와대청원도 올라왔던데 사람들이 청원에서끝날지 유네스코에 항의서한까지갈지도 흥미진진합니다.

    저아파트그대로두면 문화재뷰 어우야 장난아니게 비싸겠네요 매매가격제한이라도 걸어야지 안그러면 진짜 경주도 배째라고 짓고말죠
    1
    흑마법사
    뿌셔뿌셔
    할로윈차차
    문화재니 어쩌니 하지만 무덤뷰잖아!
    1
    무덤뷰하려면 피라미드나 타지마할 급은 되어야 좋을 것 같..
    cummings
    왕릉뷰가 좋다는건 아니지만
    한쪽이라도 뻥~ 뚫려있는 뷰에 높은 건물이 못들어오는것만 해도 메리트는 있을것 같습니다ㅎㅎ
    조지 포먼
    문화유산 보존하는건 현대인들 맘에 따라서...
    제3자로써 어찌될지 궁금하네요
    cummings
    한참 부동산에 예민한 상황이기도 해서...문화재청도 강제철거는 안된다고 보는것 같아요ㅎㅎ
    건설사들이 개쎄게 철퇴라도 맞으면 재발방지에 효과가 있을지도요
    다 일리가 있지만 결국 현대인의 주거 자산가치 vs 역사문화유물 중 뭘 우선할래군요. 한민족의 역사와 가치로 민족사관을 그렇게 강조하던 나라에서 생기는 갈등치고는 좀 웃기다는 생각이..
    2
    선례를 만들면 안되기 때문에 철거해야한다고 봅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2102 문화/예술과연 문준용 씨는 무엇을 잘못했는가? 36 Cascade 21/09/20 6758 25
    12088 문화/예술왕릉 옆에 무허가 아파트…3,000채. 35 cummings 21/09/17 5958 0
    12048 문화/예술그림의 노래 2 ikuk 21/09/05 4122 2
    12017 문화/예술뜨개질을 시작해보자! 8 고기찐빵 21/08/26 5793 6
    11982 문화/예술서울공예박물관 후기 1 Cascade 21/08/14 5619 5
    11960 문화/예술평택시·GS25 '남혐 손모양' 이미지, 같은 업체서 제작 21 cummings 21/08/04 4808 0
    11704 문화/예술(망상) 평화를 위한 북벌 2 알료사 21/05/21 4450 1
    11481 문화/예술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2010년대 추천 애니메이션 28편+1편 (추가) 17 이그나티우스 21/03/11 8782 11
    11395 문화/예술시로바코 극장판 리뷰 4 이그나티우스 21/02/04 4803 5
    11374 문화/예술푸틴 궁전 (추정?) 항공샷 3 Curic 21/01/24 5425 3
    11225 문화/예술강운구 '마을 삼부작' 중 goldfish 20/12/14 4259 4
    11137 문화/예술리갈하이 3화 (스포) 4 알료사 20/11/15 5198 5
    11028 문화/예술지금까지 써본 카메라 이야기(#04) – Ricoh GR-D2 2 *alchemist* 20/10/05 5798 8
    11004 문화/예술여백이 없는 나라 10 아침커피 20/09/29 5244 27
    10989 문화/예술초가집과 모찌떡과 랩실 5 아침커피 20/09/24 5059 15
    10942 문화/예술추천하는 최신 애니메이션 OST 2 이그나티우스 20/09/09 5949 2
    10900 문화/예술한복의 멋, 양복의 스타일 3 아침커피 20/08/30 5310 5
    10876 문화/예술오색무지개는 빨주노초파남보 일곱 색 13 아침커피 20/08/23 6625 11
    10874 문화/예술무료 영화 감상 사이트 추천 10 리니시아 20/08/22 6532 8
    10864 문화/예술술도 차도 아닌 것의 맛 7 아침커피 20/08/17 4456 19
    10808 문화/예술지금까지 써본 카메라 이야기(#03) – Leica X2 (이미지 다량 포함) 10 *alchemist* 20/07/23 7041 6
    10715 문화/예술쿄토 애니메이션의 마스터피스: <타마코 러브 스토리> 7 이그나티우스 20/06/26 6085 7
    10638 문화/예술간송미술관 두 보물 불상의 경매 유찰, 그리고 아무 소리 13 메존일각 20/06/01 4781 18
    10553 문화/예술드라마) 이어즈 & 이어즈(2019) 짧은 리뷰 3 울적새 20/05/05 4216 8
    10528 문화/예술일요일(4월 26일) 조성진의 도이치 그라모폰 유튜브 라이브 주소입니다 3 이그나티우스 20/04/25 4201 8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