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1/10/11 17:38:27
Name   Folcwine
File #1   111.png (70.5 KB), Download : 30
Subject   정부가 대출을 막는 이유


최근 대출에 대한 규제가 전방위적으로 강력해지고 있네요. 전세대출 DSR 및 분할상환 적용 등 새로운 정책도 예상되는 상황입니다. 정책의 목표가 무엇인지 여러 의견들이 있는 상황인데 블라인드에서 공감을 많이 받고있는 글을 하나 가져와봤습니다. 상식을 벗어난 대출규제, 대부업 정책지원 등은 그로인해 얻을 수 있는 정치적 이익이 있지 않은 이상은 상상하기 힘든 것들이긴 하죠. 빠른 시일 내에 시장이 정상화 되었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8
  • 고구마
  • 반박할수 없는 진실


정부가 집값 상승을 온몸으로 막고 있죠. 그러니 이럴 때 사야한다는 생각이 드네요.
선거지나고, 갱신권으로 붙잡던 전세가 풀리면.. 음..
근데 이렇게 막는 이유가 뭔지 궁금하네요 지금 이거 때문에 민심이 얼마나 안좋아지고 있는지 모르나...
지금 살수도 없고 팔수도 없어서 주변에 실제로 애먹는 있는 지인들이 있어요.
그런 거 신경썼으면 지금까지 정책이 이렇지 않았겠죠. 소급적용도 마음대로 시키는걸요. 그냥 통계마사지 말고는 눈에 보이는게 있는지도 의문입니다.
무너지는 순간에 그나마 타격을 줄이려는 것이 아닐까요?
Folcwine
그런 목적은 절대 아닙니다. 지금 부동산 시장은 거품 초입이라 딱히 무너지고 말 것도 없거든요. 오히려 미래의 거품을 최대로 키우는 정책들이 나오고 있기도 하고요.
그분들은 현 정권 주요 지지층이 아닙니다
나이스젠틀스위트
음 무주택자보다는 유주택자가 더 비율이 높지 않을까요?
여론조사에 나온 조건을 봐도 그렇구요
현 정권은 부동산이 노무현을 죽였다 생각하는 거 같더군요
조지 포먼
이게 다 노무현 때문이다 신드롬 일어난 이유가 부동산 때문이였죠
왜 하필이면 내 이십대때 이런일이 ㅠ
3
syzygii
저도 사회생활을 문정부 중반에 시작했는데 하... 기회를 받은적도 없는데 제 기회는 거의 평생 날아갔습니다. 뭐 정권차원에서 제가 평생살던 서울 구축아파트라도 사는게 적폐라고 하니 그 시각은 존중해야죠. 대신 안찍어줄수밖에.
저도 고향이 서울인데 서울사는게 적폐라는데요 ㅠㅠ

16년도에 취직해서 17년도에 영끌했어야하는데..
Brown&Cony
삼십대 사십대에 집사려고 준비하다가 문재인 맞이한사람들은 왜..ㅠㅠ
조지 포먼
저 같은 놈은 숙직실에서 잠자든 대저택에 잠자든 집은 잠자고 마는곳이라 생각하여서 정신적 타격은 별로 없는데 제 주변사람들 중에 수도권 사는 사람들은 전부 피눈물 흘리는거 보고는 분노가 치밀어 오릅니다.
국정농단 밀어버리고 등장한 정권이 이딴 정권일줄은 그 누구도 꿈에도 몰랐을겁니다.
꿀래디에이터
저도 처자식이 없으면 그랬을텐데
현실은 그게 아니니까..
졸린 꿈
미국의 마약 정책이 실패한 이유랑 비슷한 맥락처럼 보입니다.
수요 아무리 틀어막으면 뭐합니까; 공급은 그대로인걸요.
마약이 가격 오른다고 살 사람이 안사고 그런게 아니듯이
의식주 기본인 주거는 가격이 오른다고 살 사람이 안사고 그런게 아니에요. 그냥 못사는거지.
공급을 어떻게든 해야 합니다.
단순히 서울및 수도권 지역 공급 늘리는게 아니라 -> 어차피 악순환 그대로 이어지니까 근본적인 해결책이 못됩니다.
지방으로 공급을 유도시켜야 합니다. 답답하네요.
물냉과비냉사이
이 정주가 수요를 억제한 것도 아니죠. 집을 사고 싶은 마음(수요)을 오히려 더 자극했을 뿐만 아니라 매수자들을 조급하게까지 만들어 뒀어요. 얘들이 건드린건 살 수 있는 능력 뿐입니다.
지금 정책은 피해자에게 크나큰 리스크를 주는 정책입니다.
상황에 따라서 길거리에 나앉을 국민들이 수두룩하게 나올 수 있는 그런 정책이죠.
이런 정책을 실행하는 데 있어..

1. 이 정책 시행 전에 라이트한 정책을 선 실행하여, 파급력을 줄어주지도 않았으며
2. 정책 시행 전후에 이 정책을 실행하는 이유에 대한 브리핑조차 없었죠.

중요한 정책을 익명게시판을 통해 정보를 얻는 것도 말이 안되고, 정책 시행 후 이유와 향후 계획 등에 대해서도 한마디 말도 없죠.
대선 전 지표관리를 위해 정책을 펼쳤다라는 말에 대해서도 ... 더 보기
지금 정책은 피해자에게 크나큰 리스크를 주는 정책입니다.
상황에 따라서 길거리에 나앉을 국민들이 수두룩하게 나올 수 있는 그런 정책이죠.
이런 정책을 실행하는 데 있어..

1. 이 정책 시행 전에 라이트한 정책을 선 실행하여, 파급력을 줄어주지도 않았으며
2. 정책 시행 전후에 이 정책을 실행하는 이유에 대한 브리핑조차 없었죠.

중요한 정책을 익명게시판을 통해 정보를 얻는 것도 말이 안되고, 정책 시행 후 이유와 향후 계획 등에 대해서도 한마디 말도 없죠.
대선 전 지표관리를 위해 정책을 펼쳤다라는 말에 대해서도 억울하면 항변을 했으면 합니다.
아무말 없는 상황에서 정책의 의도를 긍정적으로 평가할만큼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는 신뢰가 생기지 않아요.
2
코리몬테아스
이번에 시행되는 가계대출 총량관리는 연착륙 기간만 몇년짜리 정책이에요. 당장 2020년에는 시중은행들한테 매 분기, 심하면 월 단위로 지난 달 가계대출이 이만큼 늘어서 월목표나 연목표 달성이 힘드니 협조하라고 말씀하신대로 '라이트'하게 주문 했었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대출총량 규제를 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초기 목표치를 은행한테 제시할 때도 다 설명해왔던걸요. 이번에 문제가 된 총량치는 당연하지만 올해 초에 설정된 것이고요.

부동산 가격이 오르고 전세대출 등 대출수요가 많아지며 규제로 정해놓은 총량선이 빨리 찼고, 결과적으로 그걸 불러온 정부책임과 더불어 10월부터 총량규제가 막힌 부분은 정책실패라고 평가할 수 있겠지만. 예고도 설명도 없이 갑자기 시행된 정책은 아닙니다.
3
Folcwine
가장 큰 문제는 그 가계대출 총량규제라는 몇 년 짜리 정책이 구시대 정책이라는 거겠죠. 차주에게 부담이 전가되는 부작용 때문에 옛날에 폐기된 정책을 2017년 다시 도입한 거니까요.

https://redtea.kr/pb/pb.php?id=news&no=25665

그리고 정부는 8월 농협 대출중단 때는 대출규제 없다고 했었고, 이후 시중은행들이 연달아 대출을 중지하자 "전세대출 규제 당분간 없다"라는 메시지를 정부가 보냈습니다. 실제 대출을 이용하는 일반 국민이나 시장에 신호를 보내지도 않고, 이런 과격한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는 없죠. 이건 예고도 설명도 없이 갑자기 시행된 정책이 맞습니다.
1
코리몬테아스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21/01/101082/

전 시행전에 예고와 설명이 있었는지에 대해서 답변한겁니다. 그리고 올해 대출총량이 지난해 기준 n%상한으로 정해진건 최소 8개월 전에 정해진 사안이에요. 이는 정부가이드라인에 따라 시중은행이 보고서를 보내고 조정받은 사안입니다. 혹여 그 사이에 총량치가 낮아졌거나 했다면 제가 잘못 알고 있는거니 지적해주세요. 링크하신 기사만... 더 보기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21/01/101082/

전 시행전에 예고와 설명이 있었는지에 대해서 답변한겁니다. 그리고 올해 대출총량이 지난해 기준 n%상한으로 정해진건 최소 8개월 전에 정해진 사안이에요. 이는 정부가이드라인에 따라 시중은행이 보고서를 보내고 조정받은 사안입니다. 혹여 그 사이에 총량치가 낮아졌거나 했다면 제가 잘못 알고 있는거니 지적해주세요. 링크하신 기사만 봐도 전세대출 규제를 추가하지 않았다고 했고, 실제로 추가하지 않았습니다. 총량규제는 새롭게 추가된 전세대출규제가 아니라 시행중인 규제였고요.

어차피 총량규제같은 건 금융당국의 권고사항이니까 상황에 따라 취소해야했는데 하지 않았다 같은 입장이면 모를까. 예고도 설명도 없었다는 건 이상한 해석입니다.
Folcwine
예를 들어서 전력소비 총량규제라는게 있어서 전력소비 증가율을 5%로 정했다고 해보죠. 전기요금을 올리거나 전력효율 좋은 제품 등에 인센티브를 주는 등의 정책은 이해 가능한 범위입니다. 그런데 목표치에 거의 근접했다고 전력소비를 억제한다는 목적으로 10월부터 단전조치 및 순환정전을 시행하면 이건 예고와 설명이 있던 정책일까요?

애초에 이런 과격한 시행방법에 대한 설명과 예고가 없었던 상태에선 이건 새로운 규제입니다. 제 주관적인 해석이 아니라 시장과 국민들이 그렇게 받아드리고 있고요. 정책목표치에 대한 안내가 있었어도 그 시행방법이 시장 컨센서스를 완전히 벗어나 있으면 그것 자체가 새로운 정책이고 ... 더 보기
예를 들어서 전력소비 총량규제라는게 있어서 전력소비 증가율을 5%로 정했다고 해보죠. 전기요금을 올리거나 전력효율 좋은 제품 등에 인센티브를 주는 등의 정책은 이해 가능한 범위입니다. 그런데 목표치에 거의 근접했다고 전력소비를 억제한다는 목적으로 10월부터 단전조치 및 순환정전을 시행하면 이건 예고와 설명이 있던 정책일까요?

애초에 이런 과격한 시행방법에 대한 설명과 예고가 없었던 상태에선 이건 새로운 규제입니다. 제 주관적인 해석이 아니라 시장과 국민들이 그렇게 받아드리고 있고요. 정책목표치에 대한 안내가 있었어도 그 시행방법이 시장 컨센서스를 완전히 벗어나 있으면 그것 자체가 새로운 정책이고 규제가 되는 겁니다.

그리고 금융당국은 계속 이런 메시지를 내왔죠. "금융위원회는 "대출 취급 중단이 다른 금융사까지 확산될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밝혔다."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6194704&code=61211211&stg=ws_real
1
엠피리컬
저 정도의 큰 그림도 생각을 못하는 수준이라고 봅니다. 갑자기 개 식용을 금지해야한다고 던진 것처럼요.
그냥 실세 누군가가 가계 부채가 위험하다고 말하면 자세히 보지도 않고 따라가고, 법정 이자율을 낮춰서 서민을 위해야겠다고 말하면 맞는말이네 따라가고, 홍남기가 나라빚 늘리면 안된다고 말하면 또 그런가부다 따라가고.
1
주식하는 제로스수정됨
세수확대 통계마사지
정권내내 한번도 바뀐적 없는 일관된 기조
더이상 속는건 공범뿐.

좋게 말해서 개체량 측정 전 단식하거나
신검전 폭식해서 일시적으로 체중늘리는것 같은거죠.

가계대출의 위험을 관리하는게 아니라 숫자만 관리하는거죠.
저위험 대출을 제한하고 고위험 대출은 장려하고
3
상태가 안 좋아보입니다
내년까지 숨참습니다.
카사르
이 정부의 의도는 한결같아서.....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2587 경제음식진공밀폐기 팝니다 20 흑마법사 22/03/07 4437 0
12578 경제갤럭시 버즈 프로 팔렸습니다 16 면이면옥 22/03/04 4260 1
12522 경제성공적인 지방의 대기업 입성, 대구신세계 이야기 14 Leeka 22/02/18 4572 4
12455 경제게임이 청년 남성의 노동시장 참여를 줄였다? 28 카르스 22/01/20 4968 21
12444 경제집값은 올라가고 있는건가? 내려가고 있는건가? 9 cummings 22/01/15 4525 1
12436 경제인구절벽발 노동인력 부족 우려는 과장인가 27 카르스 22/01/12 5314 34
12412 경제OECD 경제전망 - 한국 (전문번역) 5 소요 22/01/06 4010 16
12405 경제2021년 5대백화점 매출 순위가 공개되었습니다 2 Leeka 22/01/05 4334 0
12391 경제국민 재난지원금이 내일이면 사라집니다 4 알겠슘돠 21/12/30 4063 1
12375 경제2021년 대한민국 100대 상권 분석이 공개되었습니다. 11 Leeka 21/12/23 4928 1
12365 경제신세계는 어떻게 광역시들을 정복했나? 6 Leeka 21/12/20 3707 3
12355 경제연도별 대한민국 1조 돌파 백화점들 11 Leeka 21/12/16 3890 1
12343 경제롯데그룹은 왜 위기에 빠졌나.. 25 Leeka 21/12/13 5157 3
12339 경제대구신세계에 이어, 현대백화점 본점도 1조 클럽 가입. 1 Leeka 21/12/10 3752 1
12257 경제개인적인 투자 원칙 방법론 공유 13 Profit 21/11/09 5402 13
12216 경제2017~2020년까지의 5대백화점 지점별 매출 추이 2 Leeka 21/10/29 5549 1
12156 경제정부가 대출을 막는 이유 27 Folcwine 21/10/11 5119 8
12144 경제노동에 대한 관점이 변해야하는 시기가 아닐까 13 엠피리컬 21/10/07 3662 5
12140 경제월세 폭등의 시대가 도래할 것인가 17 Folcwine 21/10/05 4962 2
12128 경제정부의 부동산 정책 변화에 대한 생각 12 Folcwine 21/09/30 4422 4
12081 경제적당한 수준의 실거주 1주택을 추천하는 이유 35 Leeka 21/09/16 4567 4
12066 경제NFT의 암호화폐 생태계 기여도에 대한 분석 lonely INTJ 21/09/11 4445 3
12043 경제나의 주식투자 실패기 4 syzygii 21/09/03 4124 1
12018 경제한국은 중부담 중복지 국가가 되어가는가? 13 샨르우르파 21/08/26 4476 5
12016 경제강남아파트 시들 강북 연립 활기 -2008년 기사입니다. 5 요일3장18절 21/08/26 4330 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