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1/10/30 10:26:16
Name   cummings
Link #1   http://www.hayek.or.kr/1677
Link #2   http://www.inche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076974
Subject   막걸리와 고무신 선거와 자유주의자의 역할
<막걸리와 고무신 선거와 자유주의자의 역할> 한국 하이에크소사이어티 권혁철(CFM 대표)

퍼주기, 퍼주기, 그리고 퍼주기가 한도 끝도 없이 이어지고 있다. 그야말로 점입가경(漸入佳境)이다. 이제는 아예 '현금 뿌리기’ 수준에까지 이르렀다. 작년 4월 재보선을 앞둔 시점에 발표되고 뿌려졌던 1차 재난지원금은 14조 원 규모였고, 그 후 뿌려진 2차 재난지원금은 7.8조 원, 그리고 3차 재난지원금도 9조 원이 넘는다. 금번 서울과 부산시장 보궐선거를 코앞에 두고 정부 여당은 다시 4차 재난지원금을 지급하겠다고 나섰다. 역대 최대 규모인 20조 원이다.

과거 1950년대와 1960년대(지역에 따라서는 70년대와 80년대에도 있었다 함)에 있었던 '막걸리와 고무신 선거’가 현재에 이르러 '복지’(코로나 관련해서는 '지원금’)라는 거창한 이름으로 포장만 바꾼 채 여전히 횡행하고 있다. 과거와 다른 점이 있다면, 과거에는 그나마 선물로 유권자의 표를 매수하는 것이 불법이라는 것을 인지하고 있었다면, 지금은 그런 인식조차도 없다. 오히려 복지라는 이름으로 유권자 표 매수행위가 정당화되어 버렸다. 과거보다 사태가 더 심각해졌다는 의미다.

퍼주기 정치, 포퓰리즘 정치의 종점은 결국 파국이다. 그것은 이제까지의 역사가 생생하게 증명하고 있다. 그럼에도 퍼주기 정치인, 포퓰리스트들은 끊임없이 등장하고, 또 그들은 퍼주기 정치로 정권을 잡고 정권을 유지한다. 말하자면, 포퓰리즘이 지속적으로 '장사’가 잘 되는 '스테디셀러’라는 말이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뭉크가 쓴 <위험한 민주주의>에서 포퓰리즘이 '장사’가 잘 되는 이유 가운데 몇 가지를 추려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는 주요한 이유 두 가지를 추려보았는데, 그 두 가지는 서로 긴밀히 연관되어 있다.

첫째, 포퓰리즘이 '장사’가 잘 되는 이유는 포퓰리스트들은 현실 세계가 복잡하다는 것을 인정하려 하지 않기에, 정책이 실패한 것에 대한 “책임을 물어 비난할 사람을 필요로 하고, 바로 그렇게 비난을” 일삼기 때문이다. 부동산 가격의 폭등이 투기꾼과 다주택 소유자의 탐욕 때문이라고 비난하는 일이 그런 것이다. 이러한 단순한 희생양 찾기, 적(敵) 찾기는 언제나 잘 통하는 포퓰리스트들의 수법이다.

둘째는 바로 대중들의 단순화 경향이다. 국내 제조업이 위기에 처해 있다는 불만이 있다면, 관세를 인상해서 수입을 금지시킨다; 대형마트로 인해 전통시장이 피해를 보고 있다는 불만에는 대형마트의 입점을 금지하거나 영업을 제한시킨다; 부동산 가격의 폭등에 대한 불만에는 투기꾼과 다주택 소유자에게 세금폭탄을 때려 이들이 집을 내놓게 하면 된다 등등. 이와 대조적으로, 국제무역은 비교우위 어쩌고저쩌고, 무역분쟁의 결과는 어쩌고저쩌고.....투기꾼과 다주택 소유자에게 대한 세금폭탄은 '세금의 전가’가 어쩌고저쩌고....하는 식의 설명은 대중들에게는 설 자리가 없다. 대중들은 전자를 “정치인의 진실성과 결단력을 알 수 있는 징표로”, 그리고 후자를 “불성실함과 무관심의 표시로” 본다고 한다. 유권자들은 세상이 복잡하다고 생각하고 싶어하지 않으며, 또 “그들의 문제에 확실하고 즉각적인 해결책이 없다는 말을 듣고 싶어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듣기에만 좋고 안이한 정책이 왜 대중에게 매력적인가에 대한 해답이다.” 포퓰리스트들이 한 사태나 사안을 규정짓는 '작명’을 잘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그런데, 이런 포퓰리스트들의 질주는 계속될 수 있을까? 계속될 수는 없다. 끝내 파국으로 끝을 맺는 경우도 있고, 다른 한편 파국 직전에 자유주의적 개혁을 통해 번영의 길로 돌아서는 국가도 있다. 아르헨티나와 베네수엘라의 경우에서 전자의 예를 볼 수 있다면, 대처 수상의 영국은 후자의 사례다. <위험한 민주주의>에서 뭉크는 포퓰리스트의 폐해를 경험한 국가에서 다시 포퓰리스트를 선택할 확률도 절반이나 된다고 한다. “한 포퓰리스트가 실패하면 유권자들은 다른 포퓰리스트를 뽑거나(그리하여 완전한 독재체제를 초래하거나), 기성정치인에게 의지하거나 할 가능성이 반반”이라는 것이다.

역사적으로 보더라도, 포퓰리즘의 폐해를 당하면서도 계속해서 포퓰리즘으로 치닫는 사회가 있고, 아니면 반대로 번영의 길로 가는 사회도 있다. 이것이 판가름 나는 중요한 순간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무엇이며, 여기서 자유주의자의 역할은 무엇일까? 대답은 미제스의 말에서 찾을 수 있다. 미제스는 가장 중요한 순간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사상의 힘이며, 여기에 자유주의의 역할이 있고, 또 자유주의자의 역할도 거기에서 나온다고 보았다. 즉, 사상 투쟁이 중요하며, 사상의 투쟁에 있어서 “그 궁극적인 결말은 무기가 아니라 사상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무기가 아니라 사상만이 궁극적으로 저울이 기우는 방향을 결정할 것”이라는 것이다. 그리고,이에 따른 자유주의자의 역할은 “여론을 계몽하여 진정한 자유주의와 잡다한 간섭주의 단체 사이의 기본적 차이점을 깨닫게 하는 것이다.”

------------------------------------------------------------------



선거시기가 다가옴에 따라 선거법 얘기, 지원금 관련 얘기들이 솔솔 나오고 있습니다.

최근 뉴스 기사에서도 커뮤니티에 특정 후보 당선시 기프티콘을 쏜다고 하면 불특정 다수이기에 불법이 아니라고 하나
실제로 기프티콘이나 재산상 이익을 제공한다면 공직선거법 제115조 및 제230조에 위반될 여지가 있다더군요.

그러면 후보 스스로가 불특정 다수에게 재산상 이익을 제공한다고 하면 공직선거법 위반 여지가 있을까요?


코로나 초창기 락다운을 언급하고, 주가가 폭락하며 자영업자들 굶어죽는 시기에 지원금이라고 하면 어느정도 납득이 갔을텐데,

위드코로나로 가면서 각종 영업제한이나 인원제한이 풀어지고 재난이 끝나가는 타이밍에...?

납득은 잘 안가지만 끝나가는 중에도 힘든 사람이 없진 않을테니 지원금 자체는 그렇다고 합시다. 그런데 전국민 100만원??

코로나시국에 우리나라가 타 국가들에 비해 지원금 액수가 적은건 사실이나
그만큼 자랑하는 K방역 덕분에 타국과 같은 락다운이라던지 사회마비까지 일어나지 않은것도 사실이죠.

정말 말 그대로의 재난지원금이라면
전국민100만이 아니라 그동안 문닫았던 자영업자 일부에게 돌아가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인천신문 칼럼에 기고된 문단으로 글 마무리를...





60∼70년 전에는 막걸리와 고무신 선거라 했다. 선거 유세장은 대개 국민학교 운동장이었다.
플라타너스 그늘이 좀 드는 철봉대 주변으로는 으레 막걸리판이 벌어졌다. 너도 한 잔, 나도 한 잔 잔치판이었다.

그 무렵 신문 만평에도 떴다. 보릿고개 허기에 지친 어린 소년이 선거 막걸리에 취해 헤롱헤롱 하는 얼굴이다. 돈있는 후보자가 나눠주는 고무신 한 켤레도 빈한한 농가들에서는 더 없이 요긴했다. 고무신 아니라 수건 한 장도 아쉬운 가난한 나라였다.
어찌보면 소득 재분배 효과는 좀 있는 부정선거였다.

그 가난한 나라가 수십년만에 경제대국 반열에 섰다. 이에 걸맞게 막걸리_고무신은 현금봉투 시대를 거쳐 이제 '표퓰리즘'으로까지 진화했다.  그 당시 막걸리나 고무신을 돌릴 여유가 없는 야당 후보들이 연단에 올라 소리쳤다.
“유권자 여러분, 막걸리는 사양말고 마시되 표는 딴 사람을 찍어야 합니다.”
예전 기자들 사회에 전해 오던 금언(金言)을 떠올리게 하는 호소다.

'먹고나서 조져라'



1


    구글 고랭이
    이재명의 논리는 전국민에 동일 금액을 주되 그걸 자영업 가게나 이런 곳에만 쓸 수 있게 하면 결국 고객들이 그 돈을 자영업자들이 운영하는 곳에서 쓰기 때문에 자영업자들의 매출도 증가한다는 논리 같아요. 그리고 자영업자에게 지급되는 보조금은 또 별도로 알고 있고요.
    cummings
    고랭이 님의 얘기를 반대로 비꼰다면, 힘든 자영업자에게 돌아가야 할 지원금들이
    어차피 장사가 잘되어 지원할 필요 없는 몇몇 장사잘되는 곳들로 몰릴거라는 얘기가 될수도 있어요.

    지역화폐의 국가판을 발행한다는 얘기인것 같은데...
    수십가지 지역화폐의 난립에 대한 효용성도 논란이 좀 있는걸로 알고있습니다.
    구글 고랭이
    경기지역화폐는 홈플러스에서는 못 쓰지만 집 앞 작은 가게에서는 쓸수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대형vs소형가게를 나누어서 결제 가능/불가능 여부를 가리는 거 같아요. 지역화폐의 효용성에 대해서는 다음 기사 참고바랍니다.

    "지역화폐 논란, 이재명·조세연 모두 절반의 진실"
    https://news.v.daum.net/v/20201008200052769

    - 이재명 경기지사와 조세연 중 누구의 손을 들어주겠는가.

    “분명한 건 지역화폐를 도... 더 보기
    경기지역화폐는 홈플러스에서는 못 쓰지만 집 앞 작은 가게에서는 쓸수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대형vs소형가게를 나누어서 결제 가능/불가능 여부를 가리는 거 같아요. 지역화폐의 효용성에 대해서는 다음 기사 참고바랍니다.

    "지역화폐 논란, 이재명·조세연 모두 절반의 진실"
    https://news.v.daum.net/v/20201008200052769

    - 이재명 경기지사와 조세연 중 누구의 손을 들어주겠는가.

    “분명한 건 지역화폐를 도입한다고 해서 시장 규모가 늘어나거나 생산 효율성이 높아지지는 않을 것이다. 지역화폐를 도입하면 소비자 선택권이 줄어들고, 소상공인에게 돌아가야 할 이익의 일부분이 지역화폐 발행과 관리 비용으로 들어간다. 하지만 소득과 소비의 지역적 불균형을 교정하고 중소상공인에 대한 지원 효과는 분명히 있다. 결국 소비자 선택권이 약간 줄어들고 관리비용 때문에 상공인 지원 예산이 일부분 줄어드는 대가로 계층 간, 지역 간 분배가 개선되는 것을 선택한 것이다. 비용과 편익을 객관적으로 비교해 어떤 주장이 더 낫다고 평가할 방법은 없다. 특히 지역화폐 발행으로 발생하는 비용과 손해는 쉽사리 눈에 띄지 않지만, 지역 소상공인에게 돌아가는 혜택은 분명히 드러난다. 국가적 차원에서 낭비가 있더라도 지역 소상공인에게 적극적으로 환영 받는 정책이다. 투입되는 비용 효율성을 따져볼 수 있는 구체적 연구 결과가 나오거나, 더 나은 소상공인 지원 정책이 나오기 전까지는 계속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이재명 경기도지사나 조세연 주장은 둘 다 절반의 진실이다.”
    syzygii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998368#home
    최근 가장 빠르게 세를 넓히고 있는 집단은 이재명 경기지사의 대표 브랜드 ‘기본소득’을 주창하는 ‘기본소득 국민운동본부’다. 지난해 12월 학계와 시민단체 인사 36명이 “기본소득에 동의하고 공감하는 모든 세력이 하나의 힘으로 뭉쳐 실현 가능한 방안을 찾자”며 발족했다. 아직 명시적으로 이 지사를 지지한다는 입장을 낸 적은 없지만, 정치권에선 '사실상의... 더 보기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998368#home
    최근 가장 빠르게 세를 넓히고 있는 집단은 이재명 경기지사의 대표 브랜드 ‘기본소득’을 주창하는 ‘기본소득 국민운동본부’다. 지난해 12월 학계와 시민단체 인사 36명이 “기본소득에 동의하고 공감하는 모든 세력이 하나의 힘으로 뭉쳐 실현 가능한 방안을 찾자”며 발족했다. 아직 명시적으로 이 지사를 지지한다는 입장을 낸 적은 없지만, 정치권에선 '사실상의 이재명 그룹'으로 인식한다. 발기인 중 한 명인 유승경 전 '정치경제연구소 대안' 부소장은 지난달 경기도 산하 공공기관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원장으로 임명되기도 했다.

    중립적인 의견일까요 그게?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0122716210000339
    구글 고랭이수정됨
    이재명, 대선前 경기도 홍보직원 50% 늘렸다.."도민 세금으로 선거운동"
    https://news.v.daum.net/v/20211007144302580

    코나아이 상폐 논란이나 기본소득 홍보, 하위 지자체장과의 불화 등등 하고 싶은 말은 많지만 논지가 옆으로 샐 거 같아 여기에서 이야기하지 않을 뿐입니다.
    왜 경제적 자유주의자들은 자신들의 협소한 자유 개념을 어디든 적용하려는 걸까요.
    cummings
    사회자유주의 같은 것을 말씀하시는걸까요? 언급하시려는 정확한 내용을 모르겠네요.
    관련 내용으로 글타래를 풀어주시면 탐독하겠습니다.
    저는 아는 게 없어서 설명할 깜냥은 안 되고요, 그냥 고등학교 때 배우는 소극적 자유/적극적 자유, 국가로부터의 자유/국가에 의한 자유, 뭐 그런 얘깁니다. ㅎㅎ
    '퍼주기'라는 레토릭이나 대처 찬양은, 굳건한 신념의 발현이라고 볼 수도 있겠지만, 일면적인 시각인 것도 사실이죠.
    세금 일부를 전 국민에 엔빵하겠다는 공약이 어떤 자유 개념에 합치하는 건가요??
    1
    제가 왜 그 질문에 답해야 하는지 모르겠네요. 저는 기본소득이 지나치게 우파적이며 복지 정책으로서의 적절성도 떨어진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이재명 후보의 공약을 옹호하고 싶은 생각이 없어요. 본문 칼럼에 대한 불편함을 선생님께서 반대쪽이라고 생각하시는 입장에 관한 옹호로 속단하지 말아주세요.
    본문이 이재명의 공약에 대한 비판이었고,
    늘쩡님께서 협소한 자유개념을 어디든지 적용하고 있다고 비판하시니
    제가 그 두개가 어떻게 관련되어있는지 여쭤본거죠.
    님의 논리가 궁금해서 여쭤본거지 저도 싸우고 싶은 생각도 없고, 반대측을 옹호한다고 이야기한적도 없습니다.
    syzygii
    이재명은 내가 되면 뿌린다니까 먹고나서 조진다는게 안되죠.
    매뉴물있뉴
    ..하나도 안어렵습니다. 이재명을 당선시키기위해 문재인이 돈뿌리면 간단한 일입니다.
    + 홍이든 윤이든 "내가되면 더뿌리겠다"라고 할수도 있는 일이기도 합니다. 황이 지난 총선때 했던것처럼. (물론 황보다는 훨씬 유려하게 잘 풀어내야하지만요)
    구글 고랭이
    황이 돈뿌리겠다는 공약을 했었나요? 기억이 안나네요..;;
    매뉴물있뉴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4/06/2020040600706.html
    제대로 못해서 그렇습니다. 아무도 기억 못함...;;;
    1
    절름발이이리
    한국은 코로나 시기에서 세계적으로 가장 안 퍼준 국가입니다. 따라서 첫 글 글쓴이 주장대로면, 현 정부는 세계적으로 가장 포퓰리즘적인 퍼주기를 잘 억제한 정부겠네요. 포퓰리즘 위험합니다. 근데 기본적인 객관화도 안되면, 포퓰리즘이라는 개념을 '단순화'해서 '장사'하는 글이 될 뿐입니다.
    1

    IMF “올해 한국 경제 3.1% 성장…2년간 성장률 11개 선진국 중 1위”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가장 빨리 회복…K-방역·적극적 정책대응 등 높게 평가”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883178

    코로나가 모든 나라에 균등하게 퍼졌다면 맞는 말이겠지만
    열심히 홍보했던 K방... 더 보기
    IMF “올해 한국 경제 3.1% 성장…2년간 성장률 11개 선진국 중 1위”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가장 빨리 회복…K-방역·적극적 정책대응 등 높게 평가”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883178

    코로나가 모든 나라에 균등하게 퍼졌다면 맞는 말이겠지만
    열심히 홍보했던 K방역으로 인해 세계적으로 가장 잘 억제한 나라중에 하나이고 그걸 감안해야하지 않을까요?
    타국가 대비 실질GDP도 거의 하락하지 않은(코로나 충격이 자영업자 영역 이외에 심하지 않은)부분도 있겠죠.

    피해(감염자수 혹은 경제타격) 대비 퍼준 비율로 따져봤을때에도 세계적으로 가장 잘 퍼주기를 억제한 정부일런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고 봅니다.

    더욱이 [시기] (코로나 확산으로 힘들어서 지원금이 필요한 타이밍인가?)나 [대상](코로나로 인해 소득이 감소하고 실직상태라던지)으로 따져봤을때에 이재명이 이 타이밍에 언급하는 코로나 지원금이 더 곱지않게 보이는거구요.
    1
    절름발이이리
    말씀한 요소도 당연히 감안해야 합니다. 즉 재정정책의 적정성은 여러 측면을 고려해 정교하게 판단해야 합니다. 그러나 첫번째 글은 "퍼주기, 퍼주기, 그리고 퍼주기가 한도 끝도 없이 이어지고 있다. 그야말로 점입가경(漸入佳境)이다. 이제는 아예 '현금 뿌리기’ 수준에까지 이르렀다."고 현재의 상황을 심각하게 규정하고 있지만, 정작 이게 얼마나 어떻게 심각한 것인가에 대한 제대로된 논거가 변변히 없습니다. 오로지 포퓰리즘의 끝은 파국이다라는 하나마나한 이야기가 유일한 근거이지요.
    참고로 코로나 수습이 끝나가는 상황/대선을 앞둔 상황... 더 보기
    말씀한 요소도 당연히 감안해야 합니다. 즉 재정정책의 적정성은 여러 측면을 고려해 정교하게 판단해야 합니다. 그러나 첫번째 글은 "퍼주기, 퍼주기, 그리고 퍼주기가 한도 끝도 없이 이어지고 있다. 그야말로 점입가경(漸入佳境)이다. 이제는 아예 '현금 뿌리기’ 수준에까지 이르렀다."고 현재의 상황을 심각하게 규정하고 있지만, 정작 이게 얼마나 어떻게 심각한 것인가에 대한 제대로된 논거가 변변히 없습니다. 오로지 포퓰리즘의 끝은 파국이다라는 하나마나한 이야기가 유일한 근거이지요.
    참고로 코로나 수습이 끝나가는 상황/대선을 앞둔 상황에서 지원금이 필요/적절한가에 대해는 저도 부정적입니다. 진작에 더 강하게 했어야 했다 정도가 제 생각입니다. 물론 다르게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어떻게 생각하든 자유지만, 그 생각에 디테일이 빠져있으면, 그냥 에베베 거리는 소리 밖에 안됩니다.
    cummings
    저도 코로나로 힘들었던 상황(특히 영업권 제한을 심하게 걸었을때)에의 지원은 부족했다고 생각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2360 정치대선 후보가 코로나에 걸린다면? 10 토비 21/12/19 3555 1
    12357 정치윤석열 후보가 김건희 학력 위조에 대해서 모를 수가 없는 이유 22 구글 고랭이 21/12/18 6265 3
    12354 정치관례, 관행... 이해가 안간다. 9 Picard 21/12/16 4622 1
    12351 정치문재인은 국민 앞에 서야 합니다. 82 Jazz 21/12/15 6103 5
    12336 정치노재승을 왜 철회하지 못할까..? (뇌피셜) 26 Picard 21/12/09 4925 0
    12329 정치노인 자살률은 누가 감소시켰나 9 구밀복검 21/12/06 6058 29
    12328 정치이준석의 필살기의 결과 26 Picard 21/12/06 4619 0
    12320 정치김종인, 이준석, 윤석열에 대한 스쳐가는 생각 23 Picard 21/12/01 4793 1
    12319 정치이용 의원, '자율규제 강화' 게임법 전부개정안 철회 6 구글 고랭이 21/12/01 4668 2
    12312 정치여론조사 9개중 6개는 접전…尹, 3개 오차범위밖 '우세' 12 구글 고랭이 21/11/30 4713 1
    12311 정치중국 공산당이 꿈꾸는 냥파오 근절 13 구글 고랭이 21/11/29 4925 2
    12265 정치당보고 뽑지 말고 인물 보고 뽑자 9 Picard 21/11/12 4304 0
    12261 댓글잠금 정치"김건희, 5개 대학 이력서 허위 기재"...윤석열도 몰랐나? 75 구글 고랭이 21/11/10 7153 1
    12251 정치윤석열 vs 이재명 - 누가 되든 이례적인 대선 11 샨르우르파 21/11/08 4810 3
    12229 정치성남도공 조례 통과 뒤 대장동 간 유동규..육성파일 입수 외 6 구글 고랭이 21/11/01 5250 2
    12221 정치막걸리와 고무신 선거와 자유주의자의 역할 19 cummings 21/10/30 4911 1
    12212 정치what if.. 만약 11월 5일에 국힘후보로 윤석열이 안된다면? 5 Picard 21/10/28 4412 0
    12206 정치윤석열 sns 사건 이후 첫 여론조사 25 구글 고랭이 21/10/25 4698 1
    12185 정치한국 포퓰리즘의 독특함과 이재명의 위험성? 43 샨르우르파 21/10/19 5627 17
    12169 정치윤석열 질타한 법원 "중대 비위행위, 정직 2개월도 가볍다" 외 2 33 구글 고랭이 21/10/15 4794 2
    12166 정치윤총장 징계취소소송 패소여파 26 매뉴물있뉴 21/10/14 5026 1
    12160 정치민주당 결선투표와 무효표 논란에 대한 시각 26 Picard 21/10/12 4512 0
    12153 정치민주당 무효표 / 탑독이 서툰 이재명 / 윤석열의 성경책 11 매뉴물있뉴 21/10/11 4422 4
    12143 정치KDI에서 본 한국 여론양극화 문제 (부제: 여성시대 주작사태) 8 샨르우르파 21/10/06 4405 9
    12131 정치(호소문)집단잔금 대출을 막으면 우린 죽습니다. 1세대 실거주 서민을 살려주십시오. 27 Leeka 21/10/01 5517 5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