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1/11/08 16:19:39수정됨 |
Name | 샨르우르파 |
Subject | 윤석열 vs 이재명 - 누가 되든 이례적인 대선 |
윤석열 vs 이재명. 에일리언 vs 프레데터랑 뭐가 다르냐는 최악의 대선. 문재인 vs 박근혜가 대결한 12년 대선에도 비슷한 소리가 나왔지만 강도는 더 심해졌습니다. 이런 암울한 구도에 관심이 집중되서 잘 언급되지는 않습니다만, 윤석열 vs 이재명 구도는 사실 한국 정치사상 이례적인 면이 강합니다. 둘 중 누가 되든, '최초의 OO인 대통령'이라는 타이틀이 그것도 세 개나 달성됩니다. 1. 기존 지역구도가 통하지 않는 최초의 대통령 서울 출신인 윤석열이 대통령이 된다면 한국 역사 최초의 수도권 출신 대통령, 지역연고가 약한 최초의 대통령이 배출됩니다. 인구 절반이 모여사는 극심한 수도권 집중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수도권 출신 대통령은 나오지 않았습니다. 이승만은 황해도 출신, 김대중은 전라도 출신, 나머지 대통령은 전부 경상도 출신이죠. 1년남짓 집권한 윤보선 최규하를 포함해도 각각 충청도, 강원도 출신이라 수도권 출신은 없습니다. 그나마 손학규가 수도권 출신 대통령 타이틀에 제일 근접했는데, 만덕산으로 대표되는 안습한 행보로 나가리됐죠. 지역정치 구도에서의 지역 연고성과 정치인들 연령대를 생각하면 이해가 안 될 것도 아닌데, 이것도 슬슬 바뀌려나 봅니다. 더 놀랍게도 윤석열이 서울 출신이라는 사실은 별로 알려지지 않았다는 겁니다. 전부 문재인이 어쩌고하는 중앙정치 이야기만 어른거리죠. 윤석열이 얼마나 지역연고가 약한 인물인지만 증명됩니다. 한국에서 매우 독특합니다. 경북 안동 출신인 이재명이 대통령이 된다면 최초의 TK 출신 민주당 대통령, 그러나 수도권 정체성이 더 강한 독특한 대통령이 배출됩니다. 이재명은 TK 출신(그것도 안동이라 김천-구미-대구-경주-포항 주류라인도 아닙니다)인데 민주당 출신이 될 수 있었습니다. 기존 민주당 정치인 절대다수가 호남이나 PK 출신인 걸 생각하면 의외입니다. 더 놀라운 건 TK 출신 민주당 정치인이라는 독특한 정체성도 잘 언급되지 않다는 겁니다. 성남시장, 경기도지사 경력으로 수도권 정치인 이미지가 매우 강해서 묻혔거든요. 심지어 이재명은 연고 없는 호남에서도 부분적으로 인정받았습니다. 호남출신 이낙연과 1:1 박빙이었거든요. 심지어 이낙연 찐 연고인 전남에서도 이낙연이 이재명을 1% 차이로 신승하는 데 그쳤습니다. 물론 기존 지역구도가 완전히 끝장났다는 이야긴 아닙니다. 정도는 약해질지 몰라도 이번 대선에서도 영호남 구도는 유지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지역구도의 '끝의 시작' 정도는 될 변화라고 생각합니다.. 수도권의 상대적 권력이 갈수록 강해지고 있으며, 이촌향도, 수도권 집중이 본격화된 세대들이 앞으로 대통령이 될 테니까요. 2. 베이비붐/n86세대 최초의 대통령 윤석열은 1960년생, 이재명은 1963년생입니다. 베이비붐 세대(1955-63년생; 넓게 잡으면 1955-1974년생)와 n86세대(엄밀히 말하면 윤석열은 79학번이라 해당되지 않지만, n86은 60년대생 엘리트집단을 가리키는 용어라 광의로 포함시켰습니다) 모두에 해당합니다. 지금까지 대통령들 중 베이비붐 세대/n86세대는 한 명도 없었습니다. 이승만 1875년생 윤보선 1897년생 박정희 1917년생 최규하 1919년생 전두환 1931년생 노태우 1932년생 김영삼 1927년생 김대중 1924년생 노무현 1946년생 이명박 1941년생 박근혜 1952년생 문재인 1953년생 베이비붐/n86세대의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권력은 매우 막대하고 수많은 담론이 나왔죠. 이들이 사다리 걷어차기한다, 한국사회를 독식한다는 비판도 많았습니다. 하지만 재미있게도 이들이 배출한 대통령은 한 명도 없었는데, 이제 생깁니다. 물론 이게 n86 지배론이 허구거나, n86의 찐 전성기가 온다는 증거라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n86세대가 대통령을 할 연령대가 아니어서 안 했을 가능성이 높거든요. 다만 세대론적으로 독특한 상황에 놓여있음은 분명합니다. 세월이 흐르며 정치인들도 (느리게나마) 세대교체가 이뤄지는데, 대통령은 n86'으로' 세대교체가 이뤄지는군요. n86세대의 권력이 언제까지 강건할지, 은퇴를 한다면 언제일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3. 국회의원 경험이 없는 최초의 민간출신 대통령 김영삼부터 문재인까지 모든 대통령은 국회의원 경험이 있습니다. 하지만 검찰에만 종사해온 윤석열과, 법조계(변호사)와 선출행정직에만 종사해온 이재명은 그렇지 않습니다. 누가 되든 처음으로 국회의원 경험이 없는 민간출신 대통령이 탄생합니다. 두 정치인 모두 당내 아웃사이더 출신이라는 간접 증거입니다. 문재인 검찰총장이었다 여러 잡음으로 사퇴하고 반문정서로 돌파한 윤석열, 민주당의 이명박이라 불리는 불도저 성향 있는, 민주당 비주류 비문계에서 성장한 이재명. 이 성향은 차후 대통령기에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의회정치를 포함한 정치구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쉽기에, 국정운영에서 국회와 갈등을 빚을 수 있습니다. 세 독특한 면 중 유일하게 확실하게 우려되는 면모입니다. 3
이 게시판에 등록된 샨르우르파님의 최근 게시물
|
년대생들을 기준으로는 진짜 10년대생 대통령들이 2번씩 해먹는다는 징크스가 유지될거 같긴 합니다. 다다음 대선은 70년대생 대통령이 나오나요?
저는 n86은 왠지 건너뛰어질 세대 같다고 혼자 생각해왔는데...... 어쨋든 저쨌든 n86이 드디어 한자리를 하는군요...;
근데 두 사람 다... 왠지 제가 평소 머리속에 갖고있던 n86들이 아니네요... 저는 왠지 86세대라고 하면 그 이한열 열사 사진들고 서있는 우상호/우현 뭐 그런 사람들의 이미지가 훨씬 큰데 이재명도 윤석열도 왠지 그런 정통파 운동권은 아닌.......
근데 두 사람 다... 왠지 제가 평소 머리속에 갖고있던 n86들이 아니네요... 저는 왠지 86세대라고 하면 그 이한열 열사 사진들고 서있는 우상호/우현 뭐 그런 사람들의 이미지가 훨씬 큰데 이재명도 윤석열도 왠지 그런 정통파 운동권은 아닌.......
정치 경험 없이 혜성과 같이 나타난 후보가 대통령으로 당선된적이 없죠.
정주영, 문국현, 안철수...
그런데 이런 사람들이 제1야당 후보였던 적도 없고...
그나마 제일 근접한게 청와대 경험 밖에 없던 문통이 12년 4월에 국회의원 되고 그해 9월에 민주당 대선후보가 되었는데 그때는 박근혜한테 졌죠.
윤석열이 새 역사를 쓸지 궁금합니다.
정주영, 문국현, 안철수...
그런데 이런 사람들이 제1야당 후보였던 적도 없고...
그나마 제일 근접한게 청와대 경험 밖에 없던 문통이 12년 4월에 국회의원 되고 그해 9월에 민주당 대선후보가 되었는데 그때는 박근혜한테 졌죠.
윤석열이 새 역사를 쓸지 궁금합니다.
이번 경선에서 긍정적인 점을 찾으라면 이제야 드디어 양당제가 고착화 된점을 꼽을수 있을것 같습니다
일단 소선거구제 지역구중심 + 결선투표없는 대통령제가 미우나 고우나 70년 넘게 우리 선거제도였습니다. 자연히 양당제가 설립했어야 하는데 선거때마다 지역별 인물별로 이합집산이 있었죠. 2021년에 와서야 어쨋건 진보는 민주당 보수는 국힘당이라는 합의가 국민들 정치인들에게 인정받은것 같아요.
경선과정에서 좀 극단적인 후보가 선출된 것도 그만큼 당원의 영향력이 세진 것이니 나름의 긍정적인 면도 있다고 봐요. 이제 중도층을 잡기... 더 보기
일단 소선거구제 지역구중심 + 결선투표없는 대통령제가 미우나 고우나 70년 넘게 우리 선거제도였습니다. 자연히 양당제가 설립했어야 하는데 선거때마다 지역별 인물별로 이합집산이 있었죠. 2021년에 와서야 어쨋건 진보는 민주당 보수는 국힘당이라는 합의가 국민들 정치인들에게 인정받은것 같아요.
경선과정에서 좀 극단적인 후보가 선출된 것도 그만큼 당원의 영향력이 세진 것이니 나름의 긍정적인 면도 있다고 봐요. 이제 중도층을 잡기... 더 보기
이번 경선에서 긍정적인 점을 찾으라면 이제야 드디어 양당제가 고착화 된점을 꼽을수 있을것 같습니다
일단 소선거구제 지역구중심 + 결선투표없는 대통령제가 미우나 고우나 70년 넘게 우리 선거제도였습니다. 자연히 양당제가 설립했어야 하는데 선거때마다 지역별 인물별로 이합집산이 있었죠. 2021년에 와서야 어쨋건 진보는 민주당 보수는 국힘당이라는 합의가 국민들 정치인들에게 인정받은것 같아요.
경선과정에서 좀 극단적인 후보가 선출된 것도 그만큼 당원의 영향력이 세진 것이니 나름의 긍정적인 면도 있다고 봐요. 이제 중도층을 잡기위해 다시 가운데로 모이겠죠.
이해찬이 말했던 진보세력 20년집권론을 바라는 입장에선 짜증나지만 또 민주당을 찍어야겠어요...
일단 소선거구제 지역구중심 + 결선투표없는 대통령제가 미우나 고우나 70년 넘게 우리 선거제도였습니다. 자연히 양당제가 설립했어야 하는데 선거때마다 지역별 인물별로 이합집산이 있었죠. 2021년에 와서야 어쨋건 진보는 민주당 보수는 국힘당이라는 합의가 국민들 정치인들에게 인정받은것 같아요.
경선과정에서 좀 극단적인 후보가 선출된 것도 그만큼 당원의 영향력이 세진 것이니 나름의 긍정적인 면도 있다고 봐요. 이제 중도층을 잡기위해 다시 가운데로 모이겠죠.
이해찬이 말했던 진보세력 20년집권론을 바라는 입장에선 짜증나지만 또 민주당을 찍어야겠어요...
멍청이 VS 똑똑한 악인의 대결이라는 점에서 이명박 대 정동영이 생각이 나네요.
정말 누가 나와도 이재명을 찍을 일은 없을 줄 알았는데… 품격아 미안해, 지능이 더 중요할 것 같아.
정말 누가 나와도 이재명을 찍을 일은 없을 줄 알았는데… 품격아 미안해, 지능이 더 중요할 것 같아.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