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2/01/15 13:57:20
Name   cummings
Subject   집값은 올라가고 있는건가? 내려가고 있는건가?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1년7개월 만에 하락…집값 하락 '신호탄'>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POD&mid=sec&oid=001&aid=0012918536&isYeonhapFlash=Y&rc=N

14일 한국부동산원이 공개한 지난해 11월 공동주택 실거래가 지수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는 179.9로 전월 대비 0.79% 하락했다.
또 인천은 전월 대비 0.49% 올랐으나 경기도가 0.11% 하락하면서 수도권 전체의 11월 실거래가 지수도 0.27% 떨어졌다.




라는 기사가 1월14일에 나왔었는데
이 기사가 뜨기 딱 하루전 1월13일에 똑같은 부동산원 자료로 발표된 기사가 있습니다.


<강남 집값 상승세 '여전'…전국 아파트값 0.03% 상승>
https://n.news.naver.com/article/215/0001009099

1월 둘째주 전국 아파트값이 전주대비 상승했다.
13일 한국부동산원(원장 손태락)에 따르면 1월 2주(1월10일 기준) 전국 아파트가격 동향 조사 결과, 매매가격은 0.03% 상승했다.
수도권에선 서울이 0.02%, 인천, 경기가 각각 0.06%, 0.02% 올랐다





흔히 듣는 KB은행에서 발표하는 부동산 자료와
국가에서 발표하는 부동산원의 자료가 다르다는건 아시는분들이 많을텐데,

얘는 똑같은 부동산원 자료인데 뭐가 다른가??의야해서 한번 찾아봤습니다.


전자는 [아파트 실거래 가격지수]
- 실제 [신고된 실거래가 내역]을 바탕으로
- 과거 거래된 동일한 주택. 즉 단지, 면적, 동, 층그룹(1,2층/중간층/최상층)을 동일주택으로 가정해서
- [특이거래(특수 거래, 일정수준 이상의 신고가)를 제외]하게됩니다.

참고, 아파트 실거래 가격지수 Q&A
http://www.molit.go.kr/USR/policyTarget/dtl.jsp?idx=159


후자는 [전국아파트가격동향조사]로서
- 한국감정원 소속 전문조사자가 [현장조사를 통해 동향파악 + 실거래가 및 여타 가격자료](중개업소 탐문가격, 매물가격, 호가수준)을 참조해 가격이 평가됩니다.
- 당월 표본주택거래가 없는 경우, [같은 유형 비슷한 규모의 인근주택 사례를 비교]하여 가격조사가 되며
- 조사된 가격을 바탕으로 주택가격 비율을 [주택재고량]을 기준으로 평균해서 산출됩니다.

참고,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Q&A
https://www.molit.go.kr/USR/policyTarget/m_24066/dtl.jsp?idx=873


즉, 일반적으로 전자가 더 명확하나
지금처럼 거래가 없고 신고가나 신저가가 날뛸때엔 왜곡될 여지가 있습니다.
급매를 제외한, 일반적으로 보이는 시장가격과도 괴리가 있을수 있구요.
(첫 뉴스기사속 도표상에는 2020년 4월에도 하락했다고 되어있는데...하락이 있었는지 기억도 잘 안나네요;;;)





다만 1월 10일자 KB지수 또한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지난주 대비 0.03%로 낮은 상승세의 보합권이 유지되나, 하락추세이고




[경매낙찰가율] 또한 100% 이상으로 유지가 되고있기는 하나
하지만 추세가 점차 내려가고 있는것은 사실이라...

<꽁꽁 얼어붙은 아파트 경매 시장…지난해 12월 낙찰률 연중 최저>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22/01/43816/

급격하게 상승한 수도권 지역들에 대한 조정이 들어가고 있으며
2019년 초의 거래없는 치열한 눈치보기 조정장이 재현될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집값이 조정받는 이유가 하락전환이라기보다는 금리상승 + DSR등의 대출제한에 따른것이라고 생각되며

22,23년 주택부족과 3기 신도시나 이번 대선이후의 주택공급과의 괴리는 여전해보이는지라

갈아타실 생각이 있으신 분이나 조만간 집이 필요하신 분은 슬슬 대선 이후로 알아보시는것도 좋겠습니다.

민간뿐만 아니라 주요기관들도 올해 상승을 예측하는 상황이거든요.

<정부 "집값 하락" 민간 "상승"…부동산원 난감? 올해 전망 안한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2010709451184300





공급을 시작하는 모양새인데다가 주택가격의 싸이클이 있다보니
시장에서는 2030년 전후의 조정 혹은 하락을 예상하나

개인적으로는
- 고금리가 오랜기간 지속된다거나
- 집값이 사회문제가 될 정도로 하락하는 모양새임에도 대출제한, 투기과열지구, 종부세 등을 유지할 것
이라고 생각하진 않고...

다음주에 IPO 하는 LG에너지솔루션에 어마어마한 투자대기자금이 들어올것으로 예상되어
(세상에 돈이 없는게 아니라 나만 없...ㅠㅠ)

장기간 거주할 수 있는, 지역 내 괜찮은 곳을 잡을 기회가 온다면 언제든 좋다고 생각합니다.
실거주 1주택이 지금 당장 팔지 않으면 큰일나는 상황은 드무니까요.

지금 집 샀다가 제2의 imf나 리먼때 폭락가격에 매도할거라고 생각하는게 쉽게 일어나지 않는 것처럼
지금 존버해서 제2의 imf나 리먼때 줍겠다는것도 쉽지 않을겁니다.
그때가 오면 전세금 빼기도 쉽지 않을거고, 주식시장도 집값이랑 같이 손잡고 바닥찍고있을테니까요.



대략 정리하면, 조정장이 시작될 분위기가 풍기지만 아직 집값 하락을 언급할 단계는 아니다.

거래가 막힌데에 따른 급매와 일부 신고가가 혼재된 양상으로 대선 이후 어디로 튈지는 알수 없다.

조만간 부동산시장에 참여해야할 상황이라면 요번 조정장에 급매를 알아보는것도 괜찮겠다. 정도로 요약을...



1


    cummings
    [글쓴 사람 사실 부알못입니다.
    선동과 날조에 유의하시고 꼭 스스로 투자판단 해주시기 바랍니다.]
    8
    전 대선이후 시장분위기보고 결정하는게 좋더고 봅니다. 저는 22중~23초 사이에 Try를 할거같아요. 어느쪽이든 행동할 계획이시라면 시장동향을 주시해야할거같습니다. 변동성이 큰 장인거같아서. 지금당장은 급할거 없어보입니다.
    2
    syzygii
    단기적 공급은 어쨌든 부족+단기적 공급은 누가되도 못올림+공급도 민간과 임대 비율을 봐야함+각종 규제나 세제도 수치까지 봐야 영향력 측정 가능
    ex)이재명이 재건축 규제 완화와 개발이익 환수를 동시에 말했는데 재건축 활성화엔 완전 반대되는 정책이라 세부 수치까지 나와야 함
    이기 때문에 누가 되도 실제 행하는거 보지않고 이후 시장분위기를 섣불리 예측하긴 힘들듯합니다.
    내려가던 올라가던 못사는건 똑같음
    2
    낙찰가율 떨어지는건 당연합니다. 감정가액이 올라가서 법사가(경매 시작가)가 올라가니 당연히 시세가 유지된다면 낙찰가율은 100% 이상에서 100% 까지 내려오는거죠.
    cummings

    맞는 말씀입니다. 제가 잘 몰랐네요.

    찾아보니 낙찰가율 90%정도만 되어도 높다고 보는듯 합니다.
    물건별 사례별로 너무나 많은 경우의 수가 있어서... 90%가 높은지에 대한 판단도 어렵긴 합니다. 보여주신 표처럼 경매의 동향이나 추이로 판단하자면 맞을 가능성이 높겠습니다.
    글고 수도권 아파트는 보통 100%를 전후합니다. (경매가 진행되는 6개월~1년간 시세가 계속 상승하는 것이 일반적이라..)
    cummings
    고견 감사드립니다.
    고견이라긴 부끄럽습니다...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2587 경제음식진공밀폐기 팝니다 20 흑마법사 22/03/07 4447 0
    12578 경제갤럭시 버즈 프로 팔렸습니다 16 면이면옥 22/03/04 4267 1
    12522 경제성공적인 지방의 대기업 입성, 대구신세계 이야기 14 Leeka 22/02/18 4576 4
    12455 경제게임이 청년 남성의 노동시장 참여를 줄였다? 28 카르스 22/01/20 4973 21
    12444 경제집값은 올라가고 있는건가? 내려가고 있는건가? 9 cummings 22/01/15 4534 1
    12436 경제인구절벽발 노동인력 부족 우려는 과장인가 27 카르스 22/01/12 5321 34
    12412 경제OECD 경제전망 - 한국 (전문번역) 5 소요 22/01/06 4015 16
    12405 경제2021년 5대백화점 매출 순위가 공개되었습니다 2 Leeka 22/01/05 4344 0
    12391 경제국민 재난지원금이 내일이면 사라집니다 4 알겠슘돠 21/12/30 4067 1
    12375 경제2021년 대한민국 100대 상권 분석이 공개되었습니다. 11 Leeka 21/12/23 4934 1
    12365 경제신세계는 어떻게 광역시들을 정복했나? 6 Leeka 21/12/20 3710 3
    12355 경제연도별 대한민국 1조 돌파 백화점들 11 Leeka 21/12/16 3895 1
    12343 경제롯데그룹은 왜 위기에 빠졌나.. 25 Leeka 21/12/13 5160 3
    12339 경제대구신세계에 이어, 현대백화점 본점도 1조 클럽 가입. 1 Leeka 21/12/10 3756 1
    12257 경제개인적인 투자 원칙 방법론 공유 13 Profit 21/11/09 5405 13
    12216 경제2017~2020년까지의 5대백화점 지점별 매출 추이 2 Leeka 21/10/29 5559 1
    12156 경제정부가 대출을 막는 이유 27 Folcwine 21/10/11 5135 8
    12144 경제노동에 대한 관점이 변해야하는 시기가 아닐까 13 엠피리컬 21/10/07 3666 5
    12140 경제월세 폭등의 시대가 도래할 것인가 17 Folcwine 21/10/05 4971 2
    12128 경제정부의 부동산 정책 변화에 대한 생각 12 Folcwine 21/09/30 4429 4
    12081 경제적당한 수준의 실거주 1주택을 추천하는 이유 35 Leeka 21/09/16 4571 4
    12066 경제NFT의 암호화폐 생태계 기여도에 대한 분석 lonely INTJ 21/09/11 4451 3
    12043 경제나의 주식투자 실패기 4 syzygii 21/09/03 4126 1
    12018 경제한국은 중부담 중복지 국가가 되어가는가? 13 샨르우르파 21/08/26 4482 5
    12016 경제강남아파트 시들 강북 연립 활기 -2008년 기사입니다. 5 요일3장18절 21/08/26 4336 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