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2/02/10 17:49:03수정됨
Name   요일3장18절
Subject   자주포란 무엇인가? - (2) 곡사포의 등장
곡사포의 등장

1차 세계대전 전까지 화포는 거의 대부분 "직사포"였습니다.

직사포란 무엇인가? 똑바로 쏘는게 직사포죠. 다른말로 평사포라고도 합니다. 직사포가 아닌 것은? 곡사포입니다. 곡선으로 떨어지게 쏴서 곡사포에요.



요 그림에서 "Gun"이라는게 직사포고, "Howitzer" 라는게 곡사포입니다.

근대전투에서 화승총을 든 보병은 오와 열을 맞춰 전진을 했습니다.
그러면 대포들은 그렇게 걸어오는 보병을 향해 펑 펑 포탄을 날려주었죠.
그러면 마치 볼링공처럼 병사들을 쓰러트렸습니다.



그래도 이때는 화승총이라는게 조준력이 나빴기 때문에 저렇게 최대한 밀집해서 늘어선채 사격을 하는 것이 그나마 살상력을 높였기 때문에 저런 형태의 전투가 유지되었는데요. 이런 형태의 전투를 라인배틀(Line Battle)이라고 합니다.

이런 형태의 라인배틀은 점차 소총의 성능이 좋아지면서 점차 사장되었고,
특히 1차 세계대전에서 땅을 파고 장애물을 설치해서 참호를 만들어 대치하는 형태가 자리잡게 됩니다.
그리고 점차 대포도 적을 향해 직접 발포하는 직사포 보다, 참호나 요새 뒤에 숨어있는 적을 공격하는 형태의 곡사포가 더 많이 사용되게 됩니다.

그리고, 라인배틀 형태는 기관총이라는 물건이 나오면서 완전히 끝장이 났는데요. 참호나 요새속에 몸을 숨긴채 열맟춰 돌격해오는 적병을 기관총으로 순삭하는 일들이 반복되게 됩니다. 특히 독일군들은 참호의 양 끝에 기관총을 배치해서 차례대로 전진해오는 적들을 순식간에 삭제해버립니다.



이런 형태의 전투의 대표적인 것이 "솜 전투(Battle of Somme)"인데요.
프랑스의 솜 강 유역에서 영국군은 참호 속에서 철저한 방어태세를 갖춘 독일군 진지를 향해 "오와 열을 맞춰 걸어가는 돌격"전술을 취함으로써 단 하루만에  5만 8천명이 전사하는 최악의 손실을 겪게 됩니다.

참호전의 등장

그 뒤로, 1차세계대전 동안 전투는 "참호전"이라는 지리한 형태가 지속되게 됩니다. 양쪽이 땅을 파고 모래주머니나 드럼통 같은 걸로 엄페물을 만든뒤, 가시철조망으로 적의 전진을 막습니다. (상대도 동일)
그렇기 때문에 참호나 요새 너머에 있는 적에게 공격을 하는 곡사포가 더 중요하게 되었습니다.

이 시기의 전투는 대치 상황속에서 어느 한쪽의 돌격작전으로 시작이 됩니다.
그러면 먼저 대포(곡사포)를 통해 적의 철조망, 지뢰, 방어진지 등을 파괴합니다. 이때의 포격은 무차별 포격으로 지역을 아주 쑥대밭으로 만들어 놓습니다. 이렇게 지상의 장애물을 쓸어버리면, 보병들이 참호에서 튀어나와 돌격을 합니다.

그러면 상대도 포격을 피해 참호속에 웅크리고 있다가 다시 고개만 내밀고 총질을 해댑니다. 엄청난 피해를 감수하고 돌격한 뒤 참호에선 백병전을 일으킵니다. 그렇게 해서 점령을 하게 되면 해당 참호까지 진격을 완성합니다.

그러나 이 참호전의 참혹함은 이게 끝이 아니라 그 뒤편에도 계속해서 제2의 제3의 참호가 계속 이어졌다는 것이고요.

결국 이런 지리한 소모전인 참호전은 기병의 현대식 계승인 전차(탱크)가 등장하고나서야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탱크의 고속기동은 포격으로 제압이 불가능했고, 기관총과 철조망으로는 탱크의 방어력을 이길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저 위의 포의 종류에서 직사포는 탱크에 가서 붙게 되어, 탱크의 장애물을 파괴하거나, 적 탱크를 파괴하는 용도로 다시 부활하게 됩니다.

원래 이 기병이라는 병과는 근대 전투에서는 포병을 제거하는 임무를 맡았는데, 대포의 사정거리가 계속 늘어나면서 전차는 다시 보병진지를 돌파하는 원래의 역할로 돌아가게 됩니다.

이에는 이, 눈에는 눈, 대포는 대포로

그러면 현대전에선 이 적의 포병은 어떻게 제거를 하게 될까요?
그것은 아군의 포병으로 제거를 합니다.

우리가 중학교에 올라가면 삼각함수를 배웁니다. (고등학교에선 심화)
이놈의 싸인코싸인탄젠트를 어디서 써먹느냐? 바로 이 포병에서 써먹습니다.

화약의 압력을 바탕으로 발사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목표지점에 정확히 포격을 가하는 것이죠.

그래서 현대도 포병 병과 중에는 "사격지휘병"이 있습니다.
산 꼭대기 쯤에서 숨어서 망원경으로 적의 위치를 파악한다음 얼른 삼각함수 계산을 통해 어느 각도로 어떻게 포를 쏘라고 지시를 해주는 것이죠.

그럼 산 아래 포대에선 그 값을 바탕으로 해당 좌표를 향해 발포를 합니다.

그러면 적은? 마찬가지로 포가 날아온 괘도를 역산합니다. 레이더와 탄도 추적 등 역산을 통해 적 포대의 위치를 파악하고 그 쪽을 향해 자신들의 대포로 발포를 하는 거죠.
그렇기 때문에 삼각함수는 중요합니다. (응?)



그래서 사실 상호간에 포격전을 할 때는 포병이 포를 쏠 수 있는 순간이 그리 많지 않습니다. 적들도 바보가 아닌이상 포격당하는 것을 그대로 뒀다가는 순식간에 쑥대밭이 되기 마련이거든요. 그래서 항공기를 이용하던, 자신들의 포병을 활용하던 상호간에 포병진지 파악이 굉장히 중요하고 파악이 되면 바로 역습에 들어가는 것이 기본 순서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포병은 평상시에는 위치 노출을 최소화하고 있다가 최대한 빠르게 진지구축을 하고, 최대한 빠르기 빠빠바방 쏘는 것이 핵심입니다. 시간이 지나면 적의 역습이 시작되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최대한 짧은 시간 내에 최대 효과를 내려는 연구가 계속됩니다.

모아서 빠바방(TOT)

TOT라는게 있습니다. Time on Target의 줄임말로 말 그대로 모아서 한번에 빠바방 때리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순식간에 목표지점을 초토화 시킬수가 있거든요. 이러면 역습을 당해서 가동 불능이 되더라도 포격의 목표는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굉장히 중요한 전술이 됩니다.


하지만 이 덕분에 아군 포병의 숙련도가 매우 중요합니다. 조금이라도 잘못해서 아군 병사들 머리위로 떨어진다면, 한순간에 아군이 끔살당하는 참혹한 결과를 맞이하게 되거든요.

근데 꼭 이 TOT를 여러대포로만 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대포 한대로 높이 쏘고 중간 쏘고 낮게 쏘고 하면, 포탄의 체공시간을 다르게 할 수 있어서 최종적으로는 여러 포탄이 동시에 목표물에 떨어지게 할수있습니다.




빨리 쏘고 도망가자

TOT도 좋지만, 아무래도 포병을 활용하는데 있어서 느린 기동력은 약점이 됩니다. 그래서 아무리 TOT를 하고 포병진지를 은폐 엄폐한다해도 역습이 시작되면 병사들은 어떻게 살아남는다고 해도 포 자체는 결국 무력화되기 쉽거든요. 그래서 기껏해야 1회성, 2회성밖에 활용이 안되는 것이 아쉬운점이 되었습니다.

그래서 등장한 아이디어가, "대포에 엔진을 붙여 스스로 다니게 하면 어떨까?" 하는 것이죠. 그래서 드디어 등장하는 것이 스스로 움직이는 포(자주포)가 됩니다.

-to be continued-



13
  • 화력덕후국가에 알맞는 훌륭한글
  • 우리 모두가 사랑하는 대포 이야기
  • 더크게!더길게! (건전하다!)


겨울삼각형
15세기부터 박격포를 썼는데요(??)
요일3장18절

요런거 쓴거는 저도 알고는 있는데..

그냥 대충 현대적 의미의 박격포...로 이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커뮤니티적 허용"으로 봐주세용
왼쪽의지배자
빨리 다음화를 주세요 현기증난단 말이에요 ㅠ
155mm 견인포병 출신으로 흥미진진하게 읽고 있는데 자주포 나오는거보니 견인포는 잠깐 스쳐지나가네요ㅠ
매뉴물있뉴
그... 사격지휘병 출신입니다.
사격지휘에 대해 몇가지 오해를 정리하자면
일단 사격지휘병은 싸인코싸인탄젠트 몰라도 됩니다ㅋㅋ

병사/간부를 학력순으로 늘어놓기가 그... 좀 PC스럽지 못하긴 하지만
대체로 병사:중졸, 하사:고졸, 장교:대졸 쯤으로 생각하고
각각의 임무를 배정한다고 생각하면 맞는것 같습니다.
근데 그... 중졸에게 삼각함수를 이해하고 활용하라고 하면 좀 어렵지 않겠습니까?
그래서 '사표'라는 책을 활용합니다.

예를 들어 155mm대포를 쏠때
30도 각도에 맞춰놓고 A형 장약을 사용하여 탄약을 발... 더 보기
그... 사격지휘병 출신입니다.
사격지휘에 대해 몇가지 오해를 정리하자면
일단 사격지휘병은 싸인코싸인탄젠트 몰라도 됩니다ㅋㅋ

병사/간부를 학력순으로 늘어놓기가 그... 좀 PC스럽지 못하긴 하지만
대체로 병사:중졸, 하사:고졸, 장교:대졸 쯤으로 생각하고
각각의 임무를 배정한다고 생각하면 맞는것 같습니다.
근데 그... 중졸에게 삼각함수를 이해하고 활용하라고 하면 좀 어렵지 않겠습니까?
그래서 '사표'라는 책을 활용합니다.

예를 들어 155mm대포를 쏠때
30도 각도에 맞춰놓고 A형 장약을 사용하여 탄약을 발사하면 정확하게 1000.0m를 날아간다.
31도 각도에 맞춰놓고 A형 장약을 사용하여 탄약을 발사하면 정확하게 1011.3m를 날아간다.
뭐 이런식의 데이터를 표로 만들어 정리해두고
사격지휘병이 찾을수 있게. 하는 것.

물론 사표를 만들어내야하는 개발파트라면 삼각함수를 통달해야하겠으나... ㅋㅋㅋㅋㅋ
국군 체계하에서의 자주포 사격지휘병은, 삼각함수를 몰라도 임무수행 쌉가능 합니다.

아 삼각함수를 몰라도 사격지휘병을 할수는 있으나
그렇다고 사격지휘 사표 계산이 쉬운것은 아닙니다.
모든 사격지휘병은 이등병때 '아 내가 이정도로 빠가였구나'하고 좌절하는 기간을 거쳐야
진정한 일병으로 진급할수 있읍니다.
...아 일병이 되었다고 해서 사격지휘를 통달하게 되는 것은 아닙니다.
...사실 병장이 되었다고 해서 사격지휘를 통달하게 되는 것은...................
제대할때쯤 되면 깨우친다고 합니다.
요일3장18절
아 네 ㅋㅋ 제 친구가 사격지휘병인데 하도 구라섞이느자랑을 많이 해서..그렇군요
kaestro
글 너무 재밌네요, 잘 읽고 갑니다~
수동제원 딸 때는 제법 영화나 드라마로 그릴법한 장면이 나오긴 합니다
OP에서 날아오면 바로 도판에 핀 꽂고 그리고 거리 따서 장약 호수부터 알려주고...고사계 아니라는 전제 하에...
그 시끄러운 장갑차 안에서사각 편각 불러주고
물론 이건 이동중에 상황 걸려서 위장망 치고 난리 부르스 치고 난 다음 상황이지만
게다가 수동세원 따는건 어디까지나 훈련이고 실사격은 다 정해진대로 쏴서...
수동제원 따는건 BTCS랑 차이 나면 까는 용도...
화력지원 측면에선 자주포만한게 없다 싶다가도
워낙 적이 많아서...
뱅기 탱크 ... 더 보기
수동제원 딸 때는 제법 영화나 드라마로 그릴법한 장면이 나오긴 합니다
OP에서 날아오면 바로 도판에 핀 꽂고 그리고 거리 따서 장약 호수부터 알려주고...고사계 아니라는 전제 하에...
그 시끄러운 장갑차 안에서사각 편각 불러주고
물론 이건 이동중에 상황 걸려서 위장망 치고 난리 부르스 치고 난 다음 상황이지만
게다가 수동세원 따는건 어디까지나 훈련이고 실사격은 다 정해진대로 쏴서...
수동제원 따는건 BTCS랑 차이 나면 까는 용도...
화력지원 측면에선 자주포만한게 없다 싶다가도
워낙 적이 많아서...
뱅기 탱크 전탐기에 의한 적 포병 반격 등등 천적이 너무 많네요
주둔지에서 해안 조명포 사격 지원할 때가 제일 편했던 것 같습니다
전포 분들에겐 죄송하지만 대대 FDC라 저는 주로 조명포 비사격 싸이렌 울리는 역할이었거든요 ㅎㅎㅎ
schadenfreude
ENIAC이 이거 계산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국방부와 계약해서...
자주포란 무엇인가가 제목인데 왜 다음편부터 자주포가 나오는거죠? 빨리 다음화 내놓으시죠…
절단신공 수련을 어마무시하게 하셨군요. 얼른 다음화 가져오세욧!!!
(좋은 글 고맙습니다 ^^)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460 역사(펌)폐지 줍는 독립운동가 아들 굴뚝새 23/01/05 2252 2
13458 역사내가 영화 한산에 비판적인 이유 14 메존일각 23/01/04 3070 15
13112 역사홍콩의 기묘한 도로명의 유래 10 아침커피 22/08/27 4423 34
13037 역사조위에서 조조가 그렇게까지 잘못했나(feat.사마의) 14 OneV 22/07/31 4085 0
12777 역사3.1 운동 직전 조선군사령관에게 밀고한 민족대표? 2 라싸 22/05/04 3390 3
12584 역사삼국지를 다시 읽으면서... 4 로냐프 22/03/06 4023 0
12507 역사자주포란 무엇인가? - (2) 곡사포의 등장 11 요일3장18절 22/02/10 6191 13
12477 역사왜 '민주정'이라고 하지 않고 '민주주의'라고 하나? 26 매뉴물있뉴 22/01/29 4955 0
12471 역사자주포란 무엇인가? - (1) 자주포 이전의 대포 14 요일3장18절 22/01/26 4741 9
12373 역사UN군이 실제로 파병된적은 얼마나 있었을까? 6 Leeka 21/12/22 4242 1
12090 역사뉴질랜드와 핵실험, 거짓말쟁이 프랑스. 4 코리몬테아스 21/09/18 4632 15
12019 역사과거를 도려낸 나라의 주민이 사는 법. 15 joel 21/08/27 4555 24
12007 역사서양 사학자 평가한 촉한 12 히하홓 21/08/24 5024 2
11830 역사왜 작은 어머니를 숙모라고 부를까. 19 마카오톡 21/06/30 9552 20
11794 역사춘추시대의 샌디쿠팩스. 중이. -완- 4 마카오톡 21/06/17 5426 5
11788 역사춘추시대의 샌디쿠팩스. 중이. -중편- 4 마카오톡 21/06/15 4583 13
11780 역사춘추시대의 샌디쿠팩스. 중이. -상편- 3 마카오톡 21/06/14 4355 14
11775 역사평생을 가난하게 살다가 70살에 재상이 된 남자. 백리해. 17 마카오톡 21/06/10 5672 31
11768 역사왕안석의 신법이 실패한 이유. 6 마카오톡 21/06/08 5108 17
11718 역사(3) 뮤지컬 해밀턴 속의 역사 2막 (완) 4 매뉴물있뉴 21/05/24 4134 3
11706 역사(2) 뮤지컬 해밀턴 속의 역사 1막-2 매뉴물있뉴 21/05/21 4391 3
11702 역사(1) 뮤지컬 해밀턴 속의 역사 1막-1 2 매뉴물있뉴 21/05/21 3761 3
11699 역사(0) 뮤지컬 해밀턴, 그 가장 첫 시작 5 매뉴물있뉴 21/05/20 4374 2
11537 역사왜 멕시코는 북아메리카에 속하는가? 19 아침커피 21/03/31 6712 10
11517 역사새뮤얼 피프스, 왕비의 미라에 입을 맞추다 2 엘에스디 21/03/24 4965 7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