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5/10/18 20:49:28
Name   nickyo
Subject   앵거스 디턴 위대한 탈출의 번역이 이상하다?
http://socialandmaterial.net/?p=33921

앵거스 디턴이 노벨 경제학상 수상하자마자 국내 경제지들은 환호성을 지르며 대문에다가 피케티와 좌파적 경제학자들(피케티가 좌파라는것도 참 생소하지만)을 신나게 능욕하고 싶어하는 욕망이 꿈틀대는 기사들을 쓰기 바빴습니다. 그러나 몇몇 군소 언론지에서는 디턴의 그 간의 연구와 '위대한 탈출'이라고 번역된 저작 등에 대해 다시 알아보며 그 기사들이 허황된 거짓에 가깝다고 비판했죠.


디턴이 불평등과 빈곤이 하나의 '성장'에 대한 동기로서 작동한다는 주장을 한 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그는 이게 모든 사회에 통용되는 것이 아니며, 각 사회의 수준이나 상황에 따라 빈곤과 불평등은 다른 해결책으로 접근해야하고, 그럼에도 불평등과 빈곤은 여전히 성장에 걸림돌이 될 수 있는 양면성을 지닌다는 점을 역설했습니다. 디턴의 주장에는 성장과 불평등 뿐만아니라 세계의 빈곤과 보건에 대한 관심도 드높았죠.(난커피가더좋아 님이 아주 잘써주셔서 배웠습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그런것들을 싹 빼고 기사에 대문짝만하게 '노벨경제학자 수상자가 말씀하시길, 불평등과 빈곤은 성장의 밑거름!나쁜게 아니다!
이렇게 떠들었습니다. 뭐, 언론지야 원래 게이트키핑이 일어나고 자기 이익과 자기 자본에 맞는 입장을 쓰는데다가, 한경은 특히 극우적 경제관을 강하게 주장하는 신문이니.. 하고 짜증만 난 채로 넘어갔습니다.


그런데 이 한경 신문사 출판부는 아주 대담하더군요. 위 링크의 블로거는 디턴의 유명한 저작인 '위대한 탈출'을 번역한 한경출판사가 번역을 의도적으로 곡해하여 출판했다고 주장합니다. 영문 원서와 국내 번역판의 비교를 통해 빠진 주장도 많고, 학술지의 '읽는 방향'을 정하는 서문을 마음대로 조각내었으며, 특히 그 결과물이 디턴이 원서에서 표현하고자 했던 자신의 연구와 주장을 왜곡된 방향으로 해석하게 만들었다고 합니다. 세상에, 위대한 개츠비 같은 고전소설도 번역 몇 군데가 어색해서 재판을 하고 그걸 가지고 사람들이 갑론을박하는 시대에! 무려 학술지를 자기들 마음대로 자르고 붙여서 번역본이랍시고 낸겁니다.

블로그에서는 인트로듀스부분을 중점적으로, 보건관련 내용은 생략수준에 발전과 불평등에서 불평등을 대부분 축소하거나 문장을 손봐서 발전을 중심으로 해석하게끔 번역해두었다고 합니다. 본문내용은 더 가관이라고하니 없는말을 지어낸건 아닐까 걱정까지듭니다. 학술지의 서문은 그 자료를 해석하는 가이드라인에 가까운데(연구 의도와 방법과 핵심주제를 소개한다는점에서 특히 중요하죠) 그걸 왜곡한다는건 책 전체에대한 오독의 위험성을 배가시킵니다.

워낙 국내 출판시장의 규모가 작고, 학술지는 특히 그러다보니 감수조차 제대로 안된것은 아닐까 싶으면서도, 아무리 감수단계에서 문제가 있어도 그렇지 이런식으로 책을 번역해서 내놓는 저 '우파 경제지'의 자신감에는 놀라울 뿐입니다. 며칠전에는 자유경제원 소속 토론패널이 코미디를 찍더니, 이제는 한국 양대 경제지의 출판사에서(양대 경제지가 한경과 매경이라니 진짜 지옥같네요) 학술지를 번역하면서 한다는 짓이...


영어와 경제학이 무슨 상류계급의 전유물도 아니고.. 디턴과 프린스턴대학 출판부가 국제소송을 거하게 날려줬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프린스턴대학 출판부에 영어 이메일부터 써야겠네요. 영어를 잘 못하지만 사전을 끼고서라도 쓸겁니다 젠장. 경제지의 학술적 자존심이 1g도 없는건지 지독하네요 정말...



0


    난커피가더좋아
    충분히 설득력있는 얘기입니다. 그때 매경에서 일으킨 피케티 열풍때문에 한경은 살짝 배가 아픈 상황이었거든요. (어디까지나 가능성입니다만...)저도 책을 읽으면서 이상하다 이상하다 싶은게 있더라고요. 아마존에 영어책 주문해놨습니다. 짜증나서.
    역시..! 경알못+영알못인 저와는 달리 고급진(?)항의메일과 영어판 후기 기대해봅니다! 대중에게 지식을 퍼뜨려주는건 지식인의 의무같은거 맞죠? 기대하며 기다리겠습니다
    난커피가더좋아
    근데 우리나라 번역계가 워낙 열악해서 의도하지 않은 걸 수도 있긴 합니다. [혁신기업의 딜레마]라는 크리스텐슨 할배의 책도 번역이 똥망이거든요. 중반부까지는 그럴싸한데 뒤로 갈수록 이상해져서, 도서관에서 영어책 보니까 \'이런이런\' 싶은 부분이 많더라구요. ㅠㅠ 그래도 뭔가 심증은 가지요 이번 경우는 특히 흐흐. 아마 구입한 책이 오더라도 방학이나 돼야 영어판을 볼 시간이 날테니, 바로 원하시는 성과를 보여드리긴 쉽지 않을 듯 합니다. 죄송해요.
    크 방학이라니 충분히빠르네요! 죄송할일도전혀아니고요ㅜㅜ
    이걸 보면서 참 황당했습니다. 교과용 서적에서 번역 어색한 거야 하루이틀이 아니지만 학술 서적에다 아예 곡해 수준이라니... 진짜 왜곡한 거라면 부끄러운줄 알아야지 & 인생은 실전이야 & 정의구현 실현되길 바랍니다.
    darwin4078
    결국 디턴 vs. 피케 대결구도는 모 경제지의 뻘짓이었던 거군요. 괜히 신문 이리저리 돌려보면서 고민했습니다.
    사실이 아니면 좋겠습니다. 너무 슬프잖아요.
    눈부심
    아...진짜 너무하네요.. 이건 너무 비열하잖아..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2912 7
    15407 일상/생각토요일의 홀로서기 큐리스 25/04/26 113 1
    15406 일상/생각사진 그리고 와이프 1 큐리스 25/04/25 311 3
    15405 게임마비노기 모바일 유감 8 dolmusa 25/04/25 460 5
    15404 일상/생각인생 시뮬레이션??ㅋㅋㅋ 1 큐리스 25/04/25 362 0
    15403 의료/건강긴장완화를 위한 소마틱스 운동 테크닉 소개 4 바쿠 25/04/24 435 9
    15402 도서/문학사학처럼 문학하기: 『눈물을 마시는 새』 시점 보론 meson 25/04/23 287 5
    15401 일상/생각아이는 부모를 어른으로 만듭니다. 3 큐리스 25/04/23 449 10
    15400 꿀팁/강좌4. 좀 더 그림의 기초를 쌓아볼까? 6 흑마법사 25/04/22 352 18
    15399 일상/생각처음으로 챗GPT를 인정했습니다 2 Merrlen 25/04/22 759 2
    15398 일상/생각초6 딸과의 3년 약속, 닌텐도 OLED로 보답했습니다. 13 큐리스 25/04/21 847 28
    15397 일상/생각시간이 지나 생각이 달라지는것 2 3 닭장군 25/04/20 753 6
    15396 IT/컴퓨터AI 코딩 어시스트를 통한 IDE의 새로운 단계 14 kaestro 25/04/20 630 1
    15395 게임이게 이 시대의 캐쥬얼게임 상술인가.... 4 당근매니아 25/04/19 625 0
    15394 꿀팁/강좌소개해주신 AI 툴로 본 "불안세대" 비디오 정리 2 풀잎 25/04/19 599 3
    15393 IT/컴퓨터요즘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AI툴들 12 kaestro 25/04/19 774 18
    15392 도서/문학명청시대의 수호전 매니아는 현대의 일베충이 아닐까? 구밀복검 25/04/18 478 8
    15391 정치세대에 대한 냉소 21 닭장군 25/04/18 1210 15
    15389 게임두 문법의 경계에서 싸우다 - 퍼스트 버서커 카잔의 전투 kaestro 25/04/17 383 2
    15388 일상/생각AI한테 위로를 받을 줄이야.ㅠㅠㅠ 4 큐리스 25/04/16 688 2
    15387 기타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번외. 챗가를 활용한 스피커 설계 Beemo 25/04/16 286 1
    15386 일상/생각일 헤는 밤 2 SCV 25/04/16 388 9
    15385 게임퍼스트 버서커 카잔에는 기연이 없다 - 던파의 시선에서 본 소울라이크(1) 5 kaestro 25/04/16 303 2
    15384 일상/생각코로나세대의 심리특성>>을 개인연구햇읍니다 16 흑마법사 25/04/15 705 10
    15383 일상/생각평범하지 않은 평범한 사람들 1 큐리스 25/04/15 620 8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