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2/07/16 16:45:57
Name   Folcwine
Subject   에너지 얼마나 올랐나?
얼마나 올랐을까요?

1. 원유
- 두바이 : 52주 최저 67.6, 현재 101.03달러, 1년간 36.9% 상승
- WTI : 52주 최저 61.7, 최고 130.5, 현재 97.57달러, 1년간 36% 상승


2. 가스
- TTF (EU) : 52주 최저 34.6, 현재 159.57유로/MWh, 1년간 417.9% 상승
- 천연가스(US) : 52주 최저 3.54, 현재 7.115달러/MMBtu, 1년간 96.9% 상승

참고로 천연가스(TTF)는 코로나 저점 4.0유로/MWh 대비 3,989% 상승했습니다. 가장 상승폭이 큽니다. 유럽의 쇠퇴가 눈 앞에 있네요.


3. 석탄
- 뉴캐슬 : 52주 최저 139, 현재 406.55달러/t, 1년간 180.8% 상승


4. 우라늄
- 52주 최저 30.35, 현재 46.65달러, 1년간 43.47% 상승

우라늄은 아는게 없지만 미국 우라늄 선물 가격을 그냥 검색해서 가져왔습니다.


5. 전기요금
○ 전력 도매가격(2022년 3월 전년동월 대비)
  - 영국 : 79달러/MWh -> 347달러/MWh로 338% 상승
  - 독일 : 56달러/MWh -> 277달러/MWh로 394% 상승
  - 프랑스 : 60달러/MWh -> 325달러/MWh로 444% 상승
  - 스페인 : 54달러/MWh -> 312달러/MWh로 477% 상승
  - 일본 : 57달러/MWh -> 221달러/MWh로 286% 상승

  - 한국(SMP) : 84원/kWh -> 193원/kWh로 229% 상승

참고자료
- 인베스팅 닷컴
- 주요국의 최근 전기요금 변화 추이와 정책 동향, KEEI, 2022-06-07
- 전력통계정보시스템


슥슥 검색해보니 이 정도 올랐다고 합니다.

2016~17년 생각이 나네요. 이만큼 유가가 싼 시기가 앞으로 오지 않을 수 있다, 갈 수 있을 때 해외여행 많이 가야한다는 말 종종 했던 기억이 납니다. 물론 코로나가 오면서 유가 예측은 틀렸지만 해외여행은 잘 다녀온 것 같네요.

요즘에는 에어컨 틀 수 있을 때 많이 틀어야 한다는 이야기를 합니다. 그마나 서민들이 부담없이 에어컨 틀 수 있는 마지막 여름일 수도 있다는 생각도 들고요. 워낙 요금이 싸니 아직도 코인 채굴하는 분들도 있죠.


올해가 지나면 한전은 적자 20~30조원 청구서를 받을텐데 에너지 가격이 빠르게 정상화되지 않는다면 정부가 선택할 수 있는 길은 딱 2가지입니다. 정부는 원하든 원하지 않든 어쨌든 결정해야 하죠.

1. 민영화 : 발전사 매각이 유력해보이나 가시밭길이죠.
2. 세금투입 : 자금수혈 해서 살리는건데 이것도 가시밭길. 물론 1번보단 쉬워보입니다. 괜히 프랑스가 EDF 국유화해서 요금손실을 세금에 녹이려는게 아니죠. 전기요금보단 세금의 조세저항이 더 낮기 때문입니다.

원래는 3번 전기요금 원가까지 인상하는 선택지도 있으나 이건 선택을 안 했죠. 대신 올해까지는 요금 천천히 올리면서 채권 찍어내서 시간벌기 할 것으로 보입니다. 내년에는 한전법 개정을 해야 채권발행이 가능하다고 하네요.

그러면 내년에는 1번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루머로는 2번 세금투입 계획은 부정했다는 이야기도 있고, 지금까지 해온 말이 있는데 방만경영 공기업에 세금지원을 한 정부가 되버리니까 더 선택하기 어렵겠죠. 다만 정부 지지도가 급락중인데 1번이 가능할 지는 잘 모르겠네요.

올해도 문제고 내년은 더 문제인데 여튼 에너지 가격이 빨리 진정되기만을 바랍니다...



1
  •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카리나남편
공기업의 존재 이유가 세금 투입하기 위함인데..
1
1번 간다고 하면 엠비식 민영화라고 저항이 극심할텐데요. 사가려고 기다리는 사람들만 신나지
철도, 도로, 수도, 전기 등 공공재 or 공공성을 띠는 서비스는 이윤을 내야하는 민간에 맡기면 가격이 비싸지기 때문에 적자를 보더라도 국가가 개입해야 하는게 맞다고 배웠는데... 하하;;
2
짭뇨띠
민영화는 국민들이 타국의 폭망사례를 미디어를 통해 수없이 접했고 민주당의 정치선동 밥줄이라 될 가능성 없다 봅니다. 저항이 너무 강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318 경제CFO Note: 사업과 세금 (1) - 협력업체 직원들에게 지급한 야근식대가 '접대비'에 해당하는지 1 김비버 23/12/08 2439 6
14290 경제주식양도소득세 정리(2022. 12. 31. 법률 제19196호로 일부개정된 소득세법 기준) 7 김비버 23/11/22 3451 7
14285 경제주식 무서워요, 예적금 못기다려요, 목돈 아니예요! 하지만 돈은 불리고 싶어요! 12 Groot 23/11/20 3204 4
14187 경제국회의원들은 노후도시 특별법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19 구밀복검 23/10/12 3783 9
14166 경제2022 상위 1% 보고서. NH투자증권 100세시대 연구소 5 moqq 23/10/02 3064 1
14163 경제2022 중산층 서베이. NH투자증권 15 moqq 23/09/29 3096 2
14116 경제그냥 쉬었다는 청년들 증가, 정말 노동시장 상황 악화 때문인가 3 카르스 23/08/22 3560 5
14105 경제민간 기업의 평생 금융 서비스는 가능할까 11 구밀복검 23/08/15 2960 6
14101 경제사업실패에서 배운 교훈, 매출 있는 곳에 비용 있다 9 김비버 23/08/12 3027 26
14066 경제재벌개혁 관련 법제의 문제점(1) – ‘일감몰아주기’ 증여의제 과세 3 다영이전화영어 23/07/26 2776 6
13866 경제심심풀이 5월 종합소득세 이야기 10 Soul-G 23/05/16 2233 3
13613 경제사교육 군비경쟁은 분명 출산율을 낮춘다. 그런데... 10 카르스 23/03/02 3383 11
13513 경제인구구조 변화가 세계 경제에 미칠 6가지 영향 13 카르스 23/01/27 4273 10
13457 경제때늦은 2022년의 경제학 (+인접분야) 논문읽기 결산 8 카르스 23/01/04 2822 12
13436 경제정규직보다 계약직 월급이 많아야하고, 전세는 집값보다 비싸야 한다. 19 cummings 22/12/29 3903 3
13411 경제인플레이션이 뭘까요? 2 realwealth 22/12/19 3014 3
13402 경제이 사건의 시작은 질게의 한 댓글이었습니다. 11 아비치 22/12/17 3252 25
13353 경제위즈덤 칼리지 7강 Review 모임 특별편 (?) - 주간 수익률 게임! 16 Mariage Frères 22/11/26 2707 2
13350 경제부동산에 대한 잡썰 15 Leeka 22/11/25 3583 0
13087 경제중국경제에 대해서 드는 잡생각들 9 인석3 22/08/16 3728 0
13062 경제멀리 가버리는 유럽의 전력가격 5 Folcwine 22/08/06 3575 0
13015 경제가계부채에서 고정금리와 변동금리 비율은? Leeka 22/07/23 3035 0
13008 경제코인·투자 손실금까지 변제해주는 게 맞냐? 30 Wolf 22/07/20 4325 22
13001 경제에너지 얼마나 올랐나? 4 Folcwine 22/07/16 3576 1
12987 경제작년까지 나왔던 실거주 1채에 대한 잡설 37 Leeka 22/07/11 5046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