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5/10/22 20:40:44 |
Name | 마르코폴로 |
Subject | 케첩은 왜 토마토로 만들까? |
![]() 한나라 시절 중국의 동남부, 남부 해안의 푸젠성, 광둥성 지역은 중국인들이 ‘이족’ 또는 ‘백월’이라고 부르던 민족이 살고 있었습니다. 기원전 200년경 한무제는 제국의 영토 확장에 나섰고, 이들 이민족을 지금의 베트남과 캄보디아 등지로 밀어냅니다. 본래 이 지역에 살던 민족은 해안과 강변을 따라 살면서 현지에서 잡은 생선을 소금에 절여서 발효시켜 먹곤 했습니다. 5세기에 남겨진 기록을 보면 한무제는 이민족들을 추적하는 과정에서 강렬하고 맛있는 냄새를 맡았습니다. 사람을 보내 그 출처를 찾아보니 처음 보는 음식에서 나는 향이었습니다. 그 음식이 생선을 소금에 절인 것이었는데 황제는 이 음식을 아주 좋아했다고 합니다. 문헌을 살펴보면 이 시기에 중국인들이 생선소스를 처음 받아 들인 것으로 보입니다. 현대 푸젠성 방언에서는 찾을 수 없지만 19세기에 선교사가 남긴 사전에 찾아보면 ‘첩’이라는 음절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 ‘첩’은 푸젠성과 광둥성 방언으로 ‘소스’를 뜻합니다.(베이징어로는 ‘지(zhi)’라고 발음합니다.) ‘케’라는 음절은 푸젠성 방언에서 ‘저장된 생선’을 나타냅니다. 즉, ‘케첩’은 과거 푸젠성 방언에서는 ‘발효생선소스’정도의 뜻이었습니다. ![]() ![]() 한편, 17~18세기 동남아시아로 진출한 영국인들은 인도네시아의 중국상인들에게서 생선소스를 구매합니다. 푸젠성 출신의 화교들이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로 진출하면서 그 지역에서도 생선소스를 만들어 먹기 시작했는데 이 소스를 영국인들에게 판매한 것이지요. 당시 영국인들이 배에서 주로 먹던 식사인 절인 돼지고기나 건빵 등은 지속적으로 먹기에는 쉽게 질렸기 때문에 케첩이라고 불리는 생선소스와 같이 먹곤 했습니다. 또한 본국에다 이국적인 아시아 소스를 판매하기 위해서 구매하기도 했습니다. 영국에서 병에 담긴 케첩은 아시아에서 수입하는 비용이 비쌌기 때문에 귀한 상품으로 취급되었습니다. 이처럼 비싼 가격의 생선소스를 대체하기 위해서 영국에서도 조리법을 개발하게 되었고, 원조 케첩의 맛을 모방하여 나름의 케첩을 만들어 냅니다. 1742년 런던의 요리책을 살펴보면 엔초비와 버섯을 사용하여 케첩을 만드는 조리법이 실려있습니다. 19세기에 접어들자 사람들이 케첩에 토마토를 사용하기 시작합니다. 1817년에 영국에서 만들어진 케첩조리법에는 엔초비와 함께 토마토가 들어가고, 1850년대 중반이 되면 케첩에서 앤초비도 빠지게 됩니다. 이는 미국에서 케첩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케첩의 맛이 좀더 달콤하고 걸쭉한 소스를 선호하는 미국인의 입 맛에 맞춰 변형되었기 때문입니다. 1876년 헨리 하인즈가 토마토에 설탕을 가미하고 토마토 내용물의 함량을 높이면서 오늘날의 토마토 케첩의 형태가 완성됩니다. 본래 ‘케첩’은 영국에서는 ‘ketchup’, 미국에서는 ‘catsup’이라고 표기했습니다. 그러다가 1980년 ‘ketchup’이라는 철자법을 쓰던 미국의 하인즈 사(社)가 시장을 지배하자 다른 제조업자들도 하인즈식 철자법을 따라 쓰면서 ‘ketchup’이라는 표기법이 굳어집니다. 4
이 게시판에 등록된 마르코폴로님의 최근 게시물
|
명란젓은 처음 들어보네요. 저는 가지소스나 토마토를 가리키는 중국 방언에서 나왔다는 설 정도는 들어봤어요.
중국의 방언에 \'케\'라는 음절이 들어가는 말이 많아서 생긴 것 같아요. 가지소스가 타이완 방언으로 케첩이라는 단어와 유사하다는 말은 들어봤는데
그것말고 전파경로에 대해서 언급한 글이나 책은 못 봤습니다. 아마도 아시아의 피쉬소스가 토마토소스로 변화해가는 과정의 중간에 버섯, 가지 같은 것들로
시도하는 형태의 소스가 있었는데, 그것들과 엮이면서 생겨난 설이 아닐까라는 추측을 해봅니다.
토마토 설 같은 경우도 토마토를... 더 보기
중국의 방언에 \'케\'라는 음절이 들어가는 말이 많아서 생긴 것 같아요. 가지소스가 타이완 방언으로 케첩이라는 단어와 유사하다는 말은 들어봤는데
그것말고 전파경로에 대해서 언급한 글이나 책은 못 봤습니다. 아마도 아시아의 피쉬소스가 토마토소스로 변화해가는 과정의 중간에 버섯, 가지 같은 것들로
시도하는 형태의 소스가 있었는데, 그것들과 엮이면서 생겨난 설이 아닐까라는 추측을 해봅니다.
토마토 설 같은 경우도 토마토를... 더 보기
명란젓은 처음 들어보네요. 저는 가지소스나 토마토를 가리키는 중국 방언에서 나왔다는 설 정도는 들어봤어요.
중국의 방언에 \'케\'라는 음절이 들어가는 말이 많아서 생긴 것 같아요. 가지소스가 타이완 방언으로 케첩이라는 단어와 유사하다는 말은 들어봤는데
그것말고 전파경로에 대해서 언급한 글이나 책은 못 봤습니다. 아마도 아시아의 피쉬소스가 토마토소스로 변화해가는 과정의 중간에 버섯, 가지 같은 것들로
시도하는 형태의 소스가 있었는데, 그것들과 엮이면서 생겨난 설이 아닐까라는 추측을 해봅니다.
토마토 설 같은 경우도 토마토를 나타내는 \'판-케\'라는 광둥어에서 \'케첩\'이라는 말이 파생되었다는건데 유럽에서 케첩에 토마토가 들어간 시기가 100년 정도 밖에 안된 걸로 봐서 근거는 없어 보입니다. 제가 알기로는 생선소스 형태에서 변형되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합니다.
중국의 방언에 \'케\'라는 음절이 들어가는 말이 많아서 생긴 것 같아요. 가지소스가 타이완 방언으로 케첩이라는 단어와 유사하다는 말은 들어봤는데
그것말고 전파경로에 대해서 언급한 글이나 책은 못 봤습니다. 아마도 아시아의 피쉬소스가 토마토소스로 변화해가는 과정의 중간에 버섯, 가지 같은 것들로
시도하는 형태의 소스가 있었는데, 그것들과 엮이면서 생겨난 설이 아닐까라는 추측을 해봅니다.
토마토 설 같은 경우도 토마토를 나타내는 \'판-케\'라는 광둥어에서 \'케첩\'이라는 말이 파생되었다는건데 유럽에서 케첩에 토마토가 들어간 시기가 100년 정도 밖에 안된 걸로 봐서 근거는 없어 보입니다. 제가 알기로는 생선소스 형태에서 변형되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합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