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3/02/21 01:38:23
Name   카르스
Subject   서구와 동아시아에서 추구하는 자유는 다르다
서구는 자유를 중시하고 동아시아는 자유를 덜 중시한다는 고정관념이 있습니다.
개인주의-집단주의 구도로 설명되기도 하고,
코로나19 대응방식으로 이 고정관념이 더 강화된 것 같기도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회의적인 주장입니다만.

하지만 서구 = 자유 중시, 동아시아 = 자유 무시의 이분적 고정관념은 부정확할 뿐더러 많은 오해를 양산할 수 있습니다. 
오늘 소개할 Akaliyski (2023) 논문에 따르면, 서구와 동아시아 지역은 추구하는 자유 스펙트럼이 서로 다르기 때문입니다.

동아시아는 서구에 비해 중시되는 자유 스펙트럼이 좁은 게 사실이라, 서구보다 자유를 덜 중시하는 걸로 해석될 여지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몇몇 자유는 양 지역이 비슷하게, 혹은 동아시아에서 더 중시되기도 한다는 사실을 가립니다.
동아시아에서 중시되는 자유의 영역이 좁긴 하지만, 모든 자유를 서구보다 덜 중시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리고 이런 상이한 자유 스펙트럼으로 서구와 동아시아는 다른 사회경제적인 장단점을 지니게 되었습니다.  





우선 저자는 세계적으로 발전 수준이 높은 프로테스탄티즘 서구(프로테스탄티즘 지역이 중심이기에 가톨릭 종교색이 강한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 등은 빠집니다)와 동아시아 국가들을 비교하기 위해서, 자유에 대한 선호와 중시도를 나타내는 자유에 대한 열망(Freedom Aspiration) 지표를 크게 6가지 하위 항목으로 나눕니다.

1) 개인적 자율성(Personal Autonomy)
2) 세속적 정체성(Secular Identity)
3) 성평등(Gender Equality)
4) 재생산권 자유(Reproductive Freedom)
5) 정치적 자유주의(Political Liberalism)
6) 다양성 관용(Diversity Tolerance)
- 뒤에 인종적 관용(Ethnic Tolerance)로 나타나기도 함



이러한 자유의 하위항목들을 다차원 척도법(Multidimensional Scaling)을 통해 프로테스탄트-서구적 자유 지표와 동아시아적 자유 지표로 대비시키면 지역 간 자유 스펙트럼의 차이가 확실히 드러납니다.

1차원(Dimension 1)이자 y축은 프로테스탄트-서구적 자유 지표이고,
2차원(Dimension 2)이자 x축은 동아시아적 자유 지표인데,
보다시피 y축은 프로테스탄트-서구 국가들(초록색)이 최상위권인 반면
x축은 동아시아 국가들(파란색)이 최상위권입니다.
두 집단은 서로끼리 뭉치고, 다른 집단과 확실히 떨어져 있는 경향을 보입니다.


그리고 서구적 자유 스펙트럼인 D1은 전반적인 자유 열망(Freedom Aspirations) 지표와 매우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나지만, 동아시아적 자유 스펙트럼인 D2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D1은 모든 자유 하위항목과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개인적 자율성PA부터 인종적 관용ET까지), D2는 개인적 자율성과 세속적 정체성에만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나머지 자유 하위항목과는 상관관계가 없거나 오히려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나기도 했습니다.
또한 D1과 D2는 연관성이 거의 없었습니다.

쉽게 말해 서구 국가들은 여섯 가지 자유 세부항목을 모두 고르게 중시한다면, 동아시아의 자유는 1) 개인적 자율성 2) 세속적 정체성 두 자유만 중시합니다.  

그렇기에 서구와 동아시아는 전반적인 자유 중시 수준이 비슷하더라도 세부적인 자유 추구 양상은 다를 수 있습니다.
일본과 미국은 모든 자유를 고르게 중시하는 프로테스탄트-서구적 스펙트럼으로 보면 자유에 대한 열망 수준이 거의 비슷합니다만, 동아시아적 스펙트럼 수치가 크게 차이나는 데에서 볼 수 있듯 세부적 자유의 양상은 많이 다릅니다.




이러한 서구와 동아시아의 자유 스펙트럼의 상이함은 회귀분석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생활수준을 고려하면 동아시아는 '전반적인' 자유를 덜 중시하는 편은 아닙니다만(서구의 자유 중시가 매우 튀는 쪽에 가깝습니다), 세부적으로 들어가자면 동아시아는 개인적 자율성, 세속적 정체성만 많이 중시하는 편이고 나머지 자유는 재생산적 자유, 성평등 등에서 볼 수 있듯이 생활수준 대비 뒤떨어지는 항목도 존재하죠. 자유를 골고루 중시해서 세속적 정체성을 제외한 모든 자유 세부항목에서 생활수준 대비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서구와는 다릅니다.  



이렇게 중시하는 자유 스펙트럼이 다른 것은 서구와 동아시아의 서로 다른 사회경제적 우위를 만들어냅니다.
서구는 주관적인 삶의 만족도, 인구구조적 지속가능성, 민주적 제도와 인권, 성평등, 혁신에서 우위를 보이는 반면, 
동아시아는 물리/정신적 건강, 치안, 경제적 경쟁력, 교육수준에서 우위를 보입니다.


사실 읽으면서 여러 부분이 아쉬웠던 논문입니다.
우선 자유 스펙트럼의 차이를 바로 사회경제적 우위로 넘기는 마지막 부분의 논리와 회귀분석이 부실해 보였습니다.
자유 스펙트럼의 차이가 사회경제적 우위를 만들기도 하겠지만 그 반대도 가능하고 제3의 변수도 존재할 수 있는데, 
그런 인과관계의 가능성에 대한 엄밀한 논증이 보이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중국은 프로테스탄트 서구와 동아시아 국가 중에 유일한 독재국가이자 개발도상국급 발전 수준을 가진 나라입니다. 
발전수준은 회귀분석에서 통제하긴 합니다만, 그것도 한계가 있습니다. 동아시아 집단에서 중국을 빼서 분석했어도 결과가 그대로일지 궁금합니다.

하지만 주제의 시의성이 높은 논문이라 소개했습니다.
전반적으로 서구는 자유를 중시하는데 동아시아는 자유를 소홀히 한다는 이분법적인 분석을 넘어서, 자유의 여러 하위면모와 스펙트럼의 차원에서 분석해보는 건 의의가 있습니다.
동아시아도 개인적 자율성이나 세속적 정체성의 자유를 중시하지만, 성평등, 재생산적 자유, 정치적 자유, 다양성 관용 부분의 자유는 소홀하다는 분석은 우리 동아시아 문화의 부족함을 잘 지적한 것 같기도 하고요.

개인적인 뇌피셜이지만, 한국 더 나아가 동아시아의 물질주의와 각자도생 문화는 개인적 자율성과 세속적 정체성 측면의 자유를 유독 중시하는 측면도 있는 것 같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도 연구가 필요해 보입니다.


출처: Akaliyski, P. (2023). Distinct Conceptions of Freedom in East Asia and the Protestant West Underpin Unique Pathways of Societal Development.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54(2), 173–194.



7


    흥미로운 글 잘 읽었습니다.
    세속적 정체성의 하위항목들을 보니 종교 관련 지표인 것 같은데,
    무교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가 D2 최상위 점수를 받은 요인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하네요.
    1
    카르스
    맨 위 그림 하위항목의 (r)은 리버스(reverse)입니다.
    저 지표가 높을수록 하위항목 점수는 낮아지는 음의 상관관계가 성립해요.
    1
    Paraaaade
    D1과 D2는 어떻게 나눠진건가요?
    1
    Paraaaade
    대략 구글링을 해보니, D1, D2를 정의하고서 그래프 상에 점들을 배치하는게 아니라 각 국가들의 6가지 자유지표들의 유사성을 가지고 MDS를 실행한 결과가 D1과 D2로 나오는거군요.
    1
    카르스
    네. 자동으로 분석하니까 D1, D2로 분리가 됩니다. 실제로 D1, D2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성립하지 않기도 하고.
    오호라
    지표만 보면 중국이 우리나라보다 더 높네요.
    1
    카르스
    이정도면 아주 큰 차이는 아니고(대만-중국 차이도 한-중 차이와 비슷하거나 조금 작습니다), 수치가 튀었을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세속적 정체성' 항목에서 봤듯이 자유 지표가 포괄적이고 다면적이라서 우리 생각과는 좀 다를 수 있습니다. 한 예로 D2만 보면 중국이 한국보다도 높지요.
    실베고정닉
    동북아시아의 건강 치안 경제수준이 서구를 압살한다면 그렇게 서구가 외쳐대는 자유가 필요할까 싶네요
    1
    카르스
    글에도 나오지만 서구가 가진 주관적인 삶의 만족도, 인구구조적 지속가능성, 민주적 제도와 인권, 성평등, 혁신은 동아시아에 없지요
    절름발이이리
    동아시아 중 자생적으로 사회계약을 구축하며 현대 국가로 출발한 나라가 없기 때문에, 저는 동아시아식 자유란 것이 특별히 동아시아에서 발원한 특질이라기보다, 집단주의 국가가 서구식 자유를 수입해 부분 소화(라도) 성공한 모델이 현 동아시아식 자유라고 봅니다. 단지 자본주의가 더 발달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분야부터 물꼬를 튼 정도로 봅니다.
    1
    카르스
    그렇게 볼 수도 있겠네요. 그래서 몇몇 분야는 서구 선진국보다 나은 성취를 보이니.
    듣보잡
    제가 이 논문의 깊이까지 정확히 파악할 정도는 안 되지만, 어떤 사안에서건간에 이분법적 접근을 극혐하는 입장에서 자유에 대한 분석 관점은 좋아 보이네요.
    2
    카르스
    자유같은 개념은 복합적이고 정의하기조차 어려운데, 디테일이 분석과정에서 늘 놓쳐지죠.
    잘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508 기타홍차클러의 일대기 14 와이 17/04/24 5171 8
    8858 일상/생각남녀 갈등을 부추기는 언론의 수법 8 keith 19/02/13 5057 8
    11877 일상/생각회피를 통한 극복 3 lonely INTJ 21/07/13 3871 8
    3964 역사클로비스 화살촉과 발사무기 8 모모스 16/10/20 7402 8
    3876 일상/생각전직 호주 총리 만난 썰 40 기아트윈스 16/10/12 4905 8
    3840 역사러일전쟁 - 영일동맹 4 눈시 16/10/06 5746 8
    3797 일상/생각기억의 단편, 어린시절 내가 겪은 트라우마 (完) 7 피아니시모 16/09/29 4391 8
    3742 철학/종교다윗왕과 밧세바 이야기 구약 시대의 가장 큰 섹스 스캔들 16 기쁨평안 16/09/21 7067 8
    3723 창작큐브툰 #002- BIC 인디게임페스티벌 11 문틈 16/09/18 4390 8
    3691 육아/가정아들이 말을 참 잘합니다. #2 26 Toby 16/09/12 6973 8
    3683 기타서원(書院)에서 한문 배운 썰 19 기아트윈스 16/09/11 4886 8
    3678 게임[삼국지 영걸전] 1599 클리어 기념 팁 + 후기와 기타 등등 이야기 31 조홍 16/09/09 27413 8
    3628 역사예송논쟁 대충 알아보기 21 피아니시모 16/09/02 5733 8
    3500 일상/생각이 모든 기억이 사라지겠지, 빗속의 눈물처럼. 12 이젠늙었어 16/08/12 5257 8
    11873 스포츠메시 아리랑 full version 7 joel 21/07/12 5237 8
    15325 사회한국 시민의 일원으로 연금개혁을 환영하며 30 카르스 25/03/20 1668 8
    11874 기타인간남캐의 체형과 복장에 관한 낙서 및 개인적인 의견 26 흑마법사 21/07/12 5159 8
    3390 문화/예술선우훈 비평 비평 25 당근매니아 16/07/29 13905 8
    3329 IT/컴퓨터어느 게임 회사 이야기 (12) 9 NULLPointer 16/07/23 15708 8
    2892 경제한국에서 구조조정은 왜 실패하나?-STX법정관리에 부쳐(상) 25 난커피가더좋아 16/05/25 5857 8
    2852 정치더 이상 강남역 살인사건에 관심 두지 않겠습니다. 112 마스터충달 16/05/21 6638 8
    2683 창작3월 중에. 5 헤베 16/04/24 4503 8
    2654 일상/생각종합 정치정보 커뮤니티, 홍차넷 37 Leeka 16/04/20 5541 8
    2605 의료/건강판피린 3형제 이야기 32 모모스 16/04/13 14725 8
    2552 문화/예술[스포일러]슈퍼맨 vs 배트맨, 욕해도 되는 영화. 35 barable 16/04/05 7038 8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