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5/12/26 17:57:37 |
Name | damianhwang |
Subject | 강약중강약 ep4. 약을 쪼개서 반만 먹어도 될까? 내용정리 |
http://www.podbbang.com/ch/10660 4회차 방송이 나왔습니다; PD님의 회식으로 인해 녹음장비가 상대적으로 열악한 곳에서 셀프 녹음하다보니 잡음이나 숨소리 처리가 하나도 안되었네요; 파~오후~! 숨소리 내는 덕후 걸그룹 삼촌팬 인증했습니다;;;덜덜덜; ep4. 약을 쪼개서 반만 먹어도 될까?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damianhwang님의 최근 게시물
|
http://www.alldrugs.co.kr/detail.aspx?PRG_ID=01&DRUG_CODE=A11A3810A0082&EXPR=01
보험은 안되는 일반약 전환이지만 나오긴 나오는 것 같습니다.
보험은 안되는 일반약 전환이지만 나오긴 나오는 것 같습니다.
오늘도 골골대며 이비인후과에 간 끝에 결국 항생제까지 처방받아와서 책상 앞에 놔두고 방송을 듣고 있습니다. 귀가 멍멍한 건 그렇다치고, 오늘 아침에 새로 가슴 아픈 증상이 나타난 게 좀 찝찝하네요. 진짜 가슴 엑스레이라도 찍어봐야 하나…
미드 <ER> 하면 역시 조지 클루니가 빠지지 않는군요. 「Hell and High Water」 에피소드(2기 7화)는 아직도 유명할까요?
약 쪼개기 하니, 약 쪼개는 도구 가지고 있는 게 생각나네요. 분할선 있는 알약 전용이기는 한데, 정작 써본 적은 거의 없…
젖산균이라… 일본에서는 하트만 용액을 “유산 링거액”이라고 부르는 것 같더라고요... 더 보기
미드 <ER> 하면 역시 조지 클루니가 빠지지 않는군요. 「Hell and High Water」 에피소드(2기 7화)는 아직도 유명할까요?
약 쪼개기 하니, 약 쪼개는 도구 가지고 있는 게 생각나네요. 분할선 있는 알약 전용이기는 한데, 정작 써본 적은 거의 없…
젖산균이라… 일본에서는 하트만 용액을 “유산 링거액”이라고 부르는 것 같더라고요... 더 보기
오늘도 골골대며 이비인후과에 간 끝에 결국 항생제까지 처방받아와서 책상 앞에 놔두고 방송을 듣고 있습니다. 귀가 멍멍한 건 그렇다치고, 오늘 아침에 새로 가슴 아픈 증상이 나타난 게 좀 찝찝하네요. 진짜 가슴 엑스레이라도 찍어봐야 하나…
미드 <ER> 하면 역시 조지 클루니가 빠지지 않는군요. 「Hell and High Water」 에피소드(2기 7화)는 아직도 유명할까요?
약 쪼개기 하니, 약 쪼개는 도구 가지고 있는 게 생각나네요. 분할선 있는 알약 전용이기는 한데, 정작 써본 적은 거의 없…
젖산균이라… 일본에서는 하트만 용액을 “유산 링거액”이라고 부르는 것 같더라고요.
중간에 나오는, 입으로 흥얼거리던 CM송의 멜로디는 오페라 <카르멘>의 서곡 중에 나오는 멜로디입니다. 마침 방금 전에 공연으로 듣고 온 거라서 틀릴 수가 없어요. 들어보시면 “아! 이거!” 하실 겁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SX4bJdGc2a4
저도 어렸을 적에 당의정 아닌 정로환을 먹었던 기억이 나네요. 근데 원기소는 대체…
제 어머니께서도 니트로글리세린 설하정을 처방받아 가지고 있는 걸로 기억하는데, 그거 유효기간이 6개월짜리인가요? 이건 처음 알았네요. 어머니께 이야기해드려야겠습니다.
미드 <ER> 하면 역시 조지 클루니가 빠지지 않는군요. 「Hell and High Water」 에피소드(2기 7화)는 아직도 유명할까요?
약 쪼개기 하니, 약 쪼개는 도구 가지고 있는 게 생각나네요. 분할선 있는 알약 전용이기는 한데, 정작 써본 적은 거의 없…
젖산균이라… 일본에서는 하트만 용액을 “유산 링거액”이라고 부르는 것 같더라고요.
중간에 나오는, 입으로 흥얼거리던 CM송의 멜로디는 오페라 <카르멘>의 서곡 중에 나오는 멜로디입니다. 마침 방금 전에 공연으로 듣고 온 거라서 틀릴 수가 없어요. 들어보시면 “아! 이거!” 하실 겁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SX4bJdGc2a4
1 카르멘서곡
저도 어렸을 적에 당의정 아닌 정로환을 먹었던 기억이 나네요. 근데 원기소는 대체…
제 어머니께서도 니트로글리세린 설하정을 처방받아 가지고 있는 걸로 기억하는데, 그거 유효기간이 6개월짜리인가요? 이건 처음 알았네요. 어머니께 이야기해드려야겠습니다.
내용 감상...
1. 듣고 있습니다 껄껄(..)
2. ER정은 저도 처음에 응급 복용 목적으로 만든 건 줄 알았다능(..)
3. 발포정-나트륨 얘기는 재밌어서 저도 좀 찾아봤는데 명확한 결론은 없네요. 일단 나트륨 비함유 발포정도 꽤 있고, 함유 발포정이라고 해도 이게 NaCl의 형태가 아니어서 혈압과 얼마나 직접적으로 연관될지 의문스럽다고 할만합니다. 여담이지만 별개의 스터디로 발포제를 사용하는(위의 영상 촬영을 위해 먹이는 경우) 연구들에서는 일단 BP 문제가 보고된 바가 없습니다. 결국 생리학적으로 연관성이... 더 보기
1. 듣고 있습니다 껄껄(..)
2. ER정은 저도 처음에 응급 복용 목적으로 만든 건 줄 알았다능(..)
3. 발포정-나트륨 얘기는 재밌어서 저도 좀 찾아봤는데 명확한 결론은 없네요. 일단 나트륨 비함유 발포정도 꽤 있고, 함유 발포정이라고 해도 이게 NaCl의 형태가 아니어서 혈압과 얼마나 직접적으로 연관될지 의문스럽다고 할만합니다. 여담이지만 별개의 스터디로 발포제를 사용하는(위의 영상 촬영을 위해 먹이는 경우) 연구들에서는 일단 BP 문제가 보고된 바가 없습니다. 결국 생리학적으로 연관성이... 더 보기
내용 감상...
1. 듣고 있습니다 껄껄(..)
2. ER정은 저도 처음에 응급 복용 목적으로 만든 건 줄 알았다능(..)
3. 발포정-나트륨 얘기는 재밌어서 저도 좀 찾아봤는데 명확한 결론은 없네요. 일단 나트륨 비함유 발포정도 꽤 있고, 함유 발포정이라고 해도 이게 NaCl의 형태가 아니어서 혈압과 얼마나 직접적으로 연관될지 의문스럽다고 할만합니다. 여담이지만 별개의 스터디로 발포제를 사용하는(위의 영상 촬영을 위해 먹이는 경우) 연구들에서는 일단 BP 문제가 보고된 바가 없습니다. 결국 생리학적으로 연관성이 있어도 임상의학적 의미는 없을 것이라고 간주해도 무리가 없을 것 같습니다. 일단 권고 자체는 \'저염식 원칙에 방해되긴 하니까 고혈압 환자는 먹지 말아라\'로 되어있습니다.
4. 유산균은 일본어에서 온 게 맞습니다. 예측하신대로 젖 유를 써서 유산균이라고 하고... 사실 젖산/젖산균보다 유산균이 더 나은 거 같긴 합니다.
5. 코팅이 두 번... 정제닥님 귀여우십니다 크크크 아 이거 들으면서 데이터 정리하다가 날려먹을 뻔(..)
황약사님하고 문아나운서님은 조만간에 택배기사 찾아가실듯...
6. ... 정로환을 씹어본 사람이 나 하나가 아니었구나... 이거 공감방송이었구나... 근데 내가 이 분들보다 한참 어릴텐데... 근데 나는 원기소도 먹어봤는데...
원기소는 미량 영양소가 처음 대중화되던 시절에(상품 자체는 한국전쟁 시절에도 있었고 한국에 유행한 건 3공 때 시작해서 5공 때까지 유행했던 것으로...) 나온 종합영양제입니다. 지금으로 치면 소화제+비타민+미네랄 결합이고 이게 아마 원래 만들던 방식이 청국장 띄우는 방식처럼 하던가 그랬을 겁니다. 그래서 가루 모양이나 색이나 좀 맛이 그 모양...
성인용 츄정은 아마 칼슘이 제일 흔할 것 같습니다. 이건 칼슘 보충 자체가 경구 투여할 때 용량이 높고 결국 알약 크기가 클 수 밖에 없어서 씹어먹는 걸로 만든다고 하더군요.
7. 초반에는 뭔가 대본처럼 가는 거 같더니 중반쯤에 타이레놀 얘기가 길어지면서 문 아나운서님이 멍 때리시다가 오늘도 산으로(..) 뭐 이게 재미긴 한데 아예 주제 하나를 정하시고 2주 분량을 뜨신 후에 적당히 편집해서 내시는게 낫지 않을까 그런 생각도 합니다.
8. 잘 들었습니다.
1. 듣고 있습니다 껄껄(..)
2. ER정은 저도 처음에 응급 복용 목적으로 만든 건 줄 알았다능(..)
3. 발포정-나트륨 얘기는 재밌어서 저도 좀 찾아봤는데 명확한 결론은 없네요. 일단 나트륨 비함유 발포정도 꽤 있고, 함유 발포정이라고 해도 이게 NaCl의 형태가 아니어서 혈압과 얼마나 직접적으로 연관될지 의문스럽다고 할만합니다. 여담이지만 별개의 스터디로 발포제를 사용하는(위의 영상 촬영을 위해 먹이는 경우) 연구들에서는 일단 BP 문제가 보고된 바가 없습니다. 결국 생리학적으로 연관성이 있어도 임상의학적 의미는 없을 것이라고 간주해도 무리가 없을 것 같습니다. 일단 권고 자체는 \'저염식 원칙에 방해되긴 하니까 고혈압 환자는 먹지 말아라\'로 되어있습니다.
4. 유산균은 일본어에서 온 게 맞습니다. 예측하신대로 젖 유를 써서 유산균이라고 하고... 사실 젖산/젖산균보다 유산균이 더 나은 거 같긴 합니다.
5. 코팅이 두 번... 정제닥님 귀여우십니다 크크크 아 이거 들으면서 데이터 정리하다가 날려먹을 뻔(..)
황약사님하고 문아나운서님은 조만간에 택배기사 찾아가실듯...
6. ... 정로환을 씹어본 사람이 나 하나가 아니었구나... 이거 공감방송이었구나... 근데 내가 이 분들보다 한참 어릴텐데... 근데 나는 원기소도 먹어봤는데...
원기소는 미량 영양소가 처음 대중화되던 시절에(상품 자체는 한국전쟁 시절에도 있었고 한국에 유행한 건 3공 때 시작해서 5공 때까지 유행했던 것으로...) 나온 종합영양제입니다. 지금으로 치면 소화제+비타민+미네랄 결합이고 이게 아마 원래 만들던 방식이 청국장 띄우는 방식처럼 하던가 그랬을 겁니다. 그래서 가루 모양이나 색이나 좀 맛이 그 모양...
성인용 츄정은 아마 칼슘이 제일 흔할 것 같습니다. 이건 칼슘 보충 자체가 경구 투여할 때 용량이 높고 결국 알약 크기가 클 수 밖에 없어서 씹어먹는 걸로 만든다고 하더군요.
7. 초반에는 뭔가 대본처럼 가는 거 같더니 중반쯤에 타이레놀 얘기가 길어지면서 문 아나운서님이 멍 때리시다가 오늘도 산으로(..) 뭐 이게 재미긴 한데 아예 주제 하나를 정하시고 2주 분량을 뜨신 후에 적당히 편집해서 내시는게 낫지 않을까 그런 생각도 합니다.
8. 잘 들었습니다.
한미약품 지하 중국집에서 짜장면 좀 드시겠군요.
정로환은 세균성 설사를 위한 약인데 먹을 최근 세대들이 먹을 이유가 없지요.
원기소는 효모가루이지요.
https://namu.wiki/w/%EC%9B%90%EA%B8%B0%EC%86%8C
이걸 왜 먹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감옥에서 술을 만들 때 많이 썼다고 전해집니다.
정로환은 세균성 설사를 위한 약인데 먹을 최근 세대들이 먹을 이유가 없지요.
원기소는 효모가루이지요.
https://namu.wiki/w/%EC%9B%90%EA%B8%B0%EC%86%8C
이걸 왜 먹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감옥에서 술을 만들 때 많이 썼다고 전해집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