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5/12/26 17:57:37
Name   damianhwang
Subject   강약중강약 ep4. 약을 쪼개서 반만 먹어도 될까? 내용정리

http://www.podbbang.com/ch/10660

4회차 방송이 나왔습니다; PD님의 회식으로 인해 녹음장비가 상대적으로 열악한 곳에서 셀프 녹음하다보니
잡음이나 숨소리 처리가 하나도 안되었네요;

파~오후~! 숨소리 내는 덕후 걸그룹 삼촌팬 인증했습니다;;;덜덜덜;

ep4. 약을 쪼개서 반만 먹어도 될까?

ep4. 약을 쪼개서 반만 먹어도 될까? 


  • 방송 주요 내용
    • 약 이름의 뒤 끝에 뭔가 길게 덕지덕지 붙어 있는 게 “제형” 특징을 의미하는 것이다.
      • 뭔가 뒤 끝이 있을 것 같다! 
    • 타이레놀 ER 서방정
      • 이알 = ER = Extended Release = 서방정
        • 두알 먹는다고 이알이라고 적은거 아닙니다! (뭐 두알씩 먹는게 맞긴 하지만;)
        • 미드 ER아닙니다!
        • 효과가 엄청 빠른 응급용도 아닙니다!
        • ER 서방정 : 헬조선! (동어반복입니다)
        • 서서히 방출된다. 약효가 오래 지속되도록 천천히 나오게 만들어 놓은 특수 제형입니다.
        • 보통 껍질에 작게 구멍을 뚫어 그리로 조금씩 나오게 만들어 놓은 형태가 많으므로, 껍질을 파괴하지 않도록 해야 원래 의도대로 약효를 볼 수 있습니다. 
      • 타이레놀 500mg 정 (하얀 곽) vs 타이레놀 이알 서방정 650mg (노란곽)
        • 325mg는 원래의 속효성, 325mg는 천천히 나오게 조작해 놓은 서방형의 dual action형태
        • 500mg정은 속효성 500mg
        • 용도가 조금 다르다!
          • 갑자기 두통같은 통증이 왔다 → 500mg 
          • 만성적인 통증이 있다 → ER 650mg가 좀 더 적합하다. 
      • 주의할점 → 쪼개 먹지 말 것 (원래 설계한 대로의 효과가 나지 않는다)
      • 모르면 지시대로 복용하는게 좋을 것이다. 
    • 속붕정: 빨리 녹을 수 있게 만들어 둔 제형
      • 하루날 D: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 → 50대 이상 아재들만 아실듯?
      • 아스피린 다이렉트
        • 물없이 입에서 침에 녹도록 만들어둔 약품제형
      • 발포정도 속붕정의 일종이라 볼 수 있다. 
        • 예: 베로카 (비타민제) 
        • 발포정 제조시 나트륨 함량이 높아질 수 있어 오히려 안 좋다고?
          • 추가 자료 조사가 필요하긴 하나; (소송방지 바람)
          • 임상적으로 의미있을 정도의 문제가 있었다면 이미 퇴출되지 않았을까? 
    • 약을 반만 먹이면 되는거 아님?
      • 2세이하면 바로 병원 데리고 가는걸로;
      • 소아 용량은 체중 (혹은 체표면적) 대비 용량설정을 해야 하므로 임의로 주지 않도록 하는게 좋다.
      • 약효를 볼 수 있는 역치가 있어(어느 용량 이상을 복용해야 효과를 보기 시작한다), 용량을 임의로 조절하는 것은 좋지 않다; 전문가의 판단하에 용량 조절해야 한다. 
    • 메디락 DS 장용캡슐
      • 정장제의 원리 : 우리 몸의 정상세균총에 대한 이야기
        • 머리부터 발끝까지 함께 사는 균 이야기. 상재균이라고함. 항상 나와함께 존재하는 균. 기생충펀팩트때 얘기한 적 있는데,  혼자 사는 세상이 아님. 우리몸에는 내것인듯 내것아닌 내것같은 생명체들이 많이 삼. 대표적인게 모낭충. 모낭충이 피부면역의 균형을 잡는데 중요한 역할. 
        • 최근 프로바이오틱스 정장제가 힙한 영양제로 떠오르는 중. 장에 살고있는 어마어마한 균들의 밸런스가 깨지면 변비, 설사, 소화불량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그 증상을 개선해 주기 위한 영양제처럼 사먹고 있음. 
        • 한편으로는 알레르기 질환이 많아지면서 '위생가설: 너무 깨끗해서 알레르기가 생긴다' 에 입각해서 프로바이오틱스가 면역의 균형을 잡아준다는 이론으로 사용됨. 
        • 여성의 만성 질염에도 질내 상재균인 유산균을 보강해주면 좋다고 해서 산부인과에서도 먹는 유산균 제제를 줌. 
      • 생균이 위산에 공격받아 죽기 때문에 위산을 버티고 장에 가서 녹도록 대위산 AT필드 장착!
        • 위와 같은 이유로 공복에 복용할 것을 권장하나
        • 대체로 처방약으로 쓸 때는 항생제 복용으로 인해 세균 균총 파괴되어 설사 부작용을 유발하는 것을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지만, 1차 의원 외래 기준으로 항생제 장기 처방은 사실 드물다. 
      • 같은 성분의 정장제(probiotics)가 왜 일반의약품과 건강기능식품으로 허가가 나눠져 있을까?
        • 의약품이라는 범주로 허가를 내주는 것이 정당했을까 의문 제기!
        • probiotics 는 실제 효과에 대해 논란이 많은 편 (의약품으로 허가받지 못한 나라가 많음)
          • 정상세균 균총이 파괴되어 이상한 균들이 들어와 장염, 설사등을 일으킬때 정상세균균총인 유산균을 대량 살포한다는 논리 (논란중이다) 
          • 생균 vs 사균 : 생균을 직접 대량 살포하자, 사균체 (유산균 배양체 - 시체)
            • 유산균이 살아서 장까지 간다고 해서 장에 정착을 제대로 한다는 보장이 없지만, 유산균의 시체가 장에 흡수되어서 우리몸에서 면역반응이 활성화되면서 도움이 되는 면역성분들이 유도된다는 말인거지? 
      • 메디락 S산 1g 기준: 메디락 S 장용캡슐은 메디락 S산 2g, 메디락 DS 장용캡슐은 메디락 S산 4g
      • 정장제는 모르겠고; 아무튼 장용캡슐은 위산에 파괴되어 불활성화 되어 약을 못쓰게 되지 않도록 해놓은 특수한 껍질이니 깨먹지 마십시다!
    • 정로환 당의정
      • 설탕으로 코팅해 둔 것이라 → 당뇨환자의 당수치에 영향을 주지 않을까? 
      • 러시아를 정복한다! 일본 제국주의의 잔재가 남아있는 이름 -> 친일파들은 좋아하겠지????
      • 약맛이 무지무지하게 써서 쓴 맛을 가리기 위해 설탕 코팅
      • 최근에는 필름코팅정을 같은 용도로 쓰기도 함 (예: 클래리시드정)
    • 둘코락스/메이킨큐 장용정
      • 장용캡슐과 같다! 위산에 파괴되어 불활성화 되어 약을 못쓰게 되지 않도록 해놓은 특수한 껍질이니 깨먹지 마십시다!
    • 싱귤레어 츄정
      • 미스터츄가 아니고요~~ 먹기 좋으라고 씹어먹어더 되게 만들어 둔 것입니다만;
      • 씹어먹지 않으면 약효가 안 나는 거 아닙니다! 오해하지 맙시다.
      • 다른 약과 같이 처방나오면 그냥 다같이 털어 먹이시면 됩니다. 굳이 얘만 따로 빼내서 씹어먹으라 하지 않으셔도 되요!
  • 오늘의  개드립
    • 환자역할을 맡은 분이 수상하다!
      • 홍차넷의 레지엔님 듣고 계십니까! ;-) → 오늘도 예언이 적중하였습니다! 
    • 비디오 팟캐스트 해볼까요? 
      • 황재근씨 연락처 아십니까? 복면이라도!
      • 여자 패널분들은 외모에 자신 있으시답니다!!!
    • 피드백 받습니다!
      • 무나나님 팬들만 몰려오시는 듯!
      • 방송 내용 피드백 받습니다…..
      • 사연을 올려주시면, 거기에 맞춰 방송내용을 준비하겠습니다.
    • 파일럿 한달인데, 두달로 연장되었습니다. 
      • 언제 정규직 되나요? 
    • 아오..파~오후! 숨소리 진짜 편집 좀 해주지 ㅠㅠ
    • 약 모양 얘기한다고 의사나 약사가 바로 알아채는 것 아닙니다! 종류가 을마나 많은데;
      • 의사는 특히나 처방전만 내지 약 모양은 낯설어 합니다. 
    • 여기 군대 갔다 온 사람이 나밖에 없나? 황약사!
    • 서방정을 왜 만들죠? 빨리 나오는게 좋은거 아닌가요?
      • easy come, easy go 
    • 약이름이 ~~~염산염이라고 해서, 염산을 들이키는 거 아닙니다!
    • KGMP인증 안받은 제약회사 제품 없고요, 의료보험 지정 안된 병의원 우리나라에 없습죠! 당연한 걸 마케팅 차별화 요소로 광고한다는 게 참 웃깁니다.
    • 친일파 아니죠? 부일매국노입니다! 



0


    Beer Inside
    발포제에는 소듐바이카보네이트가 들어가지요.

    그리고 바이타민 C도.....

    그런 의미에서 바이엘은 한국에 알카셀쳐를 발매하라.....
    damianhwang
    바이엘코리아는 공무원급의 널널한회사로 소문난 곳이라
    지네 일 늘어나는 오티씨 마케팅은 안할겁니다 킄킄
    Beer Inside
    이것 사러 해외여행 가야하는 것은 너무해서....

    베로카도 팔면서....
    레지엔
    알카셀쳐를 먹느니 사이다에 직접 약물 칵테일해서 먹는게 낫겠던데요(..)
    Beer Inside
    술마신 다음날 그걸 할 기운이 있다면 말이지요.
    레지엔
    어 저는 술먹으러 가기 전에 다음날 먹을 약을 미리 부엌에 놓고 가긴 하는데(..)
    Beer Inside
    술마시고 집에 가면 좋은 일 아니겠습니까....
    April_fool
    근데 원래 음주 후에는 아스피린이든 타이레놀이든 금물 아닌가요? -,.-
    damianhwang
    만성 알콜 섭취자 아니고 어쩌다 한번이야 뭐 .. 그렇습니다;;만
    여기서 이렇게 얘기하고 계신 의사분들도 환자한테는 그렇게 말 안하시겠;;;;;
    Beer Inside
    음주 후에 일하는 것 보다 위험하겠습니까?
    레지엔
    아스피린은 애초에 진통제로 더이상 효용이 없고 타이레놀은 간기능 문제떄문에 그러합니다만 음주 후에 진통제 자체가 금물이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남한테 처방해주진 않지만 자기는 먹는 대표적인 처방이죠.
    damianhwang
    비본 주사 하나 까서 아스피린 담가 볼까요? ;-)
    Beer Inside
    옛날에는 비본알약도 있었는데 요즘도 있는지 모르겠군요.
    damianhwang
    http://www.alldrugs.co.kr/detail.aspx?PRG_ID=01&DRUG_CODE=A11A3810A0082&EXPR=01

    보험은 안되는 일반약 전환이지만 나오긴 나오는 것 같습니다.
    레지엔
    숙취 해소용 진통제로는 다른 걸 선호합니다 성분은 남용 방지를 위해 생략(..)
    April_fool
    오늘도 골골대며 이비인후과에 간 끝에 결국 항생제까지 처방받아와서 책상 앞에 놔두고 방송을 듣고 있습니다. 귀가 멍멍한 건 그렇다치고, 오늘 아침에 새로 가슴 아픈 증상이 나타난 게 좀 찝찝하네요. 진짜 가슴 엑스레이라도 찍어봐야 하나…

    미드 <ER> 하면 역시 조지 클루니가 빠지지 않는군요. 「Hell and High Water」 에피소드(2기 7화)는 아직도 유명할까요?

    약 쪼개기 하니, 약 쪼개는 도구 가지고 있는 게 생각나네요. 분할선 있는 알약 전용이기는 한데, 정작 써본 적은 거의 없…

    젖산균이라… 일본에서는 하트만 용액을 “유산 링거액”이라고 부르는 것 같더라고요... 더 보기
    오늘도 골골대며 이비인후과에 간 끝에 결국 항생제까지 처방받아와서 책상 앞에 놔두고 방송을 듣고 있습니다. 귀가 멍멍한 건 그렇다치고, 오늘 아침에 새로 가슴 아픈 증상이 나타난 게 좀 찝찝하네요. 진짜 가슴 엑스레이라도 찍어봐야 하나…

    미드 <ER> 하면 역시 조지 클루니가 빠지지 않는군요. 「Hell and High Water」 에피소드(2기 7화)는 아직도 유명할까요?

    약 쪼개기 하니, 약 쪼개는 도구 가지고 있는 게 생각나네요. 분할선 있는 알약 전용이기는 한데, 정작 써본 적은 거의 없…

    젖산균이라… 일본에서는 하트만 용액을 “유산 링거액”이라고 부르는 것 같더라고요.

    중간에 나오는, 입으로 흥얼거리던 CM송의 멜로디는 오페라 <카르멘>의 서곡 중에 나오는 멜로디입니다. 마침 방금 전에 공연으로 듣고 온 거라서 틀릴 수가 없어요. 들어보시면 “아! 이거!” 하실 겁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SX4bJdGc2a4
    1 카르멘서곡


    저도 어렸을 적에 당의정 아닌 정로환을 먹었던 기억이 나네요. 근데 원기소는 대체…

    제 어머니께서도 니트로글리세린 설하정을 처방받아 가지고 있는 걸로 기억하는데, 그거 유효기간이 6개월짜리인가요? 이건 처음 알았네요. 어머니께 이야기해드려야겠습니다.
    damianhwang
    NTG SL은 정확하게 말하자면 입에 넣었을 때 짜릿한 느낌? 아무튼 드시는 분들의 표현은 다르지만;
    그런 느낌이 없이 그냥 알약 느낌나면 그때가 폐기해야 될 때입니다;
    아무리 빛이 들지 않는 곳에 잘 놔둬도 오래 보관하긴 힘든 약이라
    병원이나 약국마다 규정은 다르지만 대개 3개월이나 6개월정도 얘기하고, 다음 f/u때 약 바꿔 받아가시라고 말하는 편입니다.
    레지엔
    내용 감상...

    1. 듣고 있습니다 껄껄(..)

    2. ER정은 저도 처음에 응급 복용 목적으로 만든 건 줄 알았다능(..)

    3. 발포정-나트륨 얘기는 재밌어서 저도 좀 찾아봤는데 명확한 결론은 없네요. 일단 나트륨 비함유 발포정도 꽤 있고, 함유 발포정이라고 해도 이게 NaCl의 형태가 아니어서 혈압과 얼마나 직접적으로 연관될지 의문스럽다고 할만합니다. 여담이지만 별개의 스터디로 발포제를 사용하는(위의 영상 촬영을 위해 먹이는 경우) 연구들에서는 일단 BP 문제가 보고된 바가 없습니다. 결국 생리학적으로 연관성이... 더 보기
    내용 감상...

    1. 듣고 있습니다 껄껄(..)

    2. ER정은 저도 처음에 응급 복용 목적으로 만든 건 줄 알았다능(..)

    3. 발포정-나트륨 얘기는 재밌어서 저도 좀 찾아봤는데 명확한 결론은 없네요. 일단 나트륨 비함유 발포정도 꽤 있고, 함유 발포정이라고 해도 이게 NaCl의 형태가 아니어서 혈압과 얼마나 직접적으로 연관될지 의문스럽다고 할만합니다. 여담이지만 별개의 스터디로 발포제를 사용하는(위의 영상 촬영을 위해 먹이는 경우) 연구들에서는 일단 BP 문제가 보고된 바가 없습니다. 결국 생리학적으로 연관성이 있어도 임상의학적 의미는 없을 것이라고 간주해도 무리가 없을 것 같습니다. 일단 권고 자체는 \'저염식 원칙에 방해되긴 하니까 고혈압 환자는 먹지 말아라\'로 되어있습니다.

    4. 유산균은 일본어에서 온 게 맞습니다. 예측하신대로 젖 유를 써서 유산균이라고 하고... 사실 젖산/젖산균보다 유산균이 더 나은 거 같긴 합니다.

    5. 코팅이 두 번... 정제닥님 귀여우십니다 크크크 아 이거 들으면서 데이터 정리하다가 날려먹을 뻔(..)
    황약사님하고 문아나운서님은 조만간에 택배기사 찾아가실듯...

    6. ... 정로환을 씹어본 사람이 나 하나가 아니었구나... 이거 공감방송이었구나... 근데 내가 이 분들보다 한참 어릴텐데... 근데 나는 원기소도 먹어봤는데...
    원기소는 미량 영양소가 처음 대중화되던 시절에(상품 자체는 한국전쟁 시절에도 있었고 한국에 유행한 건 3공 때 시작해서 5공 때까지 유행했던 것으로...) 나온 종합영양제입니다. 지금으로 치면 소화제+비타민+미네랄 결합이고 이게 아마 원래 만들던 방식이 청국장 띄우는 방식처럼 하던가 그랬을 겁니다. 그래서 가루 모양이나 색이나 좀 맛이 그 모양...
    성인용 츄정은 아마 칼슘이 제일 흔할 것 같습니다. 이건 칼슘 보충 자체가 경구 투여할 때 용량이 높고 결국 알약 크기가 클 수 밖에 없어서 씹어먹는 걸로 만든다고 하더군요.

    7. 초반에는 뭔가 대본처럼 가는 거 같더니 중반쯤에 타이레놀 얘기가 길어지면서 문 아나운서님이 멍 때리시다가 오늘도 산으로(..) 뭐 이게 재미긴 한데 아예 주제 하나를 정하시고 2주 분량을 뜨신 후에 적당히 편집해서 내시는게 낫지 않을까 그런 생각도 합니다.

    8. 잘 들었습니다.
    Beer Inside
    한미약품 지하 중국집에서 짜장면 좀 드시겠군요.

    정로환은 세균성 설사를 위한 약인데 먹을 최근 세대들이 먹을 이유가 없지요.

    원기소는 효모가루이지요.
    https://namu.wiki/w/%EC%9B%90%EA%B8%B0%EC%86%8C

    이걸 왜 먹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감옥에서 술을 만들 때 많이 썼다고 전해집니다.
    솔직히 저한테 많이 어렵지만서도 주제도 흥미롭고 말도 재밌게 하셔서 잘 듣고 있습니다. 제가 모르는 약 얘기는 어물쩡 넘어가게 되지만 감기약처럼 흔히 접할 수 있는 얘기는 되게 재밌네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956 의료/건강강약중강약 팟캐스트 지난 주 결방 및 금주부터 변화... 21 damianhwang 16/01/06 5664 0
    1893 의료/건강죽지않는 과학적 미신들 22 Zel 15/12/30 7651 1
    1871 의료/건강강약중강약 ep4. 약을 쪼개서 반만 먹어도 될까? 내용정리 20 damianhwang 15/12/26 11908 0
    1842 의료/건강건강보험은 과연 언제까지 유지될 수 있을까? 22 Beer Inside 15/12/22 7247 0
    1830 의료/건강강약중강약 팟캐스트 3회차 내용정리 입니다. 19 damianhwang 15/12/21 7103 0
    1809 의료/건강복지부, 외국계 영리병원 첫 설립 승인 24 전크리넥스만써요 15/12/18 8133 0
    1793 의료/건강Happy Holidays를 보내는 의사들에게 15 Beer Inside 15/12/16 6678 0
    1760 의료/건강의료건강 관련 팟캐스트 2회까지 진행해본 소감; 27 damianhwang 15/12/13 8858 1
    1738 의료/건강의전은 어떻게 실패했는가 ? 40 Zel 15/12/09 9765 4
    1730 의료/건강몸에서 나는 악취의 어떤 주범 19 눈부심 15/12/08 8879 0
    1725 의료/건강의료, 건강 및 의약품 관련 팟캐스트를 하나 새로 시작했습니다. 56 damianhwang 15/12/07 7568 6
    1707 의료/건강MRI는 이런 것도 합니다 (2). 14 Zel 15/12/04 6753 0
    1695 의료/건강낙하산은 자유낙하시 사망 또는 외상을 방지할 수 있을까? 14 Beer Inside 15/12/03 6516 0
    1675 의료/건강MRI는 이런 것도 합니다 28 Zel 15/12/01 14352 1
    1667 의료/건강이 연구는 영국에서 시행하지는 않았지만 25 Beer Inside 15/11/30 8952 0
    1631 의료/건강메르스 마지막 환자의 사망 7 와우 15/11/25 6506 0
    1617 의료/건강할아버지의 피부암 선고. 4 April_fool 15/11/23 6617 0
    1604 의료/건강막장 사건이 하나 터졌네요. 31 Cogito 15/11/20 9045 0
    1550 의료/건강첫 경험 8 Beer Inside 15/11/13 6513 0
    1519 의료/건강오줌병 이야기 5 모모스 15/11/10 12521 1
    1496 의료/건강내가 허리가 아파 우리 며늘아가 파스를 하나 붙였는데 말이여~~~~ 16 damianhwang 15/11/08 12143 0
    1481 의료/건강한미약품이 미쳐 날뛰고 있습니다~~~ 27 damianhwang 15/11/06 12655 0
    1456 의료/건강물들어 올때 노젓는 잡담 23 카서스 15/11/04 10258 0
    1454 의료/건강밑에 글 보고 따라올려보는 요로결석 후기.txt 24 전크리넥스만써요 15/11/04 16182 0
    1453 의료/건강배아파서 응급실간 이야기 in Calgary, Alberta, Canada 19 이젠늙었어 15/11/04 12983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