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5/12/30 03:33:05 |
Name | 삼공파일 |
Subject | 恥不脩 不恥見汙 |
공자孔子가 유교를 집대성하고 나서, 많은 사람들이 이를 연구하여 주석을 달고 해석하는데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그 중에서 가장 유명하고 중요한 사람은 맹자孟子와 순자荀子입니다. 맹자는 공자의 사상을 구체적으로 전개하여 인간이 가지고 있는 네 가지 마음이 인의예지仁義禮智의 네 가지 덕으로 발전한다고 주장하고 인간 관계에 대한 삼강오륜三綱五倫을 정리했습니다. 순자는 선배인 맹자를 비판하며 인간은 본성이 악하기 때문에 열심히 배우고 수련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성선설과 성악설은 흔히 오해하듯이 영유아의 심리적 발달에 관한 이론이 아닙니다. 공자의 인仁을 어디서 찾아야 하는지 그 근원에 대한 상반되는 두 가지 해석인 것이죠. 맹자는 그것이 인간의 마음 속에 있다고 생각했고, 순자는 인간의 마음 바깥에서 구해야 하는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순자도 맹자와 마찬가지로 인간이 도덕적이지 못한 행동을 했을 때 부끄러움을 느끼는 감정을 누구나 갖고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렇지만 맹자와 다르게, 인간도 노력하지 않으면 짐승과 다름 없기 때문에 짐승과 같은 상태를 부끄러워하는 마음을 타고난 것이라고 해석한 것입니다. 순자에 인상 깊은 구절이 있어서 인용해봅니다.
훗날 유교의 또다른 유명한 주해가인 주자朱子에 의해 이단으로 여겨진 순자는 청나라 때에 이르러서야 제대로 인정 받았습니다. 순자의 학문적 가치 중 하나는 주로 문답이나 우화 형식으로 쓰여져 모호했던 이전의 저술 방식에서 벗어나서, 마치 논문처럼 비교적 명확하게 자기 주장을 펼쳤다는 것이라고 합니다. 그런 순자를 인용했으니, 하고자 하는 말을 스트레이트하게 해보겠습니다. 질문게시판에서 의도하지 않은 사건으로 정말 부끄러운 감정이 들었습니다. 홍차넷에서 사람들이 "저것 봐라, 저럴 줄 알았어" 비웃을 것 같았습니다. 그런데 제가 무슨 말을 했고 어떤 생각을 가졌느냐가 아니라 상황 자체가 부끄럽더군요. 恥不脩하지 못하고, 恥見汙한 것입니다. 사실, 그 전에 홍차넷을 풍요롭게 만들어주시는 의사 선배님들과 논쟁을 벌이다 감정이 상하는 일이 있었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그닥 첨예한 주제도 아닌데 말이죠. 불편한 마음이었지만 어쩔 수 없다고 여기고 저를 좋게 보는 사람들과 얘기하면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다 보니 저도 모르게 마음 속으로 편을 가르게 되었습니다. 좋은 가치를 貴하게 여기지 못하고, 使人必貴己하여서 인정 받으려고만 한 것이죠. 그 후에는 공교롭게도 문재인과 안철수가 갈라서는 일이 발생했고 저는 문재인을 비판하는 논조로 몇 번 글을 썼습니다. 객관적으로 글을 쓴다고 자신에게 되뇌이면서 사람들을 설득시키려고 했습니다. 성실한 마음으로 글을 쓰지 않아 不信한 것에는 개의치 않고, 不見信한 것에만 신경을 써서 그럴 법하게 보이려고만 한 것입니다. 이런 태도로 홍차넷을 하다가 우발적인 사고와 비슷한 갈등을 겪으니, 순자의 가르침과 정반대로 恥見汙하고 不恥不脩한 것입니다. 그렇게 생각해야만 홍차넷에서 계속 똑똑하고 글도 잘 쓰는데다가 다방면에 아는 것도 많은 사람으로 인정 받고, 더 많은 사람들이 저를 좋아해줄 것이기 때문입니다. 인정 받고 싶어서 誘於譽하고 사랑 받고 싶어서 恐於誹했습니다. 이렇게 순자를 이용하여 글을 쓰는 것은 저의 성찰을 위해서 제가 기댈 수 있는 무언가가 필요했기 때문인데, 아마 속내로는 잘못된 태도를 떨치지 못한 연장선에서 잘난척하는 것일지도 모릅니다. 자꾸 부끄러워 해야할 것을 부끄러워 하지 못하고 부끄러워 하지 말아야 할 것을 부끄러워 하는 제 자신을 어찌해야 할 바를 모르겠습니다. 불안감을 떨쳐내고 평상심을 찾는 것이 가장 좋겠으나, 참 어렵습니다. 그런데 제가 제 안에서 딱 하나 온전히 찾아볼 수 있었던 군자의 마음이 있었으니, 恥不脩였습니다. 제 자신을 이토록 자만하게 방치하는 제가 부끄럽습니다. 여기서부터 시작해 不恥見汙할 때까지 시간을 좀 가져볼까 합니다. 수양修養은 제 자신의 인간적인 면을 되돌아 보는 것이 주력이 되겠지만, 한편으로는 여러모로 부족해진 학과 공부에 힘쓰는 것도 포함될 것 같습니다. 제가 가치 있고 좋은 생각을 하고 또 다른 사람에게 잘 전달할 수 있을거라고 생각하지만, 다시 채우기 전에 아무래도 그릇을 좀 닦는 시간도 있어야 겠죠. 그리하여, 많이 고민하였는데 수양이 끝날 때까지 당분간 홍차넷 활동을 좀 중단하려고 합니다. 수양은 당장 내일 끝날 수도 있고, 평생 걸려도 못 끝낼 수도 있겠죠. 그 때까지 안녕히 계세요. 저에게 특별히 마음 써주시고 잘 대해주시고 교감해주신 분들에 대해서 저 역시 그렇게 특별하게 생각합니다. 정에 목말라서 더 특별하게 생각했을 겁니다. 따로 말씀 드리면 깊게 생각한 결정을 시행에 옮기지 못할 것 같아 그런 것이니, 서운해 하시진 마시길요. 8
이 게시판에 등록된 삼공파일님의 최근 게시물 |
갑자기 깨알같은 한자에 약간 슬퍼졌고(한자병용 반대) 뜬금없이 이게 뭔가 그랬습니다만, 사람이 격한 감정을 표현할 때 어쩔 수 없이 모국어 이외의 언어를 빌지 않으면 자기를 통제하지 못할 것처럼 느끼는 경우들이 있으니까, 그런 걸로 이해합니다.
질문게시판의 문제에 대해서는, 저는 삼공파일님이 부끄러워해야 할 것은 전혀 없다고 생각합니다. 상대를 설득하기 위해 자기 주장을 드러내고 방어하는 일, 그리고 그 과정에서 자기 허영심을 충족시키고자 하는 욕망이 왜 나쁜 것이죠? 논지가 정교하지 않을 수도 있고 대화의 포인트를 빠르게 ... 더 보기
질문게시판의 문제에 대해서는, 저는 삼공파일님이 부끄러워해야 할 것은 전혀 없다고 생각합니다. 상대를 설득하기 위해 자기 주장을 드러내고 방어하는 일, 그리고 그 과정에서 자기 허영심을 충족시키고자 하는 욕망이 왜 나쁜 것이죠? 논지가 정교하지 않을 수도 있고 대화의 포인트를 빠르게 ... 더 보기
갑자기 깨알같은 한자에 약간 슬퍼졌고(한자병용 반대) 뜬금없이 이게 뭔가 그랬습니다만, 사람이 격한 감정을 표현할 때 어쩔 수 없이 모국어 이외의 언어를 빌지 않으면 자기를 통제하지 못할 것처럼 느끼는 경우들이 있으니까, 그런 걸로 이해합니다.
질문게시판의 문제에 대해서는, 저는 삼공파일님이 부끄러워해야 할 것은 전혀 없다고 생각합니다. 상대를 설득하기 위해 자기 주장을 드러내고 방어하는 일, 그리고 그 과정에서 자기 허영심을 충족시키고자 하는 욕망이 왜 나쁜 것이죠? 논지가 정교하지 않을 수도 있고 대화의 포인트를 빠르게 포착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저도 항상 텍스트를 난독하고 엉뚱한 소리를 합니다. 솔직히 삼공파일님의 글은 제 눈에 잘 들어오지는 않습니다. 제 독해 패턴과 맞지 않기 때문일 겁니다. 뤼야님의 말대로 그 함의를 감당하지 못하는 거대한 이야기를 가지고 계셔서 그럴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치면 이 게시판에서 유머를 제외한 대부분의 이야기들이 지탄받아야 할 거대담론입니다. 삼공파일님의 이야기가 뤼야님을 도발한 건, 그게 어떤 취향의 공동체 서클들 내에서 흔히 클리셰로 타게팅되고 까이는 담론들과 표면적으로 유사한 형태를 띠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 그 소리야? 멍청하긴...\'하는 기계적인 반응으로 받아줘야만 할 것 같은. 그런 서클 내에 속해 있지 않은 사람들한테는 아무 도발도 일으키지 않습니다. 그건 서클 바깥의 사람들이 서클 내 사람들보다 독해력이 떨어져서가 아니고, 그런 걸 보자마자 자동적으로 거부반응이 나올 만큼 반복훈련이 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질게에서 저와 뤼야님, 삼공파일님이 말을 섞다가 그런 일이 생겼는데요, 제가 부끄럽다고 한 것은 두 분 사이의 관계에 어설픈 참견을 했기 때문은 아닙니다. 저와 삼공파일님 사이에도 아주 약간의 긴장이 있었고, 저와 뤼야님도 그랬고, 그러다 뤼야님과 삼공파일님 사이에서 폭발했습니다. 셋 다 별개로 볼 수도 있지만 서로 연관되지 않았다고는 하기 힘든 사건이라서, 뤼야님의 태도(명백히 잘못된 태도)에 제가 클레임을 거는 게 맞다고 생각했습니다. 뤼야님의 태도는 삼공파일님뿐 아니라 제 존재도 완전히 무시한 태도였으니까요. 하지만 저는 훈수를 두는 사람처럼 보이기 싫어서(꼰대 같으니까) 아예 당신을 차단한다고 무슨 실천적인 행위를 하는 것처럼 굴었습니다. 그것도 그 자리에서 바로 둔 게 아니고 한참 지난 다음에, 뤼야님도 자기 행동에 대해 우울해하고 있을 법한 시점에, 마치 숙고 끝에 내린 결정처럼 선고를 날렸습니다. 그게 제가 후회하는 저의 오버액션입니다. 차라리 그때 그자리에서 이게 뭐 하는 짓이냐고 버럭 하고 말 걸... 뤼야님이 돌아오시면 꼭 그 이야기를 해주려고 했습니다. 당신이 잘못한 거 맞다고. 그리고 제 무례도 사과하고.
기우로 말씀드리지만, 저 아래 제가 쓴 글은 뤼야님이나 삼공파일님과 무관한 글입니다. 저는 한 게시판에서 다른 게시판으로 감정을 전염시키고 싶지 않습니다. 그런데 이미 전염이 됐네요.
부디 빨리 돌아오세요. 그리고 (제가 보기엔) 억지로 짜낸 반성문 취소해 주세요. 저 알고 보면 무지 성질 더러운 사람입니다...(더러워서 피하겠구나)
여기는 탈퇴회원한테 핸디캡 주고 그런 거 없나요? 사람들이 막 툭하면 탈퇴하고 재가입하고...
질문게시판의 문제에 대해서는, 저는 삼공파일님이 부끄러워해야 할 것은 전혀 없다고 생각합니다. 상대를 설득하기 위해 자기 주장을 드러내고 방어하는 일, 그리고 그 과정에서 자기 허영심을 충족시키고자 하는 욕망이 왜 나쁜 것이죠? 논지가 정교하지 않을 수도 있고 대화의 포인트를 빠르게 포착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저도 항상 텍스트를 난독하고 엉뚱한 소리를 합니다. 솔직히 삼공파일님의 글은 제 눈에 잘 들어오지는 않습니다. 제 독해 패턴과 맞지 않기 때문일 겁니다. 뤼야님의 말대로 그 함의를 감당하지 못하는 거대한 이야기를 가지고 계셔서 그럴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치면 이 게시판에서 유머를 제외한 대부분의 이야기들이 지탄받아야 할 거대담론입니다. 삼공파일님의 이야기가 뤼야님을 도발한 건, 그게 어떤 취향의 공동체 서클들 내에서 흔히 클리셰로 타게팅되고 까이는 담론들과 표면적으로 유사한 형태를 띠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 그 소리야? 멍청하긴...\'하는 기계적인 반응으로 받아줘야만 할 것 같은. 그런 서클 내에 속해 있지 않은 사람들한테는 아무 도발도 일으키지 않습니다. 그건 서클 바깥의 사람들이 서클 내 사람들보다 독해력이 떨어져서가 아니고, 그런 걸 보자마자 자동적으로 거부반응이 나올 만큼 반복훈련이 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질게에서 저와 뤼야님, 삼공파일님이 말을 섞다가 그런 일이 생겼는데요, 제가 부끄럽다고 한 것은 두 분 사이의 관계에 어설픈 참견을 했기 때문은 아닙니다. 저와 삼공파일님 사이에도 아주 약간의 긴장이 있었고, 저와 뤼야님도 그랬고, 그러다 뤼야님과 삼공파일님 사이에서 폭발했습니다. 셋 다 별개로 볼 수도 있지만 서로 연관되지 않았다고는 하기 힘든 사건이라서, 뤼야님의 태도(명백히 잘못된 태도)에 제가 클레임을 거는 게 맞다고 생각했습니다. 뤼야님의 태도는 삼공파일님뿐 아니라 제 존재도 완전히 무시한 태도였으니까요. 하지만 저는 훈수를 두는 사람처럼 보이기 싫어서(꼰대 같으니까) 아예 당신을 차단한다고 무슨 실천적인 행위를 하는 것처럼 굴었습니다. 그것도 그 자리에서 바로 둔 게 아니고 한참 지난 다음에, 뤼야님도 자기 행동에 대해 우울해하고 있을 법한 시점에, 마치 숙고 끝에 내린 결정처럼 선고를 날렸습니다. 그게 제가 후회하는 저의 오버액션입니다. 차라리 그때 그자리에서 이게 뭐 하는 짓이냐고 버럭 하고 말 걸... 뤼야님이 돌아오시면 꼭 그 이야기를 해주려고 했습니다. 당신이 잘못한 거 맞다고. 그리고 제 무례도 사과하고.
기우로 말씀드리지만, 저 아래 제가 쓴 글은 뤼야님이나 삼공파일님과 무관한 글입니다. 저는 한 게시판에서 다른 게시판으로 감정을 전염시키고 싶지 않습니다. 그런데 이미 전염이 됐네요.
부디 빨리 돌아오세요. 그리고 (제가 보기엔) 억지로 짜낸 반성문 취소해 주세요. 저 알고 보면 무지 성질 더러운 사람입니다...(더러워서 피하겠구나)
여기는 탈퇴회원한테 핸디캡 주고 그런 거 없나요? 사람들이 막 툭하면 탈퇴하고 재가입하고...
늘 자기 성찰을 하는 것은 좋은 점인 것 같아요. 사람들이 여러가지 의견에 대해서 다양하게 견해를 내놓는 것이고 그를 통해서 내가 배울 수도 있고 깨칠 수도 있다면 그것을 통해서 내가 성장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되는 것이지...제 생각에는, 그 담론에서 누가 옳고 그르냐는 크게 중요치 않다고 봅니다.
다른 이의 의견이 절대적으로 옮은 것은 과학적인 것들 참 거짓이 존재하는 것들인데 대부분 이곳 게시판에서 이야기나눠지는 것들은 참 거짓을 나누기 보다는 견해들 혹은 지식 정보의 교환이 대부분인 것 같거든요. 따라서 내가 타인의 ... 더 보기
다른 이의 의견이 절대적으로 옮은 것은 과학적인 것들 참 거짓이 존재하는 것들인데 대부분 이곳 게시판에서 이야기나눠지는 것들은 참 거짓을 나누기 보다는 견해들 혹은 지식 정보의 교환이 대부분인 것 같거든요. 따라서 내가 타인의 ... 더 보기
늘 자기 성찰을 하는 것은 좋은 점인 것 같아요. 사람들이 여러가지 의견에 대해서 다양하게 견해를 내놓는 것이고 그를 통해서 내가 배울 수도 있고 깨칠 수도 있다면 그것을 통해서 내가 성장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되는 것이지...제 생각에는, 그 담론에서 누가 옳고 그르냐는 크게 중요치 않다고 봅니다.
다른 이의 의견이 절대적으로 옮은 것은 과학적인 것들 참 거짓이 존재하는 것들인데 대부분 이곳 게시판에서 이야기나눠지는 것들은 참 거짓을 나누기 보다는 견해들 혹은 지식 정보의 교환이 대부분인 것 같거든요. 따라서 내가 타인의 다양성을 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고 나의 사고를 유연하게 할 수 있는 기회가 되는 것이지 나의 미천함으로 인해서 타인에게 성적순으로 나뉘는 곳이 아니라 생각됩니다. 그리고 나보다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신 내공 있으신 분들이 많기에 그분들에게서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이고 그리고 지식이 있는 분들은 나의 지식을 타인과 나누는 것일뿐이겠구요. 삼공파일님도 게시글을 쓰실 때에도 아는 것을 나누는 것에서 기쁨을 느끼시지 않으셨는지..
저는 이곳이 좀 더 자유롭고 프론티어들에게 열린곳이 되었음 하는 바램입니다. 새로운 사고들의 교환을 많이 볼 수 있을려면 사고의 다양성을 존중하는 것이 중요하겠지요. 그런면에서 삼공파일님의 여러 좋은 글들이나 의견들도 한 밑거름이 된다고 봅니다. 탈퇴보다는 의미를 크게 안 부여하셨음합니다. 대신에 일상생활에서 내가 유연한 사고인지 그런 점들은 점검할 필요가 있겠지요.
타인이 나를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해서 생각하기 보다는 혹은 타인을 설득하기 보다는 또는 누가 나를 인정해주는지 동의해주는지가 중요한 것은 아니라봅니다. 다른 의견이 있다면, 나의 의견 어디에 논리적인 점이 없었는가 되짚어보고 저 사람은 저렇게도 보고 다른 시각으로 같은 사건을 바라볼 수 있구나 한다면 좀 더 객관적으로 스스로를 떨어뜨려서 볼 수 있지 싶어요. 그리고 잊지 않으셨으면 하는 것은, 커뮤니티 활동의 목적은 인생 즐겁게 다양한 사람들의 의견을 손쉽게 듣고 서로 교환해보자이지 않을까요? 그 속에서 피어나는 커뮤니티 커플 -_-;; 만약에 타인의 지식만 필요하다면 커뮤니티 활동을 할 필요가 없구요.
마지막으로 많은 회원들이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내지 못하고 타인은 어떻게 내 글에 대해서 생각할까에 대한 고민을 한다면, 고민도 필요는 하지만서도 이건 이미 커뮤니티가 경직되어 간다는 것이겠지요. 예전에 한 번...좋은 글만 쓰고 남들에게 보이기위한 글만 쓰는 경우에 그 커뮤니티는 텔레토비 동산이 된다는 이야길 들었어요..크게 공감...
경계합시다..경직성!!
탄력적이어야지 회복도 빠른데... 고무줄 어디있나요?
다른 이의 의견이 절대적으로 옮은 것은 과학적인 것들 참 거짓이 존재하는 것들인데 대부분 이곳 게시판에서 이야기나눠지는 것들은 참 거짓을 나누기 보다는 견해들 혹은 지식 정보의 교환이 대부분인 것 같거든요. 따라서 내가 타인의 다양성을 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고 나의 사고를 유연하게 할 수 있는 기회가 되는 것이지 나의 미천함으로 인해서 타인에게 성적순으로 나뉘는 곳이 아니라 생각됩니다. 그리고 나보다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신 내공 있으신 분들이 많기에 그분들에게서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이고 그리고 지식이 있는 분들은 나의 지식을 타인과 나누는 것일뿐이겠구요. 삼공파일님도 게시글을 쓰실 때에도 아는 것을 나누는 것에서 기쁨을 느끼시지 않으셨는지..
저는 이곳이 좀 더 자유롭고 프론티어들에게 열린곳이 되었음 하는 바램입니다. 새로운 사고들의 교환을 많이 볼 수 있을려면 사고의 다양성을 존중하는 것이 중요하겠지요. 그런면에서 삼공파일님의 여러 좋은 글들이나 의견들도 한 밑거름이 된다고 봅니다. 탈퇴보다는 의미를 크게 안 부여하셨음합니다. 대신에 일상생활에서 내가 유연한 사고인지 그런 점들은 점검할 필요가 있겠지요.
타인이 나를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해서 생각하기 보다는 혹은 타인을 설득하기 보다는 또는 누가 나를 인정해주는지 동의해주는지가 중요한 것은 아니라봅니다. 다른 의견이 있다면, 나의 의견 어디에 논리적인 점이 없었는가 되짚어보고 저 사람은 저렇게도 보고 다른 시각으로 같은 사건을 바라볼 수 있구나 한다면 좀 더 객관적으로 스스로를 떨어뜨려서 볼 수 있지 싶어요. 그리고 잊지 않으셨으면 하는 것은, 커뮤니티 활동의 목적은 인생 즐겁게 다양한 사람들의 의견을 손쉽게 듣고 서로 교환해보자이지 않을까요? 그 속에서 피어나는 커뮤니티 커플 -_-;; 만약에 타인의 지식만 필요하다면 커뮤니티 활동을 할 필요가 없구요.
마지막으로 많은 회원들이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내지 못하고 타인은 어떻게 내 글에 대해서 생각할까에 대한 고민을 한다면, 고민도 필요는 하지만서도 이건 이미 커뮤니티가 경직되어 간다는 것이겠지요. 예전에 한 번...좋은 글만 쓰고 남들에게 보이기위한 글만 쓰는 경우에 그 커뮤니티는 텔레토비 동산이 된다는 이야길 들었어요..크게 공감...
경계합시다..경직성!!
탄력적이어야지 회복도 빠른데... 고무줄 어디있나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