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6/01/05 21:46:43
Name   수박이두통에게보린
Subject   2015년 자동차 관련 이슈
2015년 자동차 업계에는 크고 작은 이슈들이 많이 일어났습니다. 그중에 제가 관심 깊게 봤던 것들을 위주로 몇가지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1. 폭스바겐 사태 - 디젤 게이트.

개인적으로도, 자동차업계에서도 올 해의 가장 큰 이슈가 아닐까 싶습니다. '댜스옷또- 볽스봑엔' 이라는 CF로 유명하고, 유수의 브랜드를 지니고 있는 폭스바겐에서 ECU S/W조작을 통해 기준치보다 배기가스를 낮게 배출한다고 인증한 후, 양산형 판매 차량에서는 처리 장치를 제대로 작동하지 않게 만들어 연비를 높이는 방법을 사용해 사태가 벌어졌습니다. 이 사건의 핵심은 폭스바겐에서 이러한 사실을 잘 알고 있었고 이를 의도적, 조직적으로 은폐하려는 것에 있었습니다. 이로 인해 폭스바겐은 수 조의 벌금을 지불해야 했으며, 전세계적으로 리콜을 진행해야 하는 상황이 일어났습니다.

폭스바겐은 마틴 빈터콘 CEO을 경질하는 한편 의도적, 조직적인 책임은 없었다라고 주장을 하기도 하였으나 이는 사실로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폭스바겐 사태는 아직 진행중이며, 그 여파는 점점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폭스바겐은 그간의 모델들을 단종하며 캐시 카우가 될 수 있는 핵심 모델에만 집중할 것이라 했으며, 더 부과될 과징금으로 인해 람보르기니, 벤틀리 등의 럭셔리 브랜드를 매각할 수도 있다라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폭스바겐 사태는 기업의 도덕적 해이가 발생했을 때 어떠한 일이 일어나는지 잘 보여준 사례입니다. 특히 자국 기업의 도덕성을 중요시 하는 독일에서 이러한 일이 일어났다는 것에 대해 자동차 업계의 실망은 물론 독일 국민들도 실망감을 감추지 못했고 이를 성토하였습니다.



2. 루이스 해밀턴의 2연속, 3번째 F1 월드 챔피언 등극.

2015년 F1 월드 챔피언은 메르세데스의 루이스 해밀턴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재작년에 이어 연속 챔피언이자 통산 3번째 챔피언으로 등극했습니다. 현역 드라이버중 세바스티안 베텔에 이어 가장 많이 챔피언을 차지한 드라이버가 되었습니다. 재작년에는 팀 메이트 니코 로즈버그와 치열한 경쟁을 했지만, 작년에는 비교적 손쉽게 챔피언을 획득했습니다. 메르세데스 머신 자체가 타 머신에 비해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기도 했고 루이스 해밀턴 특유의 저돌적인 드라이빙 (엄청나게 늦은 속도의 브레이크 등) 이 머신과의 조화를 잘 이뤘습니다.

월드 챔피언을 확정지은 후 시즌 막판에 니코 로즈버그가 분전을 했지만, 올해에도 루이스 해밀턴의 메르세데스 퍼스트 드라이버의 지위는 공고해보입니다. 규정이 바뀌더라도 이미 메르데세에는 로스 버그의 유산이 있기 때문에, 레드불을 제외하면 그 어느팀보다도 규정을 잘 회피(?)하는 머신 퍼포먼스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와 더불어 해밀턴의 드라이빙 실력 역시 뛰어나기 때문에 큰 무리가 없을 경우 3연속 챔피언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가장 큰 라이벌로는 시즌 막판 분전한 팀 메이트 니코 로즈버그와 페라리의 세바스티안 베텔이 있습니다. 니코 로즈버그의 막판 퍼포먼스는 레드불 시절의 세바스티안 베텔과 흡사할 정도로 압도적이었습니다. 많은 팬들이 이러한 퍼포먼스를 시즌 초반에 보였더라면 F1 최초의 부자 월드 챔피언 (케케 로즈버그 - 니코 로즈버그) 가 탄생할 수 있었다는 아쉬움을 가졌습니다. 루이스 해밀턴의 2연속 챔피언으로 인해 퍼스트 드라이버가 되기 힘들고, 루이스 해밀턴 위주의 머신 개량이 이뤄질 예정이기 때문에 올해 챔피언의 길도 험난하지만 시즌 막판의 퍼포먼스를 초반부터 잘 보여준다면 루이스 해밀턴을 견제할 가장 큰 라이벌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페라리는 작년보다 좋은 머신을 선보였지만 지속적인 마이너 업데이트를 하고나서야 메르세데스에 비교적 근접한 퍼포먼스를 보였습니다. 그러나 머신 자체의 퍼포먼스로는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도저히 메르세데스를 따라잡을 수는 없었고, 베텔 특유의 드라이빙을 통해 포디엄을 획득했습니다.  내년에는 페라리에서 전폭적으로 개발에 집중을 하겠다고 말한만큼 세바스티안 베텔의 퍼포먼스가 기대가 됩니다.



3. 람보르기니, 벤틀리 등의 고급 브랜드 SUV 시장 진출.

람보르기니, 벤틀리 등이 SUV 시장에 진출함을 알렸습니다. 럭셔리 브랜드에서 그간 컨셉트카 형식으로 SUV를 내놓기는 해놓았어도 SUV의 시장성을 낮게 보고 접근하지 않았습니다.  포르셰에서 먼저 대형 SUV인 카이엔을 출시했을 때 럭셔리 브랜드나 포르셰 매니아들은 '럭셔리 브랜드 가치를 낮게 하는 멍청한 짓이다', '포르셰 전통을 버렸다.' 등의 혹평을 했습니다. 그러나 카이엔은 적자에 허덕이던 포르셰를 구원해줬으며 현재 베스트 셀러군에 위치해있습니다.

이러한 포르셰 카이엔의 성공에 자극받은 람보르기니, 벤틀리 등도 SUV시장에 진출할 것을 알렸습니다. SUV 시장에 뛰어든 브랜드로는 벤틀리, 람보르기니 이외에 재규어, 롤스로이스, 마세라티도 있습니다. 위에 언급한 브랜드중 재규어를 제외한 나머지 브랜드들은 - 특히 롤스로이스 - 일반적인 고객을 타겟으로 하지 않고 소위 말하는 VIP 고객 시장을 타겟으로 할 예정입니다.

과연 포르셰의 성공처럼 다른 브랜드들도 성공할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4. 에어백? 노. 에어밤.

타카타 사태로 불리는 에어백 폭발 사태입니다. 타카타는 에어백 기준 세계에서 3위의 마켓 셰어를 가지고 있는 업체입니다. 올 해 타카타에서 일정 기간에 만들어진 에어백이 저속에서 갑자기 터지거나, 에어백 내부 지지대가 깨지면서 파편이 튀어나오는 등 운전자의 생명을 위협하는 일이 벌어졌습니다. 피해자의 진술을 통해 파편들은 운전자의 안면, 흉부쪽으로 튀어나오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타카타에서 이를 고의적으로 은폐하려는 정황이 발견되어 더욱 큰 이슈가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도요타, 혼다에서는 타카타 불신선언을 하며 더 이상 타카타 에어백을 사용하지 않겠다고 했습니다.

폭스바겐 사태와 마찬가지로 과실이 일어났을 때 기업의 도덕적 해이가 어떠한 일이 일어나는지 잘 알려준 사태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5. 줄스 비앙키의 사망.

작년 F1에서는 비극적인 사고가 일어났습니다. 2014년 일본GP에서 사고를 당한 줄스 비앙키가 약 9개월간 혼수상태에서 일어나지 못하고 결국 사망한 것입니다. 당시 일본GP는 태풍의 영향으로 상당한 악조건 속에서 치뤄졌습니다. 줄스 비앙키 사고 전 다른 사고가 일어났고 이를 정리하던 대형 크레인과 부딪혔습니다. 당시 줄스 비앙키의 속도는 140km였으며 머신이 완파되는  큰 사고였습니다. 줄스 비앙키의 사망은 1994년 레이스 도중 사망한 아일톤 세나 이후 약 20년이 지나 다시 일어난 첫 사망 사고입니다.

줄스 비앙키는 마루시아라는 열악한 팀 환경에서도 모나코GP에서 팀 첫 포인트를 안겨주는 등 뛰어난 퍼포먼스를 보이던 드라이버였습니다. 페라리의 차세데 드라이버로 손꼽히기도 했습니다. 이런 상당한 경쟁력을 갖춘 드라이버가 허무하게 세상을 떠난 것에 대해 다시금 명복을 빕니다.

번외 - 제네시스 고급 브랜드 발표 : 독일 3사와 경쟁을 하겠다고 하는데 과연..?
       - 고객과실!!고객과실!! 을 외치는 고급 브랜드 (BMW, 벤츠) : 불 나도 고객과실, 멈춰도 고객과실!!



0


    Beer Inside
    폭스바겐이 떨어뜨린 브랜드 가치( 이미 하위권이기는 했지만.. 그래도 cc로 많이 올렸는데)를 어떻게 다시 올릴 수 있을지 궁금해지더군요.

    타카타는 뭐.... 전세계에 에어백 만드는 회사가 몇개 없다는 것을 알려주어서...

    에어백 터지지 않는 것은 현기차에 물어보아야 할 것이 아니라 에어벡 회사에 물어보아야한다는 것을 깨닫게 했지요.
    수박이두통에게보린
    2015년 브랜드 가치는 전체 35위, 자동차 5위에 랭크가 되어 있더군요. 지난 해 대비 전체 순위에서 4위가 하락되었군요. cc는 페이톤, 타이군과 함께 단종군으로 분류가 된 것 같은데..몇몇 모델을 더 단종시킬 것이라고 합니다. 아직 폭스바겐 사태가 끝나지 않은 시점이라 계속해서 추이를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에어백은 상당히 만들기 어렵다라고 하더군요. 타카타 사태가 일어나기 전에는 쿵하면 팡하고 터지는 것인줄 알았는데 새로운 것을 많이 배웠습니다.
    April_fool
    https://www.youtube.com/watch?v=QS6ywFGcLSk
    When Your Airbag is Late

    이런 동영상도 있지요. 에어백 작동에서 100분의 7초 차이가 얼마나 큰지 알려주는 동영상.
    수박이두통에게보린
    네. 저도 봤던 동영상이네요. 섬칫했습니다.
    Beer Inside
    그 브랜드 가치는 어떻게 나왔는지는 모르겠지만 대중에게는 롤스로이스 및 소량 생산 럭셔리카, 포람페, Benz, BMW, Audi, Lexus까지는 거의 변함이 없을 것 같고

    토요타, 혼타, 인피니티,폭스바겐, 현기... 정도 일것 같은데...

    폭바는 미국에서 한 때 시장 퇴출직전까지 갔었던 적이 있어서 고전을 했지만, 중국에서의 성공을 바탕으로 다시 살아났고,
    CLS이후 출시 되었지만 CC로 컴포트 쿠페라는 개념을 널리 알리는데 성공을 하면서 싸구려 차만 만드는 회사라는 이미지를 개선 했고,
    (고성능 골프도 있기는... 더 보기
    그 브랜드 가치는 어떻게 나왔는지는 모르겠지만 대중에게는 롤스로이스 및 소량 생산 럭셔리카, 포람페, Benz, BMW, Audi, Lexus까지는 거의 변함이 없을 것 같고

    토요타, 혼타, 인피니티,폭스바겐, 현기... 정도 일것 같은데...

    폭바는 미국에서 한 때 시장 퇴출직전까지 갔었던 적이 있어서 고전을 했지만, 중국에서의 성공을 바탕으로 다시 살아났고,
    CLS이후 출시 되었지만 CC로 컴포트 쿠페라는 개념을 널리 알리는데 성공을 하면서 싸구려 차만 만드는 회사라는 이미지를 개선 했고,
    (고성능 골프도 있기는 하지만 가난한 자의 포르쉐라는 말처럼 갑싼 차라는 이미지를 탈피하지는...)
    티구안으로 SUV에서 높은 안전도를 과시해서 독일차에 넣어줘도 되나..까지는 발전했었던 것 같습니다.
    (구형 비틀을 남아공과 멕시코에서 우려먹을 만큼 우려먹은 것도 싸구려차 이미지에 많은 도움을...)

    하지만 페이튼은 거짓말처럼....

    그리고 이번 폭바사태로 믿을 수 없는 회사라는 이미지가 커져서 앞으로는 어떻게 될지 모르겠군요.
    (돈없으면 폭바 중국공장들을 중국에 넘기려나...)
    수박이두통에게보린
    브랜드 가치는 인터브랜드에서 16년째 발표하고 있으며, 재무 상황과 마케팅을 측정해서 미래 기대수익의 현재가치로 평가합니다.
    자동차 업계 TOP10은 도요타, 벤츠, BMW, 혼다, 폭스바겐, 포드, 현대, 아우디, 닛산, 포르셰 순으로 나왔습니다. 포람페마중에서는 포르셰만 있네요.

    폭바가 고급 차량 이미지를 갖게 된 것은 정말 얼마 되지 않았는데, 이번 사태로 인해서 다시 그 위상 - 그룹 차원이 아닌 단순 폭스바겐으로 본다면 위상이랄 것은 없겠지만 - 을 회복하긴 어려워보입니다.
    Beer Inside
    그리고 롤스로이스, 벤틀리 같은 녀석들은 SUV같은 녀석들 좀 만들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포람페는 차들이 다 낮아서 SUV를 만든다고 하더라도...

    롤스로이스, 벤틀리는 문짝이 높아서 그런지 차고도 높아 보이더군요.
    수박이두통에게보린
    벤틀리 벤테이가는 포르셰 카이엔과 같은 플랫폼을 공유합니다. 즉 Q7, 투아렉과도 같은 플랫폼을 사용한다는 뜻이지요. 차고는 동일합니다. 롤스로이스 컬리넌은 아직 정보가 제대로 나와있지 않아 잘 모르겠네요.

    롤스로이스나 벤틀리가 포르셰처럼 일반적인(?) SUV를 만들지는 않을 것이고, 소수의 VIP들을 위한 차량으로 제작할 것 같습니다. 벤테이가 1호 오너도 엘리자베스 여왕이니.. 포르셰와는 좀 다르게 롤스로이스-벤틀리의 경우는 자칫하면 지금까지 쌓아놓은 프리미엄 브랜드 가치를 잃을 수 있는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지요. 마이바흐가 알아서 무너져줬으니 아마 엄청난 고급화 전략을 취할 것 같습니다. 특히 롤스로이스는 벤틀리에 비해 우위에 있다라는 것을 은연중 - 사실은 직접적 - 에 비치기 때문에 더욱 그러한 전력을 취할 것 같고요.
    폭스바겐 사태 터지고 나서 클리앙에서 산타크로체님이 포르쉐 가문의 역사를 써주신 걸 재밌게 읽었는데 거의 뭐 한국식 재벌을 능가하는 것 같더군요.
    Beer Inside
    포르쉐 가문도 재미있고 독일 자동차 업체의 지배구조도 재미있지요.

    폭스바겐이 노조와 지방정부의 지분이 높아서 거의 국영이나 다름없는 구조이더군요.

    비싼 포르쉐 카이엔도 체코에서 반조립후에 독일에서 조립해서 Made in German으로 만드는 것도.....
    수박이두통에게보린
    포르셰는 멍에를 지니고 있는 기업/가문인지라..
    정말 여러모로 대단하다라는 말이 딱 어울리는 것 같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249 기타[불판] 이슈가 모이는 홍차넷 찻집 <49> 31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7/12 4827 0
    3193 기타[불판] 이슈가 모이는 홍차넷 찻집 <48> 23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7/05 4360 0
    3143 기타[불판] 이슈가 모이는 홍차넷 찻집 <47> 38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6/28 4195 0
    3086 일상/생각[회고록] 우수에 젖어있던 너의 슬픈 눈망울. 2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6/21 3381 1
    3075 기타[불판] 이슈가 모이는 홍차넷 찻집 <46> 19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6/20 4031 0
    3074 스포츠[F1] 2016 캐내디언GP 결과 4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6/20 3687 0
    2865 기타[불판] 잡담&이슈가 모이는 홍차넷 찻집 <42> 30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5/23 4268 0
    2883 의료/건강[후기] Darwin4078님의 April_fool님을 위한 실내 맨몸 운동 루틴 8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5/24 5198 0
    2839 기타[불판] 잡담&이슈가 모이는 홍차넷 찻집 <41> 46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5/19 4499 0
    2832 일상/생각[회고록] 그의 손길은 애절했고, 눈빛은 날카로웠네. 4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5/18 3369 4
    2799 일상/생각[회고록] 잘못된 암기. 13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5/13 3495 1
    2721 일상/생각[회고록] 잔느 랑방. 12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5/01 3704 0
    2643 일상/생각[회고록] 그와 그녀의 슬픈 도토리. 8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4/19 3572 0
    2594 일상/생각[회고록] 그 밤은 추웠고, 난 홍조를 띠었네. 43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4/12 4754 10
    2512 기타[空知] 녹차넷을 엽니다. 79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4/01 8807 8
    2492 영화(노스포) 그린랜턴 : 반지의 선택을 봤습니다. 7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3/29 4641 4
    2360 기타[불판] 잡담&이슈가 모이는 홍차넷 찻집 <28> 60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3/09 5161 0
    1949 경제2015년 자동차 관련 이슈 11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1/05 6692 0
    1520 일상/생각난 용준 형이 싫다. 31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5/11/10 5918 0
    1353 생활체육[F1] 2015 F1 월드 챔피언이 결정되었습니다. 16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5/10/26 11166 1
    1237 생활체육[F1] 그 재미를 느껴보자 -6 : F1 용어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2) 8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5/10/12 15011 0
    1193 생활체육[F1] 그 재미를 느껴보자 -5 : F1 용어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21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5/10/07 12110 1
    1160 생활체육[F1] 그 재미를 느껴보자 -4 : (외전) 여러분을 F1 전문가로 만들어드립니다. 16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5/10/02 11803 2
    1157 생활체육[F1] 그 재미를 느껴보자 -3 : 페널티에 대해 알아봅시다. 5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5/10/01 18816 1
    1150 생활체육[F1] 그 재미를 느껴보자 -2 : 깃발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8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5/10/01 14804 3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