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6/06/07 21:55:59
Name   우너모
Subject   [조각글 29주차] 졸업
[조각글 29주차 주제]
무언가 잃어버리는 이야기
잃어버리는 어떤 것의 가치에 따라 수준은 달라지겠지만, 무언가를 잃어버리는 일은 슬픈 일일 겁니다. 슬픔이 담겼으면 좋겠지만, 까짓 잃어버려 기뻐도 괜찮겠죠. 지금 잃는 게 아니라 이전에 잃었던 얘기도 상관 없겠네요.

- 분량, 장르, 전개 방향 자유입니다.

합평 받고 싶은 부분
시를 써서 남한테 보여주는 건 처음이네요. 아무 말이나 솔직하게 해주세요.

하고싶은 말
이미지가 빈약한 것 같아요.

본문
---------------------------------------------------------------------------------------------------------------------

졸업

누가 그었는지 모를 선 하나
운동장 가운데 뜻없이 끊어진다
비어버린 교정에 종이 울리고
뼈같이 드러난 시멘트 위로 떨어지는 마른 가을볕.

기다리는 이 없이 앉았다가
돌계단이 습하게 느껴질 때서야
오른손으로 바지춤을 털었다

안녕,
먼지 같았던 시간들.



0


    제주감귤
    시에 관심이 많으신 것 같아 반갑습니다.
    원래 갑자기 쓰려고 하면 안 써집니다.
    안 될 때는 이미지가 쌓이지 않고 흩어지는 기분이라서
    쓰면서도 스스로 손맛이 별로인데, 보통 그 기분이 정확합니다.
    가장 효과가 좋은(안이한) 방법은 남의 시를 읽는 겁니다.
    네 권 정도만 정독해도 그날 바로 영향이 나타납니다.
    시 쓰는게 자전거 타는 것과 비슷해서
    추진력만 충분하면 방향은 저절로 결정되기 때문에
    일단은 많이 뱉고 많이 지운다는 기분으로 쓰는게 좋습니다.

    처음 두 연은 배경과 상황에 대한 가감없는 묘사입니다. 물론 ... 더 보기
    시에 관심이 많으신 것 같아 반갑습니다.
    원래 갑자기 쓰려고 하면 안 써집니다.
    안 될 때는 이미지가 쌓이지 않고 흩어지는 기분이라서
    쓰면서도 스스로 손맛이 별로인데, 보통 그 기분이 정확합니다.
    가장 효과가 좋은(안이한) 방법은 남의 시를 읽는 겁니다.
    네 권 정도만 정독해도 그날 바로 영향이 나타납니다.
    시 쓰는게 자전거 타는 것과 비슷해서
    추진력만 충분하면 방향은 저절로 결정되기 때문에
    일단은 많이 뱉고 많이 지운다는 기분으로 쓰는게 좋습니다.

    처음 두 연은 배경과 상황에 대한 가감없는 묘사입니다. 물론 묘사만으로는 시적인 것이 확보될 수 없습니다. 이때 마지막 연이 등장합니다. 그런데 마지막 연도 읽는 이를 충분히 납득시키지 못하고 엇나가 동떨어져 있지 않나 싶습니다. 과정이 없는 결과라고 해야할까요. '무엇' 보다 관심을 두어야 할 건 '어떻게'가 아닐까 합니다. 전개 과정에서 연계성이 확보되지 않아 아쉬운데, 이러한 맥락에서는 시가 짧다는 사실 자체도 충분히 단점이 될 수 있습니다. 애초에 '안녕, 먼지같았던 시간들'과 같이 단선적으로 회한을 토로하는 표현은 처리하기가 어렵고, 특히나 결구일 경우에는 더 그렇습니다. 며칠 묵혀뒀다가 다시 보게되면 후회하고 지울 확률이 높습니다. 시의 공간은 이행의 공간이죠. 시 쓰는 게 결국 이행하는 법을 배우는 건데 그것의 처음과 끝을 이루고 있는 것이 말씀하셨다시피 이미지입니다. 사물이든, 인물이든, 아니면 어떤 사건이든 시 안에 더 풀어놓았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윤곽선이 희미합니다. 풍성하게 쓴다면 시는 더욱 뚜렷한 태도와 집중력을 보여줄 거라 생각합니다... 이걸 쓰는데 엄청나게 오래 걸렸네요. 남 평가하는 것은 너무 힘듭니다. 시 정말 잘 읽었습니다, 건필하세요!
    우너모
    정성스런 댓글 감사합니다. 역시 잘 쓰기 위해서는 많이 읽고 많이 써봐야 겠네요. 쓰고 나니 너무 부족해서 무얼 어떻게 더 채워야 하나 고민 했는데 제주감귤님의 조언을 읽고 나니 정리가 되는 것 같습니다. 남들에게 쓴 글을 공유하는 게 참 부끄럽지만, 이런 조언을 들을 때마다 올려보길 잘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다음번에는 좀 더 풍성하고 자세하게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149 창작[32주차] 드래곤 레이디 1 레이드 16/06/28 3654 0
    3134 창작[조각글 32주차] 깜짝 피에로 2 nickyo 16/06/27 3605 0
    3102 창작[32주차 주제 발표] 연재글 쓰기 1 얼그레이 16/06/22 5429 0
    3099 창작31주차 그대. 3 헤베 16/06/22 4350 0
    3089 창작[조각글 31주차] 대답 6 얼그레이 16/06/21 4482 1
    3088 창작[창작] 이상형 이야기 3 레이드 16/06/21 3618 0
    3083 창작쯧, 하고 혀를 찼다. 4 nickyo 16/06/21 4098 2
    3071 창작[조각글 31주차] 오뎅의 추억 2 우너모 16/06/19 3965 2
    3048 창작[31주차] 밝은 시 7 제주감귤 16/06/16 3617 1
    3029 창작[31주차 조각글 주제발표] 가장 밝은 글 2 얼그레이 16/06/15 5781 0
    3028 창작[30주차] 쌍안경 2 헤베 16/06/15 4261 0
    3022 창작[30주차]길들이기, 길들여지기. 1 에밀리 16/06/14 5072 0
    3021 창작[30주차] 미끄럼틀 3 얼그레이 16/06/14 4679 1
    2985 창작[30주차]계간 '홍차문학' 30호 특집 3 제주감귤 16/06/09 3641 3
    2976 창작[30주차 조각글 주제발표] 짝사랑, 홍차, 잠 8 얼그레이 16/06/08 4181 0
    2966 창작[29주차]눈에 띄는 자 3 에밀리 16/06/08 5133 0
    2964 창작[조각글 29주차] 졸업 2 우너모 16/06/07 3566 0
    2963 창작[29주차] 추억의 소녀 1 레이드 16/06/07 3595 0
    2942 창작[29주차 주제]무언가 잃어버리는 이야기 1 얼그레이 16/06/03 3588 0
    2928 창작[28주차] 디어 3 묘해 16/06/01 4408 1
    2927 창작[28주차] 좋아해서 이해해 3 레이드 16/05/31 3150 0
    2912 창작[단편] 인필드 플라이Infield Fly(2) 4 당근매니아 16/05/28 3501 3
    2911 창작[단편] 인필드 플라이Infield Fly(1) 1 당근매니아 16/05/28 4211 3
    2901 창작[28주차 조각글]소통같은 소리 하고 있네! 8 난커피가더좋아 16/05/27 4083 2
    2898 창작[28주차 주제] 대화와 소통 7 얼그레이 16/05/26 3448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