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7/02/17 14:24:35
Name   사슴도치
File #2   jyf.jpg (71.2 KB), Download : 5
Subject   [사진]초점거리와 화각에 대해 알아봅시다.


1. 들어가며

 사진 관련 글들은 재밌게 보고 계신가요? 좀 더 쉽고 재밌게 취미사진을 소개하고 싶은 욕심이 많은데 재주와 능력이 변변치않아 더 혼돈만 주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는 요즘입니다

 오늘 준비한 내용은 초점거리와 화각입니다. 설명이 중언부언 하더라도 가볍게 읽어주시면 감사할 것 같아요.

2. 초점거리란 무엇인가?

 초점 거리(focal length)는 렌즈 중심에서 이미지 센서(초점면)까지의 거리로, 각 렌즈마다 다릅니다. 예컨대 50mm f1.8 이라는 렌즈에서 mm로 표시되는 거리가 초점 거리가 되는 것이죠.  렌즈 내부에서 빛이 처음 모이는 지점을 제1주점이라고 하고 모여진 빛이 다시 퍼지는 지점을 제2주점이라한다면제2주점부터 퍼진 빛이 촬상면까지 도달하는 거리가 렌즈의 초점거리입니다

 사실 이와 같은 초점거리의 이론적 정의는 무슨 말인지 이해하기 힘듭니다. 그래서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렌즈가 얼마만큼 담을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수치라고 보셔도 무방합니다.

3. 화각이란 무엇인가?

 화각(Angle of view, Field of view, FOV)은 렌즈를 통해서 사진기가 이미지를 담을 수 있는 각을 말합니다. 화각이 넓으면 광각, 좁으면 망원이 됩니다.

4. 초점거리와 화각의 관계

 초점거리와 화각이 절대적으로 대응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대적으로 초점거리가 길어질수록 화각이 좁아지고, 짧아질수록 화각이 넓어집니다.
 렌즈에 써 있는 mm의 수치를 보면 알 수 있는데요. 첨부한 두번쨰 사진의 초점거리에 따라 (어안)-광각-표준-망원으로 구분되는데, 이 사진은 35mm 풀프레임 판형을 기준으로 나눈 것입니다.

 지난번에 썼던 "판형"을 복습해보자면 같은 초점거리의 렌즈를 사용할 경우 풀프레임에 비해서 APS-C(크롭) 판형은 1.5배정도 크롭되고, 포서드같은 경우에는 2배 더 좁게 사진이 나옵니다. 즉 풀프레임에서 50mm의 초점거리를 가진 렌즈를 사용할 경우 APS-C 판형에서는 풀프레임 기준 75mm, 포서드에서는 100mm의 화각이 나오게 되는데 이를 환산초점거리라고 합니다. 환산화각이라고도 하는데 엄밀하게 말하면 살짝 다른 개념이기도 하죠. 

 자신의 카메라의 판형을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한 부분이 내게 맞는 화각의 렌즈를 고르는데 판형이 필수적이기 때문입니다.

 예컨대 풀프레임에서 50mm렌즈를 쓰는 것을 보고 나도 이정도 화각을 갖는 렌즈를 써야겠다 하고 생각하고, 크롭바디에서 50mm렌즈를 구매하게 된다면 갑자기 환산초점거리 75mm짜리 (준)망원렌즈가 생기게 되는 것이죠. 따라서 크롭바디에서는 1.5배 더 짧은 초점거리를 갖는 30mm 전후의 렌즈를 구매하셔야 풀프레임에서 50mm렌즈로 보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죠. 포서드는 2배니까 25mm 렌즈를 구매해야 하는 것이구요.

5. 표준화각이란 무엇인가요?

 그렇다면 표준화각이란 어떤 것을 말하는가에 대해서 의문이 생깁니다. 풀프레임 기준 50mm의 초점거리가 갖는 화각 전후를 의미하는데요. 이 화각은 사진의 원근감이 나안으로 보는 것과 유사한 정도로 나타나기 때문에 사진술의 표준이 되는 화각 50도 전후의 렌즈를 의미하는데요. 개인적으로는 사진술의 시작과 끝을 장식할 수 있는 렌즈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그래서 다양한 종류의 50mm렌즈들이 출시되고 있고, 저렴한 것부터 비싼 것까지 다양한 50mm렌즈들이 존재합니다.
 물론 크롭바디에서도 다양한 30mm 전후의 렌즈들이 나오고 포서드에서도 25mm렌즈가 출시되고 있습니다.

 다만 실제로 처음에 50mm(혹은 크롭30mm 혹은 포서드25mm)렌즈를 써보면 생각보다 좁은 화각이 생경하게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표준화각의 렌즈가 나안과 비슷한 건 원근감 등의 표현이지 실제 시야각보다는 한참 좁습니다. 그래서 찍다 보면 멀리 있는 걸 찍기엔 힘들고, 가까이 있는 걸 찍기엔 프레임 안에 너무 가득 차버려서 다루기 어렵기도 하구요.

 그래서 요즘 출시되는 카메라의 번들렌즈들은 이와 같은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표준화각을 포함하는 줌렌즈들을 함께 키트로 출시합니다.
 주로 초심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크롭바디를 살펴보면 함꼐 나오는 렌즈들이 30mm 전후의 화각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예컨대 16-50mm 라던가 18-55mm라던가 하는 식으로 말이죠.

 하지만 처음에 사진을 연습할 때는 줌이 안되는 표준화각의 렌즈 하나 가지고 찍는 것이 꽤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가까운 것이나 먼 것을 찍기 어렵다는 것은 어찌 생각해보면 그 과정에서 저것을 어떻게 담을까 하는 고민의 포인트가 되는 부분도 있구요. 오히려 모든 것을 담을 수 없어서, 모든 것을 담을 수 있는 화각이 이 환산 50mm의 초점거리가 아닐까 싶습니다.

 최근에는 풀프레임 기준 35mm렌즈도 새로운 표준화각으로 대두되고 있긴 하지만요. 이 경우 크롭바디에서는 25mm 전후의 렌즈가 되겠군요.

 물론 번들줌렌즈도 꽤 괜찮은 선택이긴 합니다. 가격대 성능비를 따진다면, 지금도 각 회사의 번들렌즈를 뛰어넘는 렌즈들은 없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아쉬운 부분도 있지만, 화질도 썩 괜찮게 나오고, 사용하기 편리하고, 이거저거 고민할 필요없이 간단하게 줌인, 줌아웃으로 처리할 수 있으니까요.
  
 이부분에 대해서는 각자의 취향과 선택에 따르면 될 것 같습니다.

6. 카메라를 살 때 유의할 점

 시스템카메라를 처음 사러 갈 경우에, 대개 번들렌즈킷과 더불어 50mm f1.8의 렌즈를 판매자가 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50mm f1.8 저렴하고, 풀프레임 기준으로 했을때 딱 표준화각이 나오는 꽤 괜찮은 렌즈임에는 틀림없습니다만, 50mm 단렌즈를 입문기나 보급기에 끼우면 위에 언급했다시피 환산75mm의 준망원 화각을 가져 초심자가 찍기에는 너무 좁은 렌즈가 되어버립니다. 판매자들이 50mm를 권하는 이유는 "큰 카메라"에서 기대하는 "아웃포커싱"을 쉽게 찍을 수 있다는 점 때문인데, 사실 아웃포커싱만을 생각해서 50mm렌즈를 사용하기엔 사진에 입문하는 사람들에게는 너무 버겁죠(소위 "아웃포커싱"에 대해서는 나중에 기회가 되면 또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래서 조금 더 나은 사진을 위해 단렌즈를 처음 구매하신다면 조금 돈을 들이더라도 자신의 바디가 APS-C판형이나 포서드 판형이라면 표준화각에 맞는 단렌즈를 구매하시는게 좋지 않을까 하고 감히 생각해봅니다. 20-40mm 사이에 있는 단렌즈들이요.




5
  • 추천합니다
  • 닥추
  • 강좌는 추천
  • 일단 사진 정보글은 추천이야


난커피가더좋아
35mm가 은근히 찍기 어려운 화각이더라고요. 새로운 표준화각은 35mm가 맞다고 주장하시는 분들이 계시지만. 아직 50mm가 좋습니다 ㅎ
사슴도치
35mm가 좋은 것은 카페와 음식과 인증샷을 찍기에 적합한 렌즈이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저도 50mm 좋아하지만 50mm로 셀카찍으면 프레임 가득 얼굴만 나오니까요 ㅎㅎㅎ

하지만 저도 50mm로 시작해서 그런지 몰라도 아직은 이 화각이 익숙해요. 프레이밍 기준이 여기에 맞춰져있는 것 같습니다
DoubleYellowDot
옛날에 35.8은 실내용 여친렌즈, 50.8은 야외용 여친렌즈 라고 했던게 생각나네요.
난커피가더좋아
크롭바디면 그게 딱이긴 하죠. ㅎ
풀프레임 35mm 면.....
구도잡기가 좀 빡셀거 같습니드아.
난커피가더좋아
맞아요..뭔가 어정쩡....ㅎㅎ 근데 사슴도치님 말씀대로 카페 인증샷, 셀카포함 인증샷이면 딱이긴 하네요. 제가 그런사진을 거의 안찍다보니....
근데 풀프레임으로 셀카라니 뭔가 흠좀무하네요.

개인적으로는 크롭바디에 물린 85mm 단렌즈를 제일 좋아합니다. (환산화각 대략 135 정도)
사슴도치
85mm는 풀프레임이든 크롭이든 확 좁아져버려서 어디에서나 쓸만한것 같아요 ㅎㅎ
그래서 100D 같은 캐논 보급기 라인(1.6 크롭)이면 시그마 삼식(30mm)이나 UFO(18-35mm) 혹은 사무캅(35mm), 아니면 18-55 줌번들(18mm-55mm) 을 쓰시는게 좋습니다(?)
40mm 팬케익도 그럭저럭 쓸만은 할거구요.
사슴도치
구체적인 렌즈라인업은 쓰려다가 뺐는데 이렇게 친절하게 댓글로 달아주셨네요.ㅎㅎ
니콘에서는 35mm f1.8G, 시그마 삼식(30mm f1.4) 정도가 대안이구요
소니에서도 시그마 30mm f2.8, 30mm f1.4 정도면 꽤 괜찮습니다
마이크로포서드에선 25mm f1.4, f1.8 20mm f1.7정도가 있겠네요 ㅎㅎ
열대어
35mm, 55mm, 25mm 다 써봤는데, 개인적인 취향은 35mm였습니다. 실내 사물을 많이 찍기도 하지만, 35mm로 16:9 비율로 찍는 사진이 저는 제 시선에 딱 맞는 것 같더라고요.

뭐, 아무튼 결론은 칼 자이스 바티스 25mm사고 싶습니다…
사슴도치
저는 포서디안이다보니 20mm 4:3이 익숙해요. 환산화각 40mm의 그 애매함과 전능함이 참 좋습니다.
마이크로포서드의 축복이 보통의 단렌즈도 칼렌즈 안부럽다는 점이 아닐까 싶습니다 ㅎㅎㅎ 퍼포먼스는 조금 불만이긴 하지만요 ㅠㅠ
열대어
저는 오히려 4:3이 너무 어정쩡한 느낌이라…보통은 3:2로 찍고, 기분에 따라서 16:9를 사용합니다.

마포를 쓰다가 칼렌즈를 써 본 이후로 가장 놀랐던 점은 선예도가…색감은 오히려 마포가 더 좋았지만 선예도 하나만 믿고 갑니다ㅎㅎㅎㅎ마포 색감은 진짜 깡패고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254 꿀팁/강좌뽑기 공략 #2 2 빠른포기 17/03/21 8100 2
5177 꿀팁/강좌나무위키 올바르게 활용하기 8 이슬먹고살죠 17/03/14 6834 4
5152 꿀팁/강좌유해 조수의 포획 방법 #1 4 빠른포기 17/03/12 5679 5
5097 꿀팁/강좌여자사람에게 선물을 해 보자 58 열대어 17/03/07 17693 8
5080 꿀팁/강좌[사진]음식사진 예쁘게 찍어봅시다 7 사슴도치 17/03/05 5052 3
5074 꿀팁/강좌[사진]Nightview Challange - 야경을 찍어봅시다. 4 사슴도치 17/03/04 5039 3
5073 꿀팁/강좌종각역 젊음의 거리(피아노거리) 주차공간 8 Toby 17/03/04 10317 8
5060 꿀팁/강좌[사진]어떻게 하면 사진에 잘 나올까 - 인물사진 포즈 16 사슴도치 17/03/03 14834 3
5050 꿀팁/강좌[사진]나온지 좀 되었지만 괜찮아! - 70만원미만 컴팩트 카메라 30 사슴도치 17/03/02 6840 6
5033 꿀팁/강좌[사진]카메라를 읽어봅시다. 47 사슴도치 17/02/28 5323 8
5021 꿀팁/강좌스마트폰 사진의 GPS 정보 10 Liebe 17/02/27 5414 0
5008 꿀팁/강좌[사진]렌즈의 초점거리에 따른 원근감의 변화를 알아봅시다. - 원근 왜곡 11 사슴도치 17/02/25 14731 4
4983 꿀팁/강좌[사진]렌즈를 읽어봅시다. 33 사슴도치 17/02/24 6054 7
4975 꿀팁/강좌재미난 짤 모아봅시다 (데이터 주의) 110 Toby 17/02/23 12136 1
4973 꿀팁/강좌[사진]도전! 맑은 날 인물촬영! 15 사슴도치 17/02/23 5474 3
4970 꿀팁/강좌[사진]색채를 재현하는 요소들에 대해 알아봅시다 - 화이트밸런스, 다이나믹레인지, 계조 11 사슴도치 17/02/23 6620 4
4953 꿀팁/강좌[사진]노출(exposure)에 대해 조금 더 살펴봅시다(노출보정과 측광). 41 사슴도치 17/02/21 9278 5
4943 꿀팁/강좌[사진]아웃포커싱에 대해 알아봅시다 33 사슴도치 17/02/20 6397 7
4938 꿀팁/강좌(아이폰) 메신저 앱 리뷰 18 elanor 17/02/20 5228 0
4899 꿀팁/강좌[사진]초점거리와 화각에 대해 알아봅시다. 13 사슴도치 17/02/17 9649 5
4889 꿀팁/강좌[사진]판형에 대해 알아봅시다. 30 사슴도치 17/02/16 9612 10
4875 꿀팁/강좌[사진]노출의 3요소와 PSAM 27 사슴도치 17/02/15 8941 13
4801 꿀팁/강좌사진찍으러 갈까요? 20 사슴도치 17/02/07 6885 28
4769 꿀팁/강좌인간의 일 22 moira 17/02/04 6173 14
4758 꿀팁/강좌한국에서 건강하게 먹는 법 12 Rosinante 17/02/03 5912 6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