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7/02/20 00:26:39수정됨 |
Name | 하얀 |
Subject | 위기의 소형 고양잇과 - 으르렁 대 가르랑 |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4
이 게시판에 등록된 하얀님의 최근 게시물
|
표범살쾡이는 삵고 똑 닮았는데 혹시 삵의 다른 이름일까요? 똑 닮았다기엔 좀 다를까...
고양이과 동물들의 특징 중 하나가 특유의 표범무늬(?)인데요, 물론 이와 전혀 무관한 사자나 호랑이 같은 종들도 많지만 유명한 표범, 재규어, 치타에서 본문에 나온 몇몇 친구들하며 삵까지 표범무늬를 가진 친구들이 많습니다. 표범무늬 말고 그냥 점박이 무늬라고 하는 게 맞겠지만요. -.- 그런데 고양이과에는 왜 이 무늬를 가진 종들이 많을까가 궁금합니다. 인위 선택으로 꽤나 다양한 형질을 단시간 내에 발현시킨 게 인간의 친구 개잖아요. 근데... 더 보기
고양이과 동물들의 특징 중 하나가 특유의 표범무늬(?)인데요, 물론 이와 전혀 무관한 사자나 호랑이 같은 종들도 많지만 유명한 표범, 재규어, 치타에서 본문에 나온 몇몇 친구들하며 삵까지 표범무늬를 가진 친구들이 많습니다. 표범무늬 말고 그냥 점박이 무늬라고 하는 게 맞겠지만요. -.- 그런데 고양이과에는 왜 이 무늬를 가진 종들이 많을까가 궁금합니다. 인위 선택으로 꽤나 다양한 형질을 단시간 내에 발현시킨 게 인간의 친구 개잖아요. 근데... 더 보기
표범살쾡이는 삵고 똑 닮았는데 혹시 삵의 다른 이름일까요? 똑 닮았다기엔 좀 다를까...
고양이과 동물들의 특징 중 하나가 특유의 표범무늬(?)인데요, 물론 이와 전혀 무관한 사자나 호랑이 같은 종들도 많지만 유명한 표범, 재규어, 치타에서 본문에 나온 몇몇 친구들하며 삵까지 표범무늬를 가진 친구들이 많습니다. 표범무늬 말고 그냥 점박이 무늬라고 하는 게 맞겠지만요. -.- 그런데 고양이과에는 왜 이 무늬를 가진 종들이 많을까가 궁금합니다. 인위 선택으로 꽤나 다양한 형질을 단시간 내에 발현시킨 게 인간의 친구 개잖아요. 근데 이 견공들에게서도 점박이 무늬는 찾기가 힘들어요. 달마시안 정도. 늑대의 유전자를 참으로 다양하게 쪼개 발현시켰음에도 점박이는 극히 드물고, 다른 포유류에게서도 찾기 힘든 걸 보면 점박이 무늬는 자연에서 희귀한 특징인데 고양이과에는 흔합니다. 고양이과 외에 점박이 무늬를 가진 유명한 포유류에는 점박이하이에나와 점박이바다표범이 있는데, 또 이 친구들도 일단은 좀 더 큰 범위에서 고양이과와 함께 묶이는 식육목이죠. 물론 하이에나와 바다표범은 일단 밀어놓고, 저 다양한 고양이과 동물들의 점박이 무늬는 각각 따로 진화하여 발현한 걸까요. 그렇지 않다면 공통 조상에게서 물려받았기에 대부분의 고양이과 동물들이 갖고 있는 어떤 인자가 특정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진화의 과정에서 발현했기에 꽤나 많은 수의 고양이과 종들이 점박이 무늬를 갖고 있는 걸까요.
음
쓸데없는 궁금증인데 -.- 제대로 된 궁금증일지도 모르겠구요. 그래도 전 고양이과 공통 조상에 가까운 종들은 대부분 저 점박이 무늬를 갖고 있지 않았을까 생각해 봅니다. 이렇게 되먹지 않은 가설을 세워 보는 일도 재미있어서요.
고양이과 동물들의 특징 중 하나가 특유의 표범무늬(?)인데요, 물론 이와 전혀 무관한 사자나 호랑이 같은 종들도 많지만 유명한 표범, 재규어, 치타에서 본문에 나온 몇몇 친구들하며 삵까지 표범무늬를 가진 친구들이 많습니다. 표범무늬 말고 그냥 점박이 무늬라고 하는 게 맞겠지만요. -.- 그런데 고양이과에는 왜 이 무늬를 가진 종들이 많을까가 궁금합니다. 인위 선택으로 꽤나 다양한 형질을 단시간 내에 발현시킨 게 인간의 친구 개잖아요. 근데 이 견공들에게서도 점박이 무늬는 찾기가 힘들어요. 달마시안 정도. 늑대의 유전자를 참으로 다양하게 쪼개 발현시켰음에도 점박이는 극히 드물고, 다른 포유류에게서도 찾기 힘든 걸 보면 점박이 무늬는 자연에서 희귀한 특징인데 고양이과에는 흔합니다. 고양이과 외에 점박이 무늬를 가진 유명한 포유류에는 점박이하이에나와 점박이바다표범이 있는데, 또 이 친구들도 일단은 좀 더 큰 범위에서 고양이과와 함께 묶이는 식육목이죠. 물론 하이에나와 바다표범은 일단 밀어놓고, 저 다양한 고양이과 동물들의 점박이 무늬는 각각 따로 진화하여 발현한 걸까요. 그렇지 않다면 공통 조상에게서 물려받았기에 대부분의 고양이과 동물들이 갖고 있는 어떤 인자가 특정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진화의 과정에서 발현했기에 꽤나 많은 수의 고양이과 종들이 점박이 무늬를 갖고 있는 걸까요.
음
쓸데없는 궁금증인데 -.- 제대로 된 궁금증일지도 모르겠구요. 그래도 전 고양이과 공통 조상에 가까운 종들은 대부분 저 점박이 무늬를 갖고 있지 않았을까 생각해 봅니다. 이렇게 되먹지 않은 가설을 세워 보는 일도 재미있어서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