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4/05/21 13:46:08
Name   하얀
Subject   '아포칼립스에 집을 숨김' 소설 속 인터넷 커뮤니티 활동
생존주의에 관심이 많아 웹소설 '아포칼립스에 집을 숨김(이하 아집숨)'을 읽고 있는데
이게 읽다보니 생존주의고 헌터물이고 뭐고 그냥 인터넷 커뮤 이야기입니다.

세상이 멸망하고 무정부상태가 된 상황에서 준비한 방공호에 들어가 있으니
위성통신을 통한 커뮤생활만이 생활의 주가 되버어린 주인공
이 소설에 부제를 붙인다면 '인터넷 커뮤니티에 대한 소고' 쯤 될려나요.

아마 작가의 의도는 커뮤에서의 찌질함과 현실에서의 강한 멋짐을 대비(?) 시키는 반전매력인건가 싶기도 한데, 주인공의 커뮤 생활이 넘 좀 그래서(...) 이게 보통인가 아니겠지 약간 충격 상태입니다.  아무래도 제가 커뮤에 대한 깊이있는 고찰(?) 해본 적 없는 유저라 그런건지 아우...이게 넘...읽고 있자니 커뮤가 조금 다르게 보이기도 합니다.

(저만 그런게 아닌 듯 소설 반응보니 이거 다중인격물이냐고 하고, 제발 주인공 몸에서 주인공의 커뮤 아이디보고 나가달라 하고)

제게 아집숨을 읽기 전과 후, 까먹을 수가 없어서 커뮤를 보는 시선이 달라지게 된 내용을 몇가지 살펴보면

1. 게시글 대 댓글비
소설 속에서 어떤 유저가 누구인지 파악하려 할 때 '게시글 대 댓글비'를 가져다 분석하는 내용이 있네요. 보통 게시글 대비 댓글이 1:4 이상이면 소통을 하려하는 보통 유저(뒤에 가면 주인공은 스스로 자평하길 1:5로 호감유저의 비율을 유지하고 있다 이런 묘사도 나오고), 게시글 대비 댓글 1:1 부터는 소통보다는 자기 이야기만 하는 유저로 약간 위험(? 몇화 인지 찾기 어려워 정확한 묘사가 기억안나는데) 이런식의 이야기가 나옵니다. 소설 중 분석대상인 어떤 유저는 20:1이라는 말도 안되는 댓글비로 자기 할 말만 하고 소통을 두려워하거나 거부하는 상황이었습니다.

여기서 갑자기 예전에 홍차넷 글 랭킹이 생각나서 찾아보니(https://redtea.kr/lab/act/), 게시글 순위는 있는데 댓글수는 랭킹으로 제공되지 않고 각 회원정보를 봐야하는군요. 이 글을 쓰기 전 제 회원정보에 있는 활동상활을 보면 '작성글수 : 2720, 댓글 : 12039'이며 게시글 대 댓글비 1:4.4 로 '소설 기준' 소통 양호한(?) 수준으로 보입니다. (아...다...다행?)

2. 네임드 집착
네임드 되기위해 게시글 신경쓰고, 댓글수 신경쓰고, 다른 유저랑 비교하고...
이 웹소설을 읽을수록 다른 커뮤에서 본 글과 흐름들이 단순하게 보이지가 않습니다. 설마...싶기도 하고 약간 개안한 느낌인데 뭔가 숭함. 글 올리고 "자 어떠냐 나의 멋진 글이, 어서 반응해라~!" 이런 식의 캐릭터가 많은건 아니겠죠. 진짜 네임드 부심(??!!)이란게 있는걸까요.

아니 게시판에서 네임드해서 뭐해...

(대형 커뮤인 더.쿠나 펨.코는 워낙 익명베이스이고 여기서 느낀 적은 없지만
규모가 작은 다른 곳에서는 컨셉글, 어그로글을 본 적이 있어서...어그로글은 또 다른거 같긴한데)

3. 완장 욕심, 다중이 놀이
게시판 관리자에 대하서 저를 비롯한 일반 유저들은 '고생하시는 감사한 분들'이라는 생각이 기본일거 같은데, 이게 아포칼립스 상황이라 그런지 소설 주인공은 완장이라는 것에 욕심을 냅니다. 기능은 게시글 삭제, 추전글 지정 뭐 이 정도인데...

이 완장을 위해 더미 계정을 통한 투표 조작을 서슴지 않고,
운영자와의 친분을 유지하며 특별 취급(?)을 받기를 원합니다.
게다가 다른 유저가 더 네임드일 경우 질시하기도 하고요.

근데 그 질시의 대상이 되는게 뭐 별거 아니라
아이디 옆에 뭐 달아주고, 1:1 대화할 때 'OO님의 메시지'가 아니라 'OO님의 [특별]한 메시지'로 표기되는 이 정도?

나중에는 '다중 아이디'를 통한 댓글 싸움을 통해 주목받는 게시글 조작도 하고 (뭐 관심을 끌어야 하는 나름의 이유가 있었지만)
갈수록 커뮤에서의 활동이 목불안견이라 회차가 거듭될수록 읽기가 두렵습니다.

(이 와중에 간간히 현실에서 몬스터 싸움 같은거 있으면 레전드라는 설정대로 멋짐)

4. 직장(직업) 명시 커뮤
누가봐도 '블라인드'를 패러디한 '블라인더'라는 커뮤도 나오는데 여기서 일침놀이하는 '의사' 등 특수 직종에 대한 묘사가 그대로 나옵니다. '무직(실제 블라인드에서의 '새회사'에 대응)'이면 심심하다 저녁 뭐 먹는다 뻘글에 아무 댓글이 안 달리지만, '의사'면 댓글이 우수수 달리는 그런 상황이 나옵니다. 실제 블라인드도 그런 면이 있죠ㅋㅋㅋ

닉네임은 중요하지 않고 직장과 직업만이 중요한 그 커뮤니티는 소위 세상이 멸망을 해도 살아남았는데, 아집숨 소설 밖 여기 리얼월드에선 이 커뮤니티가 몇년 후 어케될지 문득 궁금해졌습니다.

그 외에 블루 아카이브를 패러디한 것 같은 '레드 아카이브' 게시판이나 '비틱질' 에 대한 내용도 나오는데 이 부분은 제가 리얼월드에서도 잘 몰라서 패스...

도대체 이 작가님은 멸망물을 쓰고 싶었던 것인가, 인터넷 커뮤 천태만상을 쓰고 싶었던 것일까.

제가 제목만 보고 상상한 멸망기에 살아님기 위하여 필요한 물품, 기술, 상황에 대한 내용도 있지만 읽으면 읽을수록 작가가 살아오며 십년 넘게 겪은(그 정도 내공은 되어보임. 아집숨이 작가의 열번째 정도되는 작품이라는데 어쩌면 커뮤경력이 더 될 수도?) 커뮤니티 생활의 정수를 풀어놓기 위함이 아닐까...왜 점점 소설속 현실에서의 다가올 지구의 최종 멸망을 막기 위한 싸움보다 소설속 커뮤에서 또 어떤 짓을 할까 두려워지는지 알 수가 없습니다(...)









3


    제가 대형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은 잘 모릅니다만, 모든 온라인 커뮤니티라기보다는 DC인사이드 등으로 대표되는 대형 온라인 커뮤니티나 그 맥을 이은 곳들의 특징(?)이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소형이나 대형이나 비슷한 부분도 있겠고, 커뮤니티별 차이도 있겠습니다만. 홍차넷 하다가 잘 모르는 것이 언급되어서 찾아보면 대부분 DC인사이드 등의 밈, 드립, 지나간 유행 같은 경우일 때가 많더라구요.

    디시인사이드
    https://namu.wiki/w/%EB%94%94%EC%8B%9C%EC%9D%B8%EC%82%AC%EC%9D%B4%EB%93%9C

    앗. 댓글을 열심히 달아야겠군요?!
    4
    오 작가가 이런 거에서 따왔나봐요ㅋㅋㅋ 이게 뭔 분석이야 했는데....
    소설 속 묘사보다 더 적나라하네요ㅋㅋㅋㅋ
    1
    자공진
    https://redtea.kr/tm24_1/3377
    모범 회원 명단(...)이읍니다.
    6
    오~ 대충 봐도 모범 회원 명단인 것 같습니다!
    아니 이거보고 댓글 순위도 본 기억이 있는데 싶어...실험실 들어가서 화살표 같은 이모티콘 누르니 댓글순위도 나오는군요.

    자공진님 탐라글은 첨 보는데, 이 분석법이 나름 맞을수도....

    빛과 소금같은 이타적인 분들...리스펙
    저만 빼고 다들 모범이신...
    Echo-Friendly
    아닌데...
    고기먹고싶다
    이 짤 예전에 본거 같읍니다
    1
    네 탐라에 전에 누가 소개해주셨던 기억이 있습니다.
    DC는 원래부터 없는 게시판이 없다는 공룡같이 큰 사이트였는데 최근인 20년부터 23년까지도 실사용자가 꾸준히 증가하는 대단한 사이트였군요. 게시판마다 분위기가 천차만별인건 알고 있습니다만 지금까지도 이렇게 거대한 사이트인지는 몰랐어요.

    소설 속에서 주인공이 활동하는 닉네임 기반 다소 폐쇄적인 위성통신 커뮤니티 외 일반 인터넷 기반 커뮤니티(소설속 이름 페일넷)도 나오는데 거기에서는 특정 닉네임 없이 'ㅇㅇ' 이런 닉네임으로 글쓰는 설정이 DC를 오마쥬 한거 같네요.
    1
    게시판이 나뉘다보니 취향 나눠지는 현세태에 정말 잘 맞아서 더 상승한듯
    마르코폴로
    엄창이?
    아니 왜인지 웹소설 안 보실거 같았는데ㅋㅋ 그 부분까진 나라도 낚시해본다 싶긴 했습니다.
    흠... 그 정돈가?
    농담이고 아숨집 재미있읍니다. 작가의 다른 작품인 회귀대제도 재밌는데, 전혀 다른 분위기라 좋읍니다.
    1
    저는 대략 300회까지 읽었는데 이제 좀 힘들어요ㅋㅋ
    일반 웹소는 첫 작품이라...아포칼립스에 낚인거 같아요.
    VinHaDaddy
    (빈하아빠 감탄) 간만에 만나는 수작입니다. 최근 연재본에서 장군형 잡고 끝날 줄 알았는데 아직은 엔딩이 멀어보여서, 끝까지 폼 유지하며 잘 끝냈으면 좋겠습니다.
    ( 하얀 궁금 ) 도대체 이 ( ) 는 작가의 독창적 창작인지 진짜 이러는 분이 간간히 있던건지 모르겠습니다. 전 거기까지 못 갈 거 같아요. 점점 주인공의 커뮤 활동 보기가 힘들어요ㅋㅋㅋㅋ
    1
    VinHaDaddy
    리플만 봐도 다들 박규와 스켈튼을 다른 사람으로 취급하더군요 ㅋㅋㅋㅋㅋㅋㅋ
    2
    켜뮤활동은 저도 그럴게 자세하진 못하지만
    잠깐 돌아다녀더 흔히 볼수있는 커뮤니티 붕괴 원인 1호 쯤 되는 사유들(...)
    네임드 친목질 ㄷ ㄷ ㄷ
    붕괴될 수 없는게 이 사람들 방공호에 숨어서 다른 사람도 주변에 없고 딱히 할 일이 없는 거라 매일 위성통신으로 이 커뮤 하나만 접속되거든요. 그래서 더 커뮤에 과몰입하는 배경인 거 같아요. 접속 안하면 죽은 거...

    그러고 보니 커뮤 활동의 대표적 행태 중 하나인 친목질은 두드러지지 않네요. 아무래도 생존이 어려운 시기 약탈자로 돌변할 수 있는 다른 사람은 경계해야 하고 자기 자신은 숨겨야 해서 그런거 같아요.
    (복검이 월도) 아포칼립스라는 구조가 커뮤니티 기반으로 서사 전개하기에 적합하단 생각이 들더라고요.
    결국 플롯은 인물 사건 배경을 어떻게 조직할 거냐인데
    커뮤니티라는 '누구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있는' 배경을 설정해두고서 거기에서 출현하는 인물들과 사건들을 현실과 연결 짓는 식으로 하니
    새로운 인물을 삽입하기도 좋고, 사건의 전개를 짜기에도 용이하고, 그 인물들과 사건들을 어떤 공간에서 전개시킬지 별도의 고민 안 해도 되고.
    어떤 면에서 커뮤니티에서는 그야말로 '모든 인간이 모든 일'을 벌이니까요.
    중간 중간 아포칼립스의 ... 더 보기
    (복검이 월도) 아포칼립스라는 구조가 커뮤니티 기반으로 서사 전개하기에 적합하단 생각이 들더라고요.
    결국 플롯은 인물 사건 배경을 어떻게 조직할 거냐인데
    커뮤니티라는 '누구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있는' 배경을 설정해두고서 거기에서 출현하는 인물들과 사건들을 현실과 연결 짓는 식으로 하니
    새로운 인물을 삽입하기도 좋고, 사건의 전개를 짜기에도 용이하고, 그 인물들과 사건들을 어떤 공간에서 전개시킬지 별도의 고민 안 해도 되고.
    어떤 면에서 커뮤니티에서는 그야말로 '모든 인간이 모든 일'을 벌이니까요.
    중간 중간 아포칼립스의 생활상의 변화를 커뮤니티 인물들의 변모와 등치시키는 묘사도 좋더라고요.
    가령 유통기한이 지난 폐라면을 보면서 존내논의 말로를 떠올린다든지.
    덧없는 군상극이라는 점에서 아포칼립스와 커뮤니티가 겹쳐지는 부분이 있죠.
    3
    말씀하신 부분 포함 여러 설정이 좋은 소설이라 생각해요. 저 같이 웹소설 안 보던 사람도 소재가 궁금해서 찾아봤으니까요.

    결국 이 소설의 장르는 몬스터와 싸우는 헌터물인데도 아포칼립스 상황에서의 생존방식, 커뮤니티 활동으로 다양한 이야기로 뻗어 나갈 수 있고, '멜론 마스크' 같은 현실 속 캐릭터를 적절하게 변형한 캐릭터를 등장시켜 오히려 그럴듯하게 재미있단 말이죠.

    웹소설은 하도 사이다패스를 추구한다고 해서
    1. 이런 다양한 캐릭터와 이야기가 나오는 옴니버스식 에피소드의 템포에 독자들이 괜찮나?
    2. 주인공이 ... 더 보기
    말씀하신 부분 포함 여러 설정이 좋은 소설이라 생각해요. 저 같이 웹소설 안 보던 사람도 소재가 궁금해서 찾아봤으니까요.

    결국 이 소설의 장르는 몬스터와 싸우는 헌터물인데도 아포칼립스 상황에서의 생존방식, 커뮤니티 활동으로 다양한 이야기로 뻗어 나갈 수 있고, '멜론 마스크' 같은 현실 속 캐릭터를 적절하게 변형한 캐릭터를 등장시켜 오히려 그럴듯하게 재미있단 말이죠.

    웹소설은 하도 사이다패스를 추구한다고 해서
    1. 이런 다양한 캐릭터와 이야기가 나오는 옴니버스식 에피소드의 템포에 독자들이 괜찮나?
    2. 주인공이 아무리 현실에서 전설적 헌터라지만 커뮤에서 이래도 되나? (넷카마 짓도 하고, 이모티콘 귀척도 하고...)

    싶은데 그래도 잘 나가는거 같습니다.

    저는 이 소설에서 '올드스쿨 헌터'라는 부분의 설정에 큰 매력을 느꼈습니다. 강하지만 초능력(어웨이큰) 능력은 없기에 구시대 취급받는 퇴물 설정이 아포칼립스에 은둔할 수 밖에 당위성을 지니면서, 소위 말하는 사이다패스도 가능하니까요.

    하지만 위에도 적었지만 300회 이상은 제게 너무 긴 거 같아요... 다른 웹소설도 이런가요. (아 여성과의 로맨스가 없어야 한다는 트렌드는 들었는데 그 트랜드하고도 부합하네요)

    일단 이 소설은 커뮤니티 고찰 소설인가ㅋㅋ 해서 적었는데 계속 볼지는 모르겠어요. 쉬고나서 결국 볼 거는 같습니다. 또 커뮤에서 뭔 짓을 할지 궁금해서요(...)
    1
    1번은 커뮤니티마다 다 다르게 적용해야됩니다
    오 어떻게 다른가요? 전 저 댓글비 이론(?) 자체를 처음봐서...궁금합니다
    게시물 여러개 올리기 어려운곳은 웬만하면 댓글이 더 많죠
    그런 악조건을 뚫고(?) 글댓비가 이상한분이면 진짜중의 진짜...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2928 7
    15408 도서/문학'야성의부름' 감상 에메트셀크 25/04/27 124 2
    15407 일상/생각토요일의 홀로서기 큐리스 25/04/26 268 1
    15406 일상/생각사진 그리고 와이프 1 큐리스 25/04/25 440 4
    15405 게임마비노기 모바일 유감 12 + dolmusa 25/04/25 634 5
    15404 일상/생각인생 시뮬레이션??ㅋㅋㅋ 1 큐리스 25/04/25 455 0
    15403 의료/건강긴장완화를 위한 소마틱스 운동 테크닉 소개 4 바쿠 25/04/24 519 10
    15402 도서/문학사학처럼 문학하기: 『눈물을 마시는 새』 시점 보론 meson 25/04/23 316 6
    15401 일상/생각아이는 부모를 어른으로 만듭니다. 3 큐리스 25/04/23 484 10
    15400 꿀팁/강좌4. 좀 더 그림의 기초를 쌓아볼까? 6 흑마법사 25/04/22 378 18
    15399 일상/생각처음으로 챗GPT를 인정했습니다 2 Merrlen 25/04/22 786 2
    15398 일상/생각초6 딸과의 3년 약속, 닌텐도 OLED로 보답했습니다. 13 큐리스 25/04/21 873 28
    15397 일상/생각시간이 지나 생각이 달라지는것 2 3 닭장군 25/04/20 765 6
    15396 IT/컴퓨터AI 코딩 어시스트를 통한 IDE의 새로운 단계 14 kaestro 25/04/20 644 1
    15395 게임이게 이 시대의 캐쥬얼게임 상술인가.... 4 당근매니아 25/04/19 640 0
    15394 꿀팁/강좌소개해주신 AI 툴로 본 "불안세대" 비디오 정리 2 풀잎 25/04/19 619 3
    15393 IT/컴퓨터요즘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AI툴들 12 kaestro 25/04/19 790 18
    15392 도서/문학명청시대의 수호전 매니아는 현대의 일베충이 아닐까? 구밀복검 25/04/18 494 8
    15391 정치세대에 대한 냉소 21 닭장군 25/04/18 1237 15
    15389 게임두 문법의 경계에서 싸우다 - 퍼스트 버서커 카잔의 전투 kaestro 25/04/17 393 2
    15388 일상/생각AI한테 위로를 받을 줄이야.ㅠㅠㅠ 4 큐리스 25/04/16 700 2
    15387 기타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번외. 챗가를 활용한 스피커 설계 Beemo 25/04/16 294 1
    15386 일상/생각일 헤는 밤 2 SCV 25/04/16 396 9
    15385 게임퍼스트 버서커 카잔에는 기연이 없다 - 던파의 시선에서 본 소울라이크(1) 5 kaestro 25/04/16 310 2
    15384 일상/생각코로나세대의 심리특성>>을 개인연구햇읍니다 16 흑마법사 25/04/15 715 1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