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7/02/21 15:12:34
Name   사슴도치
File #1   인디.jpg (20.9 KB), Download : 10
File #2   측광.jpg (53.4 KB), Download : 8
Subject   [사진]노출(exposure)에 대해 조금 더 살펴봅시다(노출보정과 측광).




1. 들어가며

 이전에 "노출의 3요소와 PASM"이라는 글에서 요즘의 디지털 카메라는 자동으로 노출을 잡아준다고 했었습니다. 카메라의 센서는 들어오는 빛의 양을 일정한 방법으로 평균내어 평균 grey 18%정도의 명도를 알아서 셋팅합니다. 이정도 밝기로 찍겠다 하고 평균을 내는 것이죠. 이와 같이 자동으로 노출의 정도를 측정하는 카메라의 작업을 측광(metering)이라고 합니다. 빛의 양을 측정한다는 뜻이죠. 오늘은 노출과 측광에 대해서 조금 알아봅시다.

2. 적정노출

 이와 같이 카메라가 측광한 상태를 '적정노출'이라고 하는데 카메라 디스플레이나 뷰파인더에 나오는 눈금 - 첫번째 사진의 수직선-에서 0의 위치에 설정된 값이 카메라가 적정노출한 상태라고 합니다. 이와 같이 적정노출된 상태가 되면 카메라는 그에 맞춰서 노출의 3요소를 움직이게 됩니다. 즉 A모드에서 조리개값과 감도를 고정시켜놓았다면 셔터스피드를 알아서 조절하고, S모드에서 셔터스피드와 감도를 고정해두었다면 조리개값을 알아서 조절하고, 감도를 조절하게 되면 셔터나 조리개값을 알아서 변화시키게 되는 것이죠.

3. 사진이 너무 어두워요(밝아요)

 그런데 어떤 경우에 카메라로 사진을 찍어보면 눈으로 보이는 것과 다르게 어둡게, 또는 밝게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카메라가 고장났기 때문이 아니라 이는 바로 위와 같이 화면의 밝기를 18% Grey에 맞추려고 하는 매커니즘 때문입니다.

  예컨대 눈이 많이 온 풍경을 찍는다고 하면 세상이 온통 하얗게 보일 것입니다. 카메라는 이와 같은 풍경이 하얗다고 인식을 하지 않고 Grey 18%보다 밝다고 인식하여 이를 어둡게 찍으려고 합니다, 반면에 까만 고양이를 찍는다고 하여 까만 고양이를 측광한다면, 이를 검다고 인식하지 않고 어둡다고 인식하여 지나치게 밝게 찍으려고 할 것입니다.

 이처럼 카메라는 생각보다 멍청하기 때문에 이를 수동으로 보정해주던지, 아니면 측광모드의 조정을 통해서 카메라에게 나는 니가 생각한 것보다 더 밝게/어둡게 찍을 것이다를 알려줘야 합니다. 즉 노출 언더일 경우에는 밝게, 노출이 오버일 경우에는 어둡게 찍으라고 해줄 필요성이 있는 것이죠.

4. 노출보정

 카메라에게 이와 같은 시그널을 주기 위해서는 앞서 살펴본 노출 인디케이터의 눈금을 +쪽으로 혹은 -쪽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쪽으로 이동시키면 적정노출보다 밝게, -쪽으로 이동시키면 적정노출보다 어둡게 사진을 촬영하게 됩니다. 한 칸은 대부분 1/3스탑(이를 "스텝"이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3스텝=1스탑)정도를 보정합니다. 카메라마다 이를 조정하는 메커니즘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주로 네모 안에 +/-가 그려진 버튼을 누르고 다이얼을 돌리거나, 아예 별도의 다이얼에 -2 -1 0 +1 +2 라고 써있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카메라 메뉴얼을 참조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5. 측광만 알아도 초보는 면한다!

 이렇게 거창하게 제목을 달아봤지만, 사실 저도 아직 초보단에서 머뭇거리고 있긴 합니다. 그만큼 측광은 적재적소에 쓰기에는 번거롭기도 하고 생각보다 상황에 대응하기 어려운 부분이긴 합니다만, 그래도 일단 취미사진을 조금 진지하게 시작한다면 한번은 꼭 알고 넘어가야 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적정노출과 관련된 부분이고, 원리 자체가 어려운 부분은 아니니 잠깐만 살펴본다면 무슨 말인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입니다.

 (1) 멀티 측광, 멀티패턴측광, 평가측광
 
  뷰파인더, LCD에 나타나는 전체 영역의 명도를 측거점을 기준으로 평균내어 Grey 18%를 맞춰주는 방식입니다. 카메라마다 기본으로 셋팅되어 있는 측광방식이기도 하고 전경사진을 찍거나 일반적인 대부분의 사진에 많이 쓰이는 측광방식입니다. 측거점(포커스포인트)를 기준으로 하여 화면 전체의 밝기의 평균을 맞춘다고 보시면 됩니다. 측거점(포커스포인트)에 따라 밝기가 변동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2) 중앙부 중점 측광

  중앙부 중점 측광 방식의 경우에는 화면의 중앙에 좀 더 가중치를 둬서 적정노출을 찾아내는 것입니다. 즉 화면 중앙부의 밝기에 좀 더 적합하게 측광하여 평균을 내게 됩니다. 피사체가 크고 어두울 경우 주로 사용하게 됩니다. 중앙부를 중점으로 측광하기 때문에 카메라의 구도를 바꾸면 당연히 밝기를 다시 산출해내어 노출이 계속 변합니다. 그래서 처음에 측광한 값을 유지시켜주기 위해서는 카메라의 AE-Lock 버튼을 눌러줄 필요가 있습니다.

 (3) 스팟 측광

 중앙 타겟으로부터 3.5% 범위 이내 부분을 중점적으로 밝기를 측정합니다. 측광되는 스팟 범위 이외에는 측광하지 않기 때문에 주변 상황과는 관련 없이 피사체의 밝기만에 집중해서 사진을 찍을 수 있습니다. 주로 역광사진을 찍을 때 많이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카메라 기종에 따라 중앙부 타겟 이외에 내가 초점을 맞춘 포커스포인트에 연동하여 측광되는 카메라들도 있습니다(니콘의 경우 보급기부터 고급기까지 전부 스팟측광이 측거점에 연동되지만, 캐논은 고급기 모델들만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역광사진의 경우에는 배경이 밝게 나오기 때문에 카메라는 배경의 밝기로 아 이게 지금 밝은상황이구나 라고 인식을 해서 어둡게 찍게 됩니다. 이 경우 피사체가 어둡게 나오는 것이죠. 그래서 이 경우 피사체가 어둡다는 것을 인식시키기 위해서 스팟측광으로 피사체의 밝기를 측광해서 니가 지금 찍는 것이 어두운 피사체야 라고 인식시켜주는 것이죠. 그러면 카메라가 아 어두우니까 밝게 찍어야 겠구나 하고 피사체에 맞는 밝기를 적정노출로 인식하게 됩니다. 물론 이와 같은 경우에는 배경이 더 밝아지는 '하이키' 느낌으로 나오겠죠. 반면에 역광에서의 실루엣이라면 피사체와 배경의 경계면에 스팟측광을 할 경우 좀 더 세련된 실루엣 사진을 건질 수 있습니다. 밝은 부분을 인식시켜서 피사체를 어둡게 만드는 것이죠.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기회가 되면 좀 더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4) 부분 측광

 스팟 측광과 비슷하지만 타겟으로부터 9% 범위 이내의 밝기를 측광하는 방식입니다. 카메라에 따라 별도로 있는 바디도 있고, 없는 바디도 있는데, 스팟 측광보다 좀 더 넓은 부분을 측광할 때 사용합니다.

6. 측광, 그래도 어려운데요?

 측광은 머릿속으로는 이해가 가도 실제 상황에 맞춰 사용하기에는 생각보다 어려운 개념입니다. 대충 머릿속으로는 뭔지 알아도 그때그때 바꿔가며 사용하기도 어렵고, 어떻게 해야하는지도 모르겠고 말이죠.

 당연히 측광 모드에 정답은 없습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멀티패턴측광방식에서 +1/3정도를 기본 셋팅으로 해서 주로 찍습니다. 그 외에는 수동으로 노출보정을 해줍니다.

 각자에게 맞는 측광방식을 정해서 사용하는 것도 측광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결국엔 측광모드를 이거저거 직접 사용해보시면 차이점을 확연히 알 수 있으실 겁니다. 측광모드를 바꾼다고 사진기가 망가지거나 하지 않으니, 이 모드, 저 모드 직접 바꿔가면서 즐거운 사진생활 하시길 바랍니다.

 잘못된 정보에 대한 지적과, 더 심화된 내용은 언제나 댓글로 환영합니다.
 






5
  •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노출의 3요소와 BDSM인줄 알고 식겁......

다음은 화이트밸런스 또는 플래시라이트겠군요? ㅋㅋㅋ
저는 역광에는 플래시라이트를 때려서 찍습니다 ㅎㅎㅎㅎ
난커피가더좋아
정석이죠.ㅎㅎ
사슴도치
음란마귀가...ㅋㅋㅋ
화밸은 한번 써볼 생각이 있는데, 플래시라이트는 저도 지식과 경험이 일천해서 쓰기가 참 애매합니다 ㅎㅎ

쉽게 쓴다고 쓰고 있는데 점점 어려워지는 것 같아 다음에는 카메라/렌즈 스펙 읽는 법 이라던가, 화이트밸런스/계조/다이나믹레인지에 대해서 써볼까 하는 생각만 가지고 있습니다. ㅎㅎㅎ
난커피가더좋아
화밸이 원래 잘 모르시는 분들이 가장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라....그래서 기대합니다.(응?)
오오. 기대하고 있겠습니다.
아 이러면 너무 부담스러우시려나. 그럼 대기하고 있겠습니다. (?)
열대어
여기 음란마귀가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제가 좀....
기아트윈스
여러분 첫플이 이렇게 중요합니다 ㅋㅋㅋ
본문에서 말씀하신 역광 실루엣 사진 예제입니다 ㅎㅎ

(slr/c , Sigma 30mm f1.4)
사슴도치
+ 로우앵글까지 해서 정말 감각적인 사진이 되었군요!
제가 찍은건 아니고, 저한테 사진 가르쳐준 친구놈이 찍어준겁니다 ㅎㅎㅎ
일단 기종부터가 고수나 쓴다는 slr/c 라서... (iso 200 이상 불가....)
*alchemist*
닉씨를 쓰시다니.. 이분 채소 마니아.. 덜덜;;
제꺼 아니고 친구놈꺼입니다 ㅎㄷㄷㄷㄷㄷ
*alchemist*
친한 분이 닉씨...였나 닉엔이었나 쓰셨는데 주광에서 ISO 100일 때의 그 색감은.. 진짜... 예술이더군요. 후덜덜;;

원래 넷에선 친구 이야긴 다 자기 이야기라고 배웠습니다(어?)
진짜 제꺼 아님 ㅋㅋㅋㅋ

제가 닉씨 빌려서 찍은 사진입니다. 무보정... 무필터..
확대하면 미친듯이 커지고 컨트롤도 안되니 작은 사진으로 보시기 바랍니다 ㅋ
*alchemist*
아따 색감... ㅠ_ㅠ)b
쥑이네요.

포트라 스캔한 거 같기도하고.. 흐어 ㅠ_ㅠ
진짜 기계적 성능은 똑딱이만도 못한 개차반인데 (아마 화소도 500만이 될랑말랑 할겁니다 워낙 오래된거라) 저 색감을 도저히 버릴 수가 없어서 쓴다고 합니다 ㅎㅎ
아마 지금은 오래되어서 운명했을것 같네요.
사슴도치
S5pro 같은 모델인거죠 ㅎㅎㅎ(하지만 RAW 프로파일이 출동하면 어떨까?)
RAW.. 넘나 귀찮은것.....
사슴도치
SCV 님// 그러합니다 ㅠㅠ
*alchemist*
그나저나 표준 노출은 역시 각자의 마음 속에 있는 거 아이겠습니콰... ㅋㅋㅋ
~_~

기계가 딱 정해줘도 까이꺼 뭉개고 제 맘대로 찍는거죠!!!!! 우하하!!!

(알파고님 이 리플은 저희 집 고양이가 작성했습니다)
노출 그까이꺼 대충 찍고 어차피 포토샵 쓰는거 아니겠습니까 ㅋㅋㅋ
*alchemist*
어도비 만세! 포토샵 만만세!! ㅋㅋㅋ
(근데 사실 저는 ACDsee를 더 애용한다능...)
*alchemist*
아 뭐... 자기가 쓰는 프로그램이 최고죠 앗흥~
사슴도치
실제로 기계마다 그레이18%를 잡아주는 메커니즘도 다른 것 같아요. 제가 쓰는 기계 같은 경우에는 노출을 약간 언더로 잡아서 항상 한스탑 더 줘서 찍거든요 ㅎㅎ
*alchemist*
기계마다 다르긴 하죠 ㅎㅎ
제가 옛~~날에 쓰던 미놀타 Dynax 7D랑 지금 쓰는 것들중엔.. X2가 살짝 언더로 잡아줘서... 다른 거랑 병행하면 헷갈리더라구요
거기다 계조 뭉그러지는 게 달라서 노출 보정해도 확확 느낌 달라지고 그러더군요 ㅋ;
사슴도치
다이낙스라니 이 분 연세가... ㅋㅋㅋ저도 다이낙스 디자인 좋아했습니다. 소니로 넘어간 이후의 디자인보다 미놀타 시절의 디자인이 더 맘에 들어요. 지금도 좋은 바디 쓰시네요.
*alchemist*
제 첫 DSLR이었지요 ㅋㅋ 저 쌍견장은 진짜 포스 와방이었는데 말입니다...!
연세..는.. 에.. 그..글쎄요 어립니다 전(외면)
사진 생활을 오래 해서 그런거에요(외면)
지금 하는 일보다 사진 취미가 더 오래됨(흐힛)
X2랑 A7M2랑 디지털인데 둘이 성향이 달라서 좀 당혹스러울 때가 있습지요 ㅋ;
사슴도치
저도 지금 하는일보다 사진 취미가 더 오래됐네요 ㅎㅎ
저는 어쩌다 포서디안이 되서 항상 당혹스럽습니다.
*alchemist*
아 그러고보니 친구에게 대여해준 파나소닉 GF1이 있네요(...)
올림 E-420도 썼었고(...)
...
역시 장비병은 불치병이네요 ㅠ_ㅠ
열대어
일단 사슴도치님 글은 스크랩, 추천, 댓글 작성 후 정독하겠습니다ㅎㅎㅎ
사슴도치
항상 감사합니다^^
Beer Inside
과다 노출 사진 예제가 필요합니다.
해가 쨍쨍 내리쬐는 봄날 낮에 야외에서 85mm f1.8 로 iso800 .... 놓고 찍어서 이꼴이 난 과다 노출 사진입니다.
iso 컨트롤을 해야 한다는 생각을 미처 못한 초보 시절 찍어놓은 사진입니다 ㅋ
(파주 영어마을이라 배경이 보여야 정상인데 과노출로 싹 날아갔...)
사슴도치
이사진 무슨 스튜디오 제품촬영샷처럼 나왔네요 ㅎㅎ
그쵸 ㅋㅋㅋ 야외인데 싹 다 날아갔어요. 아마 측광을 스팟측과으로 해서 카메라에 맞춰놔서 더 그러한듯..

비슷한 위치에서 찍은 다른 사진입니다(????) 배경이 저런데 다 날아가버림 ㅋㅋㅋ (모델은 학교 선배님이십니다 ㅎㅎ)
음란마귀가...
Dr.Pepper
중간에 닉씨 얘기가 나와서 하는 말이지만
예전에 콘탁스 ND가 정말 사고 싶어서 영혼이라도 팔 기세였는데
요즘도 구하기 힘들더라구요. 색감이 진짜 좋아하는 색감이라
포토샵 액션도 만들어놓고 했었는데..
그립네요.
사슴도치
콘탁스는 기종, 렌즈 불문 구하기가 쉽지가 않지요 ㅠㅠ ㅎㅎ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338 꿀팁/강좌와우의 홍차넷 컨텐츠 소개[2/?] 12 와우 17/03/31 4889 4
5329 꿀팁/강좌쉽게 지킬 수 있는 몇 가지 맞춤법. 21 에밀 17/03/30 6312 9
5315 꿀팁/강좌와우의 홍차넷 컨텐츠 소개[1/?] 32 와우 17/03/29 6692 12
5254 꿀팁/강좌뽑기 공략 #2 2 빠른포기 17/03/21 8118 2
5177 꿀팁/강좌나무위키 올바르게 활용하기 8 이슬먹고살죠 17/03/14 6853 4
5152 꿀팁/강좌유해 조수의 포획 방법 #1 4 빠른포기 17/03/12 5702 5
5097 꿀팁/강좌여자사람에게 선물을 해 보자 58 열대어 17/03/07 17717 8
5080 꿀팁/강좌[사진]음식사진 예쁘게 찍어봅시다 7 사슴도치 17/03/05 5061 3
5074 꿀팁/강좌[사진]Nightview Challange - 야경을 찍어봅시다. 4 사슴도치 17/03/04 5050 3
5073 꿀팁/강좌종각역 젊음의 거리(피아노거리) 주차공간 8 Toby 17/03/04 10344 8
5060 꿀팁/강좌[사진]어떻게 하면 사진에 잘 나올까 - 인물사진 포즈 16 사슴도치 17/03/03 14868 3
5050 꿀팁/강좌[사진]나온지 좀 되었지만 괜찮아! - 70만원미만 컴팩트 카메라 30 사슴도치 17/03/02 6858 6
5033 꿀팁/강좌[사진]카메라를 읽어봅시다. 47 사슴도치 17/02/28 5340 8
5021 꿀팁/강좌스마트폰 사진의 GPS 정보 10 Liebe 17/02/27 5431 0
5008 꿀팁/강좌[사진]렌즈의 초점거리에 따른 원근감의 변화를 알아봅시다. - 원근 왜곡 11 사슴도치 17/02/25 14777 4
4983 꿀팁/강좌[사진]렌즈를 읽어봅시다. 33 사슴도치 17/02/24 6076 7
4975 꿀팁/강좌재미난 짤 모아봅시다 (데이터 주의) 110 Toby 17/02/23 12162 1
4973 꿀팁/강좌[사진]도전! 맑은 날 인물촬영! 15 사슴도치 17/02/23 5485 3
4970 꿀팁/강좌[사진]색채를 재현하는 요소들에 대해 알아봅시다 - 화이트밸런스, 다이나믹레인지, 계조 11 사슴도치 17/02/23 6644 4
4953 꿀팁/강좌[사진]노출(exposure)에 대해 조금 더 살펴봅시다(노출보정과 측광). 41 사슴도치 17/02/21 9300 5
4943 꿀팁/강좌[사진]아웃포커싱에 대해 알아봅시다 33 사슴도치 17/02/20 6424 7
4938 꿀팁/강좌(아이폰) 메신저 앱 리뷰 18 elanor 17/02/20 5239 0
4899 꿀팁/강좌[사진]초점거리와 화각에 대해 알아봅시다. 13 사슴도치 17/02/17 9669 5
4889 꿀팁/강좌[사진]판형에 대해 알아봅시다. 30 사슴도치 17/02/16 9628 10
4875 꿀팁/강좌[사진]노출의 3요소와 PSAM 27 사슴도치 17/02/15 8963 13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