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9/08/09 10:37:51
Name   소원의항구
Link #1   https://www.facebook.com/100001184853024/posts/2302783316437808?sfns=mo
Subject   페북펌) 한일 경제 분쟁에 대해 새로운 시각
안녕하세요. 페북을 보다가 이번 한일 분쟁에 대해 GDP와 북한, 미국과의 관계 측면에서 해설한 내용이 있서 가져와봅니다.
이런 관점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대충 퉁쳐서 일본은 GDP 5000조에 잠재성장율 1% 채 안 되고, 한국은 GDP 1700조에 2% 정도 성장하는 나라다.

그래서 거칠게 계산하면 일본은 한해 50조 정도 더 벌면 소소한 한해를 보낸 거고 한국은 34조 정도 더 벌면 비슷한 경기의 한해를 보낸 게 된다.

두 나라 모두 이제 덩치가 크고 안정된 국가이기 때문에 GDP 기준으로 대충 0.x% 수준만 더/덜 벌어도 경기 상승과 하강에 대한 충격으로 받아들이기 충분하다.

그래서 대충 일본은 한 10조 이상, 한국은 6~7조 정도 더 벌 수 있느냐의 문제에 정권의 명암이 달려있다고 보자.

고위직 공무원이거나 매출 규모가 큰 대기업 생활을 오래 해본 사람들에게 저 정도 수치는 느낌이 남다를 것이다. 왜냐하면 적은 수치는 아니지만 의외로 별 거 아니니까. 당장 몇조 추경을 하네마네 하는 것으로 의회가 공전을 벌였고 삼성전자만 해도 연간 매출이 대충 250조다. 삼성전자가 한해 장사 잘 해서 매출이 10% 늘면 나라 전체에서 나머지가 완전히 동일한 상태라 가정해도 난데 없이 대호황이 벌어질 거다. 그냥 한 회사 때문에. 하지만 전체 시스템은 다이내믹스의 세계니까 부푸는 곳이 있으면 꺼지는 곳도 있기 마련이고 이래저래 밸런스가 맞춰지며 모두의 경쟁력과 각종 변수와의 아득한 상호작용 끝에 딱 우리가 체감하는 정도로 굴러가는 게 현실이다.

그런데 작년 한국인이 일본 여행으로 쓴 돈이 대충 7조다. 5000조에 7조라고 하면 그게 뭐라고 하게 되지만 10몇조 더 버느냐 마느냐 게임에서 7조라고 하면 임팩트가 다르다. 와중에 그 돈의 상당 부분은 평소에 돈이 잘 돌지 않는 지역 경제에 공급되어 왔으니 너무나 달콤했을 것이다.

https://news.v.daum.net/v/20190807100058180?d=y

https://news.v.daum.net/v/20190805201643438

덧붙여, 얘기를 늘려보자면 그래서 내가 생각하는 이번 사태 및 동북아 전체의 지정학적 이슈는 대북한 관계를 어떻게 수립할 것이냐의 문제가 아주 크다고 본다.

북한 따위가 뭐라고? 북한이 왜? 라고 생각되는 게 정상이지만 계산기를 두들겨보면 느낌이 또 다르다.

북한에 대한 자세한 경제 수치는 알기 어렵지만 사실상 폐쇄국가에 가까우니 한국은행에서 발표하는 인당 GNI로 보면 대충 우리돈 140만원 정도다. 느낌이 안 오지 않나? 한해를 140만원으로 사는 기분이란? 그래서 현재 북한의 경제력은 굳이 논할 필요도 없는 수준이다. 나라 전체가 우리의 중견 기업 몇개 합친 정도 밖에 안 되고 대기업에는 아예 못 미치기 때문이다. 그런데 만약 북한이 개방에 나서고 인당 GDP가 평범한 개도국 수준, 퉁쳐서 1만불에 도달하게 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인구를 2500만으로 가정했을 때 대충 250조 규모의 시장이 하나 출현하게 되는 셈이다.

미국 20000조, 중국 12000조, 일본 5000조, 한국 1700조에 비추어 잘 커봐야 250조라는 건 ‘애걔...’ 소리가 나올 법 하지만 이게 없다가 생기는 것이고 외교전 결과에 따라 지분이 달라진다면 느낌이 확 다르다.

한국이 만약 '(주)북조선'의 250조에 대해 10% 지분(?)만 행사가 가능하고 국내 경제에 레버리지를 일으킬 수 있다고 보아도 연간 25조 임팩트가 발생한다. 호황은 확정이다. 같은 수치를 일본이 가져가도 GDP 0.5%가 더 오른다.

https://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19080544391#Redyho

가장 큰 미국이라면 어떨까? 미국은 20000조 경제에 2.5% 정도 성장한다. 대충 한 해 500조 정도 더 벌어야 대통령이 자리보전 한다고 퉁치자. 미국이 북한 개방에 대해 주변에 다 퍼줘서(?) 10% 지분만 행사한다면 25조로는 미국 경제에 별 임팩트가 없다. 하지만 만약 40% 정도 지분 행사가 가능하고 관련한 레버리지가 발생한다고 치면 100조 효과다. 500조에서 100조가 해결된다면 머리를 굴리지 않을 수 없다. 무시하기 어렵다.

그래서 과감히 돗자리 깔아보자면 큰 형들 사이에서 북한의 노선은 이미 정해진 바라고 본다. 트럼프가 재선에 실패하고 다음 대통령이 싹 다 갈아엎어 버리는 무리수를 두거나 김정은의 거취에 심대한 변화가 생기지 않는 이상 이건 정해진 미래라고 본다. 여기까지 끌고 온 게 문대통령의 가장 큰 성과라는 생각도 들고.

https://m.yna.co.kr/view/AKR20190712083400071?

중국 또한 그간 북한의 사실상 후견 국가로 기능해온 역사가 있는데 많은 지분을 가지고 싶을 것이다. 향후 증대할 군사적 위협을 고려하면 경제적으로라도 더 많은 지분을 가지고 싶지 않을까?

한편으로는 냉전 체제 조차 고성장 시기에나 가능했던 게 아닌가 싶다. 이제는 저성장이 데팍토다. 군대는 가만히 있어도 돈을 먹는 애물단지이고 전쟁은 돈 먹는 하마라는 점에서 미친 짓이다. 이 상황에서 어디서 무엇을 뜯어먹을 것인가 했을 때 저 정도의 시장이 신규 출현하는 것은 통치자들이 밥숟가락 들고 달려와야 될 일이라고 본다. 모두 다 한푼이 아쉽기 때문이다. 전쟁을 일으키면 한 때의 반짝 특수가 될 뿐이지만 밥상을 차리면 숟가락을 든 주주들끼리는 반영구적으로 즐거울 수 있다.

그러면 일본이 히스테리컬한 반응을 보이는 것도 이해가 된다. 바로 옆에 다같이 나눠먹기로 합의된 밥상이 하나 차려질 예정인데 입장권이 없네? 환장할 노릇이다. 그간 돈독했던 한일 관계를 생각하면 한국 대통령이 북한에 좋게 얘기해서 다리를 놔줄 법도 한데 오히려 작당을 해서 따돌리는 느낌이란 말이지...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90805/96836701/1

그래서 문대통령의 저런 메시지는 과했다는 생각도 든다. 일본에게 ‘넌 왕따야’라고 대놓고 얘기한 거 아닌가. 그냥 지분 싸움으로 치부하기엔 문재인표 팃포탯 머신이 유독 일본에게만 가혹하게 반응하는 기분이 든다. 문-김-트럼프 셋 사이에 무슨 얘기가 어디까지 되어있는 지 모르겠지만 그냥 무지렁이인 내 눈높이에서 보았을 때 이웃 나라를 저 정도로 이지메 하는 건 지나치다는 생각이 든다. 이러면 내가 아베라도 꼭지가 돌 것이다. 게다가 위안부 문제나 강제징용 건도 한국과 얘기된 선이 향후 북한과의 협상에서 일종의 기준점으로 작동할 게 뻔하니까 더욱 예민하게 반응하는 것 아닐까. 하지만 뭐 어쩌겠나. 한반도 분단에 일본의 기여가 없다고 할 수는 없으니 어떻게 보면 자업자득. 게다가 누가 옆에서 이러고 있으면 내가 문대통령이라도 비뚤어질… 쿨럭;;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3138496&code=61111111

일본은 미중이라는 큰 형들이 있으니 많은 지분을 바라진 않겠지만 5000조 와꾸를 버티려면 내심 어느 정도 기대는 있을 거다. 하지만 북한은 최대한 입장권을 비싸게 팔아먹을 작정일 테니 피차 간에 지리한 외교전을 해야 한다. 미사일 자꾸 쏘고 비아냥이 난무하는 노동신문 사설도 그런 일환이라고 본다. ‘얼마 줄 건데? 그걸로는 티켓 못 사는데?’라는 메시지를 계속 날리는 거다. 북한도 일본으로부터 최대한 뜯어내는 게 목표이지 아예 티켓을 팔지 않는 게 목표일 리는 없다. 고객이 많을 수록 값을 높여 부를 수 있을 테니까. 그래서 북일 관계도 적정한 시기에 적정한 선에서 정상화 되지 싶다. 간악한 쪽바리에 정치 난쟁이라고 비난했던 걸 어떻게 수습할 지는 모르겠지만ㅎㅎ

그래서 나는 이렇게 본다. 앞으로 수십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될 일이긴 하지만 향후 북한의 경제 성장에서 과실의 가장 큰 부분은 미국이 가져가지 싶다. 다음은 북한 내부 세력이나 중국, 나머지 짜투리를 한일이 나눠먹는 수준이 되지 않을까? 한국은 평화 정착만으로도 효과가 있기 때문에 딱히 지분 욕심을 드러내지 않았으니까 문재인식 협상력이 작동해온 게 아닌가 하는 추측도 하게 된다. 만약 미래에 특정 국가가 의외로 많이 먹는 상황이 벌어진다면 그건 지금 그 나라 통치자가 활약한 영향으로 봐도 되겠지만 이걸 판단하려면 반세기쯤은 지나야 되겠지.

각 나라가 다 각자의 사정으로 힘들지만 그렇기 때문에 오히려 혼자 더 먹으려고 날뛰다가 엎어버리지 말고 적당한 선에서 합의하면서 좋은 게 좋은 화목한 밥상으로 흘러가면 좋겠다는 기대를 해본다. 괜히 삐진 나라 만들어서 비뚤어지게 만들면 곤란하잖아. 혹시나 분노에 차서 허튼 짓을 하면 무즈카시... 하지만 코리안들의 니뽄에 대한 분노는 역사가 깊... 쿨럭;

+미중 무역 갈등도 실상은 중국의 성장에 대해 미국이 가져가기로 한 합당한(?) 지분이 안 챙겨지니까 분쟁이 생긴 게 아닌가 싶은 느낌적 느낌...



2


    재밌네요 ㅎㅎㅎ
    제로스
    계산기를 두들기는데 인당 GNI 140만원에서 1만불로 뛰는 계산은 어디서 떨어지는건지 모르겠군요.
    이런 이야기를 요새 많이 보는데 가장 중요한 부분을 그냥 전제해놓고 시작하는 이야기가
    무슨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2
    뭐, 베트남 급으로 성장한다고 가정하는거겠죠
    제로스
    2017기준 1인당 GDP 베트남이 2300불 필리핀이 2900불인데 필리핀은 연 6.5~7%정도로 세계에서 성장율이 가장 높은 나라에 속합니다. 그럼 2019에는 한 3400불 정도되겠네요. 그래도 만불이 되려면 아직 길이 멀지요.. 그런데 북한은 갑자기 만불로 계산하면 그게 무슨 의미가 있는 계산이 되겠습니까..?-_-
    1
    아 제가 잘못 알고있던거네요 베트남 1만 불 됐다고 알고 있었습니다.
    제로스
    베트남은 통계에 잡히지 않는 지하경제 비중이 높아 물가나 집값같은 걸 볼때 '실질 GDP는 1만불이다'는 이야기가 많이 보이긴 합니다. 아무래도 개도국의 지하경제 비중이 더 높기야 하겠습니다만 그렇다해도 통계상 GDP에 비해 불명확한 것이기도 하고, 베트남은 인구 자원 국토면적 등 많은 면에서 북한보다 훨씬 좋은 조건에 있지요..
    1
    그저그런
    재밌긴 한데 뭐 희토류가 수백조 매장되어있는 나라니까요...?
    눈팅만
    어디서 타는 냄새 안나요?

    님 마음이 타들어가는 냄새인가요?

    아뇨 너 행복회로 타들어가는 냄새요.
    소원의항구
    정말 무례한 댓글이네요.
    이렇게 비아냥 대면 기분 좋습니까?
    눈팅만
    아 오해의 소재가 있게 글을 썼습니다.
    사과 드립니다.
    글을 퍼오신 분께 드리는 말씀이라기 보다는 저 글을 쓰신 분에게 하고 싶은 말이었는데..
    무례했어요. 사과드립니다.
    댓글은 남겨두겠습니다.
    공격적 댓글에 대해 시정권고 드립니다.

    오해의 소지가 없도록 명확하게 댓글을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상대하는 회원을 지칭하는 표현이라면 이 정도 수위의 댓글은 홍차넷에서 이용정지 대상입니다.
    켈로그김
    납득하고 않고를 떠나
    글 자체는 되게 명료하고 재미있읍니다 ㅋㅋㅋㅋㅋㅋㅋ
    이노우에나오야수정됨
    아무런 의미가 없는 거 같은데요 최빈국인 북한이 갑자기 인당 gdp가 1만불이 된다는 것도 그렇고 이 분이 바라보는 시각은 북한이 일단 개방을 해서 엄청난 성장을 할 때 그 지분을 미국이나 중국 등이 먹는데 일본에게는 입장권도 안준다 그래서 저렇게 반응을 한다 뭐 이런 글을 썼는데
    아예 큰 그림부터 동의가 안 됩니다
    일단 전세계가 미중패권경쟁 즉 자유해양동맹 vs 대륙전체주의동맹 으로 나눠진 상태라는 기본틀에서 봐야 할 문제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1
    아그리고 SK그룹 이번 분기 수익이 1.5조임요. 근데 무에서 +6조를 만들자고???? LG전자 연간 수익이 2.7조인데??
    글로벌 가전업계 지배업체 2.5개 만들면 되나요 ㅎ
    삼전이 아웃라이어인거지 대체 어느 대기업이 조가 우습게 보이겠어요.
    Azurespace
    재미있지만 근거부족이네요. 거의 전례가 없는 수준의 성장한 한국이 일만불 넘는데 몇십년 걸렸습니까?
    이노우에나오야
    한편으로는 냉전 체제 조차 고성장 시기에나 가능했던 게 아닌가 싶다 <- 이것도 정말 동의하기 힘든게 이미 세계적인 학자들이 15년도 부터 평화는 끝났고 신냉전의 시대라고 평하고 있고 미국은 오바마때 피벗 투 아시아 트럼프때 인도태평양 전략을 세우면서 일본을 군사적으로 강화시키고 인도와 대만 호주와 같은 아시아에 있는 동맹국을 이용해 중국을 압박하고 있고 거기에 inf에도 탈퇴하고 아시아에 중거리 미사일을 배치하겠다는 미국을 보면서도 이런 평가가 나온다는 게 이해가 안 갑니다
    절름발이이리
    계산법은 좀 이상하지만.. 북한이 제대로 자본주의 개도국 사이클에 접어들면 상당히 고성장할 거란건 별로 의심할 여지가 없고, 그 자본이 대한민국에서 나올 경우 대한민국에도 제법 도움이 될것도 큰 무리는 없습니다.
    제로스
    제법 도움이야 되겠지요. 일본이 그거 때문에 꼬장을 부릴만한 크기의 파이가 된다는 것에는 많은 무리가 있고요.
    절름발이이리
    네 그런 얘기는 방구석 소설이라
    방구석 키신저 방구석 그린스펀 급 논리네요.

    일단 북한이 정권 유지를 해야하기에 핵포기를 할 리가 없는데 핵포기를 하지 않는 이상 위 나열된 모든 논리가 무효입니다.

    일본도 내부정치논리(아베 장기집권)에 의해서 우경화 스탠스가 십년 넘게 진행되고 있는건데 실현가능성도 높지 않은 북한 경제잔치에 숟가락 놓을자리 없어서 삐지는거라는 주장은 근거가 없네요.

    북한 핵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남북 통일경제로 일본을 넘어선다는 소리는 너무 허무맹랑하죠.
    불타는밀밭
    한국처럼 북한이 빠르게 고성장할 거라는 기대가 많은데, 한강의 기적은 기적이었기에 두번 일어나기 어렵습니다.

    당장 공급과잉, 하강의 시대 국제 분업에서 북한이 차지할 자리가 없을 거에요.
    제일 큰 문제는 북한 GDP가 1만 달러로 가는 동안 남한의 단기경제충격에 대해 아예 계산을 배제하는 것 아닐까 싶어요. 통일은 단순 경제적으로도 남한에게는 당분간은 돈을 무지막지하게 퍼부어야 하는 블랙홀이고, 사회 문화적 충격까지 하면 통합비용은 더더욱 커질 것 같습니다. 북한 경제가 성장할 장밋빛 미래에 기초해서 너무 많은 예상의 예상들(ad hoc)을 덧붙여서 설명력이 떨어지는 느낌입니다.
    소노다 우미
    뭐 이게 망상이다 뭐다는 좀 나간 이야기긴 한데, 북한 시장에 대해서 너무 행복회로를 돌리는 이야기 같습니다.
    물론 현 대북정책에 있어서 일본을 의도적으로 소외시킨것은 맞는데, 그것과 북한시장 개방과는 연관이 없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왜냐면 그건 북한이 마음대로 정할거라...
    글 자체는 재밌고 쉽게 쓰기는 했는데 너무 단순화한 면이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마치 북한이 갑자기 1만불 되서 250조가 생기는 것 처럼 썼고...
    주요 요지는 알겠으나 강대국 들이 신경쓰는 북한의 영향력을 과대평가한 면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일단 문제는 확률인데 북한이 정상국가가 될 확률과 난이도, 그리고 정상국가가 된다음 베트남 이상으로 순항할 확률을 따져보면 사실 본문처럼 매력적인 카드는 아닐 것입니다. 물론 북한/남한에게는 기대값이 아주 높지만요. 로또가 확률이 아무리 낮아도 사람들이 사는 이유가 있잖아요.
    강대국... 더 보기
    글 자체는 재밌고 쉽게 쓰기는 했는데 너무 단순화한 면이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마치 북한이 갑자기 1만불 되서 250조가 생기는 것 처럼 썼고...
    주요 요지는 알겠으나 강대국 들이 신경쓰는 북한의 영향력을 과대평가한 면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일단 문제는 확률인데 북한이 정상국가가 될 확률과 난이도, 그리고 정상국가가 된다음 베트남 이상으로 순항할 확률을 따져보면 사실 본문처럼 매력적인 카드는 아닐 것입니다. 물론 북한/남한에게는 기대값이 아주 높지만요. 로또가 확률이 아무리 낮아도 사람들이 사는 이유가 있잖아요.
    강대국 들은 그냥 혹시 모르니까 발걸친다 수준이라고 생각합니다. 적어도 미중러는요.
    그런데 일본의 경우에는 이 카드가 확률도 낮은데 얻을 것도 없는 오히려 주변국 특히 한국에게 떡고물이 떨어지면 상대적으로 손해인 상황인거죠.
    거기서 무슨 발걸치려고 지금 이런 상황을 만든게 아니라 어차피 낮은 확률 혹시 모르니까 파토 내고, 거기에 본인들(자민당) 필요에 의해서 이런 상황을 만든 거죠. 한국과 냉전 모드는 자국민의 구심점을 만들고 지지율 방어에 도움을 주는 카드, 그리고 최종적으로 헌법 개정을 위한 포석 등인 것이죠.
    제 뇌피셜이지만 사실 일본, 아베도 상황을 여기까지 만들 계획은 아니었다고 생각합니다. 첫번째 카드에서 한번 어흥해주고 적당히 타협을 보려고 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그래서 화이트 국가에서 배제하지만 기존 거래 유지에 대해서 선심쓰듯이 유예 해주는 모양새를 봤던 것 같은데 우리나라 정부가 생각보다 쎄게 나가고 국민들은 더쎄게 나가니 일단 같이 엑셀 밟은 느낌입니다. 당연하죠. 지금 숙이면 계획이 다 어그러지니까요.
    그런데 주변 상황이 이상하게 돌아갑니다. 미중이 관계가 더 악화되면서 세계 경제가 얼어붙고 있는 거죠. 생각보다 일본도 지금 타격이 커요. 우리야 타격 볼 줄 알았고 일본 경제제재가 없었더라도 미중이 붙으면서 새우등 터졌을 거에요. 그런데 일본은 예상치 못하게 내상을 입은 상태에요.
    그래서 지금 의외로 빨리 진정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다고 봅니다. 결국 일본도 수출 규제 품목 중 일부를 빠르게 허가를 내주고 한국도 한국형 화이트 리스트에서 일본을 배제하는걸 접었죠.(물론 아무 실효없는 카드지만 여튼 모양새가 중요하니까요) 아마도 앞으로 대놓고 화해하진 않아도 더이상 서로 자극하는 일은 피할 거라 생각합니다. 결국 이 상황을 반영하듯이 증시가 조금 올랐죠. 적어도 내림새가 접혔다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어떻게 보면 미중 무역 분쟁이 한일관계의 추가 악화를 막은 셈이라고 봅니다.
    7
    오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저도 확실히 진정세라고 생각해요. 당장 청와대나 정부 반응도 하루만에 숨고르기를.. 엄청 빨라요
    whenyouinRome...
    일단 사태는 진정되더라도 국내 기업들의 일본리스크가 발생해버린 건 장기적으로 일본 손해가 될 것 같아요. 삼성은 일본소재 다 빼버리겠다고 기사가 나오기도 하고 하이닉스도 바보는 아닌지라 리스크 해소를 위해 작업할거구요.
    직접 쓰신게 아니고 펌글이라 하시니 진짜 느낀대로 말하면

    전형적인 크게 의미없는 페북글 같아요. 처음에만 그럴듯하게 시작해서 중간에 막 건너뛰어서 소설적인 재미를 주는... 실제로 의미는 별로 없고
    지나가던선비
    일단 관점은 재미있는데 디테일이 떨어진단 생각이네요 물좀 먹어본 사람이 좀더 손보면 그럴싸해질듯
    Algomás
    논거 부족한건 둘째치고 일단 5분순삭 재밌는 글 ㅋㅋ 페북에서는 좋아요 많이 받았을것 같아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585 경제ETF 이야기 - 1. 미국 S&P500 지수 추종 ETF - SPY, IVV, VOO 10 존보글 20/05/14 7888 8
    10565 경제ETF 이야기 - 0. 그래서 ETF가 뭔데? 17 존보글 20/05/08 5181 12
    10518 경제300만원 사기당할뻔한 이야기. 12 사나남편 20/04/21 5383 25
    10310 경제추가 부동산 대책 22 다군 20/02/20 6269 3
    10200 경제파이어족이 선물해준 세가지 생각거리 5 MANAGYST 20/01/19 6129 9
    10195 경제홍차넷 50000플 업적달성 전기 78 파란아게하 20/01/17 7271 71
    10100 경제인구가 줄어드는 것만으로 경제가 망할까? 10 MANAGYST 19/12/21 6887 15
    10002 경제국내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소비 트렌드 변화 5 다군 19/11/19 6159 4
    9962 경제인터넷 도박 체험기 35 곰돌이우유 19/11/08 5073 6
    9746 경제한국 소비자 물가상승률이 -0.4%를 기록했습니다. 24 Jerry 19/10/01 5868 0
    9530 경제페북펌) 한일 경제 분쟁에 대해 새로운 시각 30 소원의항구 19/08/09 6820 2
    9463 경제대구대 국토대장정 학생들 단체 노쇼 사건. 15 tannenbaum 19/07/21 6346 4
    9417 경제퀀트는 어떤 일을 하고, 그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22 굴러간다 19/07/10 6838 25
    9392 경제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 규제 관련하여 33 파이어 아벤트 19/07/04 6662 3
    9346 경제첫글입니다:근로시간 단축을 위한 규제, 실효성을 위한 조치가 필요해-한국노동연구원의 자료 7 신어의원리 19/06/26 4583 1
    9299 경제바뀌지 않는 국책사업의 이면 5 쿠쿠z 19/06/11 5751 18
    9263 경제현대 중공업의 대우해양조선 합병에 대해서 7 쿠쿠z 19/06/01 5913 3
    9257 경제알기쉬운 자동차보험 1. 자동차보험은 어떻게 발전해왔는가? 3 소원의항구 19/05/30 5176 9
    9248 경제알기쉬운 자동차보험 0. 들어가며 5 소원의항구 19/05/29 4664 8
    9222 경제2019. 1/4 가계동향조사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11 제로스 19/05/23 4090 3
    8959 경제2018년 나의 직구 리뷰 5 danielbard 19/03/13 4888 4
    8899 경제장병내일준비적금 이자소득 비과세 신설 8 세무회계연습 19/02/23 3984 4
    8468 경제누나들이 울었대 7 mmOmm 18/11/05 5859 2
    8222 경제[불판] 9.13 부동산 대책 발표 13 Toby 18/09/13 6031 0
    8196 경제집이 사는 것이 아닌 사는 곳이더라도 한국인에겐 사서 사는 곳? 17 moqq 18/09/10 5450 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