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9/09/20 01:42:42수정됨 |
Name | 그저그런 |
Subject | 와이파이(Wi-Fi) 란 무엇일까? |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6
이 게시판에 등록된 그저그런님의 최근 게시물
|
음.. 4) 글의 지적을 보고는 이거 사실을 잘못알면은 여배우라서 무시당했다 하고 선동당하기 좋은 것 같네요. 이래서 사실확인이 중요.
그리고 항상 궁금한게 인터넷의 회선의 처리 속도가 100mbps 환경에서
1. 5G 사용하는 공유기한다면은 그냥 2.4g 주파스만 사용하는 것과 얼마나 체감 차이가 나는지
2. 100mbp 환경에서 기가 공유기를 사용하는게 그렇지 않은 것과 체감 상 얼마나 차이가 날까?
가 항상 궁금하네요. ㅋㅋ
적고 보니 같은 제한된 회선 속도에 공유기 처리 속도가 좋으면 좋을 수록 빠른게 당연한데, 체감 차이가 얼마나 나는지 직접 겪어보지 않는 이상 잘 모르겠군요.
그리고 항상 궁금한게 인터넷의 회선의 처리 속도가 100mbps 환경에서
1. 5G 사용하는 공유기한다면은 그냥 2.4g 주파스만 사용하는 것과 얼마나 체감 차이가 나는지
2. 100mbp 환경에서 기가 공유기를 사용하는게 그렇지 않은 것과 체감 상 얼마나 차이가 날까?
가 항상 궁금하네요. ㅋㅋ
적고 보니 같은 제한된 회선 속도에 공유기 처리 속도가 좋으면 좋을 수록 빠른게 당연한데, 체감 차이가 얼마나 나는지 직접 겪어보지 않는 이상 잘 모르겠군요.
넹. FHSS도 의미있는 발명이고 수업때 배웠던갓 같긴한데, 그래도 좀 무리해서 강조한것 같더라고요.
1) 개인적으로는 2.4G에 간섭이 많을때 5G를 쓰는 편이예요. 5G가 최대속도는 2배정도 나오는데, 대신 거리나 회절/반사에 약해서 콘크리트 벽뒤 같은데서는 5G대역이 더 느려질수도 있거든요. 위치별로 최고속도에서 경로손실+MIMO 동작을 감안해야 실제 속도가 나올거예요 ㅎ 여기에 주변의 간섭과 사용자들도 감안해야....ㄷㄷ
최고속도가 10배 빨라진다고 내 속도가 10배 빨라지는건 절대 아니지말입니다. (3g에서 4g로 ... 더 보기
1) 개인적으로는 2.4G에 간섭이 많을때 5G를 쓰는 편이예요. 5G가 최대속도는 2배정도 나오는데, 대신 거리나 회절/반사에 약해서 콘크리트 벽뒤 같은데서는 5G대역이 더 느려질수도 있거든요. 위치별로 최고속도에서 경로손실+MIMO 동작을 감안해야 실제 속도가 나올거예요 ㅎ 여기에 주변의 간섭과 사용자들도 감안해야....ㄷㄷ
최고속도가 10배 빨라진다고 내 속도가 10배 빨라지는건 절대 아니지말입니다. (3g에서 4g로 ... 더 보기
넹. FHSS도 의미있는 발명이고 수업때 배웠던갓 같긴한데, 그래도 좀 무리해서 강조한것 같더라고요.
1) 개인적으로는 2.4G에 간섭이 많을때 5G를 쓰는 편이예요. 5G가 최대속도는 2배정도 나오는데, 대신 거리나 회절/반사에 약해서 콘크리트 벽뒤 같은데서는 5G대역이 더 느려질수도 있거든요. 위치별로 최고속도에서 경로손실+MIMO 동작을 감안해야 실제 속도가 나올거예요 ㅎ 여기에 주변의 간섭과 사용자들도 감안해야....ㄷㄷ
최고속도가 10배 빨라진다고 내 속도가 10배 빨라지는건 절대 아니지말입니다. (3g에서 4g로 넘어가갈땔 기억해보면 체급이 다르긴 하지만요.ㅎㅎ)
체감품질은 마 환경에 따라 다르다 그리 말할수 있읍니다.
2) 유선 100mbps환경이면 최대 100mbps 속도가 나오겠쥬 ㅎㅎ. 무선환경이 개선되어 100mbps이하였던곳이 100이 되는 결과는 나올수 있는데, 그이상은 안되지 말입니다 ㅎㅎ
전체 구간중 가장 낮은속도로 동작하기 때문에 1Gbps공유기를 제대로 쓰려면 유선도 기가인터넷을 쓰시는게 좋습니다.
1) 개인적으로는 2.4G에 간섭이 많을때 5G를 쓰는 편이예요. 5G가 최대속도는 2배정도 나오는데, 대신 거리나 회절/반사에 약해서 콘크리트 벽뒤 같은데서는 5G대역이 더 느려질수도 있거든요. 위치별로 최고속도에서 경로손실+MIMO 동작을 감안해야 실제 속도가 나올거예요 ㅎ 여기에 주변의 간섭과 사용자들도 감안해야....ㄷㄷ
최고속도가 10배 빨라진다고 내 속도가 10배 빨라지는건 절대 아니지말입니다. (3g에서 4g로 넘어가갈땔 기억해보면 체급이 다르긴 하지만요.ㅎㅎ)
체감품질은 마 환경에 따라 다르다 그리 말할수 있읍니다.
2) 유선 100mbps환경이면 최대 100mbps 속도가 나오겠쥬 ㅎㅎ. 무선환경이 개선되어 100mbps이하였던곳이 100이 되는 결과는 나올수 있는데, 그이상은 안되지 말입니다 ㅎㅎ
전체 구간중 가장 낮은속도로 동작하기 때문에 1Gbps공유기를 제대로 쓰려면 유선도 기가인터넷을 쓰시는게 좋습니다.
mesh는 별도 표준이 있으며, peer-to-peer 통신을 하는 구조이고
repeater는 하나의 기기가 다른 AP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받아온 후
다시 이를 자기 내부의 AP에 bridge / NAT 방식으로 전달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런데, mesh가 실제로 보급되고 있나요?
표준은 벌써 만들어져 있는데 실제로 쓰는 모습은 아직 주변에서 본 적이 없어서요.
repeater는 하나의 기기가 다른 AP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받아온 후
다시 이를 자기 내부의 AP에 bridge / NAT 방식으로 전달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런데, mesh가 실제로 보급되고 있나요?
표준은 벌써 만들어져 있는데 실제로 쓰는 모습은 아직 주변에서 본 적이 없어서요.
잘 정리하셨네요.
빠진 내용이라면 보안 정도겠는데 이쪽도 생각보다 자주 바뀌더군요.
최근에는 WPA3가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WPA2의 보안에 헛점이 발견되었다고 하지요.
그리고, 송달거리 300미터는 보통 뻥이고 line of sight에서 100미터 이하로 보는게 맞습니다.
건물 안이나 장애물이 있으면 더 짧지요.
이는 주파수 특성에 따라 달라지는데
보통 우리가 이용하는 2.4G/5G인 11a/11b 표준은 신호간 시간 간격을 짧게 잡아놔서
멀어지면 수신응답을 못받게 되어 있고 송신 전력도 그렇게 높혀 놓질... 더 보기
빠진 내용이라면 보안 정도겠는데 이쪽도 생각보다 자주 바뀌더군요.
최근에는 WPA3가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WPA2의 보안에 헛점이 발견되었다고 하지요.
그리고, 송달거리 300미터는 보통 뻥이고 line of sight에서 100미터 이하로 보는게 맞습니다.
건물 안이나 장애물이 있으면 더 짧지요.
이는 주파수 특성에 따라 달라지는데
보통 우리가 이용하는 2.4G/5G인 11a/11b 표준은 신호간 시간 간격을 짧게 잡아놔서
멀어지면 수신응답을 못받게 되어 있고 송신 전력도 그렇게 높혀 놓질... 더 보기
잘 정리하셨네요.
빠진 내용이라면 보안 정도겠는데 이쪽도 생각보다 자주 바뀌더군요.
최근에는 WPA3가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WPA2의 보안에 헛점이 발견되었다고 하지요.
그리고, 송달거리 300미터는 보통 뻥이고 line of sight에서 100미터 이하로 보는게 맞습니다.
건물 안이나 장애물이 있으면 더 짧지요.
이는 주파수 특성에 따라 달라지는데
보통 우리가 이용하는 2.4G/5G인 11a/11b 표준은 신호간 시간 간격을 짧게 잡아놔서
멀어지면 수신응답을 못받게 되어 있고 송신 전력도 그렇게 높혀 놓질 않습니다.
그래서 한때 알루미늄 캔 개조해서 안테나 만들면 1km 간다는 글도 다 뻥입니다.
신호를 받을 수는 있을 지 몰라도, 신호 응답을 되돌려 주질 못하기 때문에 재전송이 엄청 발생하고
접속이 끊어졌다 붙었다 하는 등 쓸 수 없는 상태가 되지요.
전 집에서 2.4/5G 공유기를 쓰는데 기본은 2.4G 쪽입니다.
왜냐하면, 5G 신호가 회절에 약해서
화장실 문을 닫거나 모퉁이 돌아 작은 방에 가 있으면 자꾸 끊깁니다.
2.4G 40 MHz도 충분히 빨라서 보통은 이걸로 충분하기도 하구요.
빠진 내용이라면 보안 정도겠는데 이쪽도 생각보다 자주 바뀌더군요.
최근에는 WPA3가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WPA2의 보안에 헛점이 발견되었다고 하지요.
그리고, 송달거리 300미터는 보통 뻥이고 line of sight에서 100미터 이하로 보는게 맞습니다.
건물 안이나 장애물이 있으면 더 짧지요.
이는 주파수 특성에 따라 달라지는데
보통 우리가 이용하는 2.4G/5G인 11a/11b 표준은 신호간 시간 간격을 짧게 잡아놔서
멀어지면 수신응답을 못받게 되어 있고 송신 전력도 그렇게 높혀 놓질 않습니다.
그래서 한때 알루미늄 캔 개조해서 안테나 만들면 1km 간다는 글도 다 뻥입니다.
신호를 받을 수는 있을 지 몰라도, 신호 응답을 되돌려 주질 못하기 때문에 재전송이 엄청 발생하고
접속이 끊어졌다 붙었다 하는 등 쓸 수 없는 상태가 되지요.
전 집에서 2.4/5G 공유기를 쓰는데 기본은 2.4G 쪽입니다.
왜냐하면, 5G 신호가 회절에 약해서
화장실 문을 닫거나 모퉁이 돌아 작은 방에 가 있으면 자꾸 끊깁니다.
2.4G 40 MHz도 충분히 빨라서 보통은 이걸로 충분하기도 하구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