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3/05/28 06:18:01 |
Name | 어설프고하찮은 |
Subject | 자기 안구의 혈관을 스스로 볼 수 있을까요 |
의료인지 과학인지 카테고리는 모호합니다만.. 어둑어둑할 때 잠도 덜 깨어 눈을 가늘게 뜨고 있는데 이상한 형상이 보였습니다. 가시나무가 얽힌 듯한 그림자와 한가운데에 거무스름한 반점. 눈을 크게 뜨면 사라지고 좌우 눈을 번갈아 뜨면 더 잘 보입니다. 무엇일까 생각해 보았는데 가운데 흐릿한 점은 맹점 같고 주변부의 검은 나뭇가지는 혈관의 형상 같습니다. 원래는 혈관이나 맹점 등 깨끗하지 않은 이미지를 놔에서 보정해서 보는 것이라고 들었는데요, 특정 상황에서 보정이 덜 된 이미지를 볼 수도 있는 걸까요? 혈관이나 맹점 같은? 아니면 그런 지식이 있기 때문에 상상 속에 만들어낸 이미지일까요? 참고로 어렸을 때부터 눈에 압력이 높아지면 졸졸졸 흘러가는 백혈구를 잘 보는 편이었습니다. 처음에는 기생충인줄 알고 엄청 놀랐는데 움직임이 규칙적이기도 하고.. 누군가 백혈구의 모습이라고 알려주더군요. 0
|
전에 망막출혈로 검은 그림자가 생겼던 경험을 생각하면,
핏줄을 "보기"는 어려울 수 있어도 핏줄의 그림자는 보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CMOS 센서 위에 머리카락이 붙어 있을 때와 같은 느낌으로요.
"망막 위에 분포하는 혈관들도 그들의 그림자 때문에 여러 작은 맹점들을 만든다."
라고 하네요.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67327&cid=58943&categoryId=58965
핏줄을 "보기"는 어려울 수 있어도 핏줄의 그림자는 보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CMOS 센서 위에 머리카락이 붙어 있을 때와 같은 느낌으로요.
"망막 위에 분포하는 혈관들도 그들의 그림자 때문에 여러 작은 맹점들을 만든다."
라고 하네요.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67327&cid=58943&categoryId=58965
비문증 아닐까요?
비문증은 실같은 검은 점, 떠다니는 거미줄, 그림자 또는 검은 구름 등으로 다양하게 표현된다. 시신경유두부에 유착되어 있던 신경교조직이나 농축된 유리체 또는 동반된 유리체출혈이 후유리체박리로 인해 자유로이 유리체강내에 떠다니고 환자가 이를 자각하는 것이다.
https://naver.me/5ZRfmuhI
비문증은 실같은 검은 점, 떠다니는 거미줄, 그림자 또는 검은 구름 등으로 다양하게 표현된다. 시신경유두부에 유착되어 있던 신경교조직이나 농축된 유리체 또는 동반된 유리체출혈이 후유리체박리로 인해 자유로이 유리체강내에 떠다니고 환자가 이를 자각하는 것이다.
https://naver.me/5ZRfmuhI
위의 '백혈구가 보이는 증상'은 블루필드 내시 현상 이라고 하나 보네요.
https://namu.wiki/w/%EB%B8%94%EB%A3%A8%ED%95%84%EB%93%9C%20%EB%82%B4%EC%8B%9C%20%ED%98%84%EC%83%81
여기에 이런 말이 있는데..
"학자들은 이 현상이 유리체와 망막 사이의 모세혈관을 통과하는 백혈구의... 더 보기
https://namu.wiki/w/%EB%B8%94%EB%A3%A8%ED%95%84%EB%93%9C%20%EB%82%B4%EC%8B%9C%20%ED%98%84%EC%83%81
여기에 이런 말이 있는데..
"학자들은 이 현상이 유리체와 망막 사이의 모세혈관을 통과하는 백혈구의... 더 보기
위의 '백혈구가 보이는 증상'은 블루필드 내시 현상 이라고 하나 보네요.
https://namu.wiki/w/%EB%B8%94%EB%A3%A8%ED%95%84%EB%93%9C%20%EB%82%B4%EC%8B%9C%20%ED%98%84%EC%83%81
여기에 이런 말이 있는데..
"학자들은 이 현상이 유리체와 망막 사이의 모세혈관을 통과하는 백혈구의 잔상에서 기인하는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망막 위에 있는 모세혈관의 그림자는 그대로 두면 망막에 혈관의 상(狀)이 맺혀 버리므로, 시야를 가로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뇌가 처리할 때 시각 정보에서 제외시키는데, 이렇게 어두운 부분을 제외시키는 것을 눈의 암적응(암순응)이라고 한다."
위에 따르면 보정 처리가 잘못될 경우 혈관을 볼 수도 있을 것 같은데요.
https://namu.wiki/w/%EB%B8%94%EB%A3%A8%ED%95%84%EB%93%9C%20%EB%82%B4%EC%8B%9C%20%ED%98%84%EC%83%81
여기에 이런 말이 있는데..
"학자들은 이 현상이 유리체와 망막 사이의 모세혈관을 통과하는 백혈구의 잔상에서 기인하는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망막 위에 있는 모세혈관의 그림자는 그대로 두면 망막에 혈관의 상(狀)이 맺혀 버리므로, 시야를 가로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뇌가 처리할 때 시각 정보에서 제외시키는데, 이렇게 어두운 부분을 제외시키는 것을 눈의 암적응(암순응)이라고 한다."
위에 따르면 보정 처리가 잘못될 경우 혈관을 볼 수도 있을 것 같은데요.
그렇군요. 당뇨망막병증이 있으면 여러가지 시야를 가리는 증세가 나타날 것 같습니다.
제 경우에는 당뇨는 없고 특발성 황반변성이 있는 상황인데 (안과에서 진단받음) 오른쪽 눈에서 시야에 어두운 부분이 있고 수평선이 삐뚤어져 보이는 증세가 있습니다.
본문에서 말씀드린 경험은 딱 한 번만 있었고 그 뒤로는 다시 나타나지 않았는데요, 그 때 오른쪽 눈에서 시야에 어두운 부분에 해당하는 곳(추정)과 맹점에 해당하는 곳(추정)이 어둡게 나타나더군요.
평상시에는 뇌가 양안 보정을 하기 때문인지 오른쪽의 어두운 부분이 크게 신경쓰이지 않는데... 더 보기
제 경우에는 당뇨는 없고 특발성 황반변성이 있는 상황인데 (안과에서 진단받음) 오른쪽 눈에서 시야에 어두운 부분이 있고 수평선이 삐뚤어져 보이는 증세가 있습니다.
본문에서 말씀드린 경험은 딱 한 번만 있었고 그 뒤로는 다시 나타나지 않았는데요, 그 때 오른쪽 눈에서 시야에 어두운 부분에 해당하는 곳(추정)과 맹점에 해당하는 곳(추정)이 어둡게 나타나더군요.
평상시에는 뇌가 양안 보정을 하기 때문인지 오른쪽의 어두운 부분이 크게 신경쓰이지 않는데... 더 보기
그렇군요. 당뇨망막병증이 있으면 여러가지 시야를 가리는 증세가 나타날 것 같습니다.
제 경우에는 당뇨는 없고 특발성 황반변성이 있는 상황인데 (안과에서 진단받음) 오른쪽 눈에서 시야에 어두운 부분이 있고 수평선이 삐뚤어져 보이는 증세가 있습니다.
본문에서 말씀드린 경험은 딱 한 번만 있었고 그 뒤로는 다시 나타나지 않았는데요, 그 때 오른쪽 눈에서 시야에 어두운 부분에 해당하는 곳(추정)과 맹점에 해당하는 곳(추정)이 어둡게 나타나더군요.
평상시에는 뇌가 양안 보정을 하기 때문인지 오른쪽의 어두운 부분이 크게 신경쓰이지 않는데, 오른쪽 눈만 뜨고 하얀 면을 보면 그 지점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흐릿하게 보임).
그런데 위 경험에서 추정되는 부위가 딱 영역으로 나오니까 신기하더군요. 그게 진짜로 그 영역을 보여준 것인지, 아니면 뇌가 이 영역이 그럴 것이다라고 생각해서 잠결에 그려서 보여준 것인지는 아직 모르겠습니다.
제 경우에는 당뇨는 없고 특발성 황반변성이 있는 상황인데 (안과에서 진단받음) 오른쪽 눈에서 시야에 어두운 부분이 있고 수평선이 삐뚤어져 보이는 증세가 있습니다.
본문에서 말씀드린 경험은 딱 한 번만 있었고 그 뒤로는 다시 나타나지 않았는데요, 그 때 오른쪽 눈에서 시야에 어두운 부분에 해당하는 곳(추정)과 맹점에 해당하는 곳(추정)이 어둡게 나타나더군요.
평상시에는 뇌가 양안 보정을 하기 때문인지 오른쪽의 어두운 부분이 크게 신경쓰이지 않는데, 오른쪽 눈만 뜨고 하얀 면을 보면 그 지점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흐릿하게 보임).
그런데 위 경험에서 추정되는 부위가 딱 영역으로 나오니까 신기하더군요. 그게 진짜로 그 영역을 보여준 것인지, 아니면 뇌가 이 영역이 그럴 것이다라고 생각해서 잠결에 그려서 보여준 것인지는 아직 모르겠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