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8/09/27 16:33:14수정됨
Name   곰곰이
Subject   전기/하이브리드차량 배터리 수명/성능 질문입니다.
평소 전기차 배터리에 대한 여러 루머(?)를 듣고 있습니다.
- 전기차 배터리도 결국 핸드폰처럼 몇 년 지나면 쉽게 방전되고 성능 떨어져서 바꿔야 된다. 그런데 비용이 천만원.
- 하이브리드(프리우스)는 몇 km를 타든 무조건 5년마다 배터리 바꿔야 된다더라.
- 아직 전기차, 하이브리드차 오래 탄 사람이 없어서 불만이 없는거다.

왠지 그럴싸해서 인터넷 찾아보면
- 자동차 배터리는 핸드폰과 달리 오래 쓸 수 있다. 막 수십만 km 써도 성능저하 없다. (똑같은 리튬이온인데?)
  *이 부분은 더 찾아보니 리튬이온 방식과 니켈메탈 방식이 혼용되고 있어서 추가수정합니다.
- 프리우스 5년마다 배터리 바꾸는거 아니다. 그리고 어차피 배터리 문제는 10년 무상보증이다. (10년 넘게 타고 싶으면?)
이런 내용들이 있는데 뭔가 속 시원한 답변이 없네요.

결국 다음 차량은 전기나 하이브리드차량으로 가야 할텐데 배터리가 그 장점을 다 막는게 아닌가,
차세대 배터리 기술이 나올 때 까지 기다려야 하는 것인가 궁금합니다.



0


맥주만땅
프리우스가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베터리문제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프로그램적으로 관리를 철저히 해서 버티도록 한다고 합니다.

배터리는 10년 보증이라고 하는데, 솔직히 보증교체를 받으려면 각종 조건이 맞아야 해서 보증교체는 생각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곰곰이
네 아무래도 다음 차는 하이브리드 (연비가 아주 좋은) 차량을 생각하고 있는데
세대를 이어 검증된 프리우스가 제일 마음에 듭니다.
근데 어째서 디자인이 갈 수록 이상해지는지 ㄷㄷ
맥주만땅
한국에서 차 한대만을 구입해야 한다면 저는 그랜저 하이브리드로 갈 겁니다.
마술사
자동차배터리는 보통 10년 80% 보증일겁니다.
곰곰이
배터리의 80% 이상 성능을 10년 넘게 내 준다는 설명들이 있더군요.
주위에서 흔히 보는 충전배터리와는 많이 다른 것 같습니다.
헬리제의우울
아이오닉 살때 배터리 평생보증이라고 했는데
5년 10년뒤 최신기술로 배터리를 갈아줄지
배터리단종돼서 아몰라용 할지 궁금함
곰곰이
평생보증!! 그럼 니로도 비슷하겠군요.
의외로 제조사들이 자동차 배터리에 대해 자신감들이 있네요 ㅎㅎ
그 오래되었다는 프리우스 보면 배터리나 하브 시스템이 아예 고장이 났으면 났지 수명 저하로 문제되는 일은 별로 없더라구요
요즘 전기차에 대한 불만은 가격이나 충전소 문제가 주된 불만이고, 하브 중에서도 일반 하브 (기름 넣고 배터리는 보조 역할만)는 별 불만이 없죠. 그랜저 하브가 얼마나 많이 팔렸는지 보시면...
곰곰이
말씀대로 배터리 문제가 잘 생기지 않는다는 이야기가 많네요.
충전시간이나 충전소 생각하면 당분간은 하이브리드가 답인 것 같습니다.
다시갑시다
설계단계부터 배터리 성능저하를 고려해서 배터리를 오버스펙으로 넣어주고 최고사용량은 언더스펙으로 돌리게 제한을 걸어두는게 일반적입니다.

기술문제만 보았을때 배터리가 제일 큰문제인건 맞으나, 이번세대 배터리로 현재 운전패턴은 큰문제 없이 소화가 가능하다고 보시면됩니다.
곰곰이
네 그럼 확실히 더 오래 쓸 수 있겠네요.
막 10년, 20만km 보증 이야기가 잔뜩 있는 걸 보면 3년 정도 된 중고 하이브리드카를 사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일단 리튬폴리머 배터리는 완전방전시에 셀에 악영향을 주는 특징이 있어서 적정선을 유지하는 것이 수명에 도움이 됩니다.
보통 그 선이 30~80% 정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인데 폰은 배터리 용량이 작아서 하루에 그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반면에 전기차의 경우에는 하루에 그 정도를 모두 소모하는 것이 흔하지 않고 또한 설계단계에서 그것을 방지합니다.
그래서 보통 전기차는 적정선의 충전량을 유지하며 폰에 비해서 월등히 긴 수명을 갖게 됩니다.
실례로 핀란드의 한 테슬라 모델S 택시 기사의 경우에는 40만 km의 주행... 더 보기
일단 리튬폴리머 배터리는 완전방전시에 셀에 악영향을 주는 특징이 있어서 적정선을 유지하는 것이 수명에 도움이 됩니다.
보통 그 선이 30~80% 정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인데 폰은 배터리 용량이 작아서 하루에 그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반면에 전기차의 경우에는 하루에 그 정도를 모두 소모하는 것이 흔하지 않고 또한 설계단계에서 그것을 방지합니다.
그래서 보통 전기차는 적정선의 충전량을 유지하며 폰에 비해서 월등히 긴 수명을 갖게 됩니다.
실례로 핀란드의 한 테슬라 모델S 택시 기사의 경우에는 40만 km의 주행 후에도 배터리의 효율 감소는 7.5%에 불과했습니다.
따라서 배터리에 문제가 생기는 것보다는 다른 곳에 문제가 생겨서 차량을 수리하거나 교체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물론 완속충전이 아니라 급속충전만을 하며 10~100%대로 강제로 유지하며 충전할 수도 있습니다만 그 수명이 일반적인 운전자의 주행거리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1
곰곰이
상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점점 배터리 걱정은 할 필요가 없다는 쪽으로 정리가 되네요 ㅎㅎ
이제 기름 넣듯이 빨리 충전되는 기술만 나오면 완벽할 것 같습니다.
그렇죠ㅎㅎ
그런데 그 정도의 고속충전은 항상 폭발의 위험성이 있어서 쉽게 상용화될지 의문입니다.
제일 이상적인 것은 완속충전기를 많은 주거에 보급해서 취침시간대에 매일 조금씩 충전하는 거라고 봅니다.
문제는 아파트가 많은 국내 환경상 쉽지 않은 일이라는 것입니다.
작게는 주차공간 문제나 충전기 숫자 문제부터 크게는 노후 아파트의 전력시설이 다수의 충전을 버틸 수 있는가도 의문입니다.
그래서 저는 전기차의 대규모 도입은 아직 시기상조라고 생각합니다.
엔진의 다운사이징, 마일드하이브리드 같은 단계적인 변화를 통해서 접근하는 것이 현실적이라고 봅니다.
2
제가 차에 취미에 있어 제 개인블로그에 이런 내용 자세히 올려둔게 있는데, 블로그 주소 첨부 못하는게 안타깝네요.

"간단히 말해서 그냥 쓰셔도 밧데리는 폐차하거나 차량기변하실때까지 충분히 씁니다."
곰곰이
항상 궁금했었는데 오늘 질문하기 잘 했네요
이제 배터리 걱정은 그만 해도 될 것 같습니다 ㅎㅎ
헐. 다들 잘못 알고 계시네요. 프리우스 배터리 문제 많습니다.

정확히는 한국에 파는 일제 하이브리드차는 죄다 Ni-MH 배터리 씁니다. 이건 수명이 한정적이예요. 보통 10~15만km 타면 수명 끝납니다. 이 기간 지나면 보통은 교환하구요.

수명문제에서 비교적 여유있는게 리튬이온폴리머 배터리인데, 아이오닉 등에 들어가는겁니다.

토요타나 렉서스 혼다는 한국 제외 국가는 리튬이온폴리머를 쓰고, 한국에만 니켈수소(Ni-MH) 배터리를 씁니다. 한국은 호구니까요. 한국 사람은 그래도 좋다고 사니까요. 니켈수소 공장 ... 더 보기
헐. 다들 잘못 알고 계시네요. 프리우스 배터리 문제 많습니다.

정확히는 한국에 파는 일제 하이브리드차는 죄다 Ni-MH 배터리 씁니다. 이건 수명이 한정적이예요. 보통 10~15만km 타면 수명 끝납니다. 이 기간 지나면 보통은 교환하구요.

수명문제에서 비교적 여유있는게 리튬이온폴리머 배터리인데, 아이오닉 등에 들어가는겁니다.

토요타나 렉서스 혼다는 한국 제외 국가는 리튬이온폴리머를 쓰고, 한국에만 니켈수소(Ni-MH) 배터리를 씁니다. 한국은 호구니까요. 한국 사람은 그래도 좋다고 사니까요. 니켈수소 공장 폐쇄하는데 한국은 재고처리국가라 보시면 됩니다.

여러분이 주변에서 하이브리드 배터리 문제있다는 소식을 접하지 못하신건 주변에 하이브리드 차를 오랫동안 쓴 사람이 그만큼 적기 때문입니다.

한국에서 일본차 하이브리드 쓰는건... 외국보다 비싼 돈 내고 재고처리용 차 사는거고요.

하이브리드 배터리 당연히 수명 있습니다.
주변에서 못 봤다고 수명이 무제한인건 절대 아니예요. 당장 프리우스 동호회만 가도 10만km 타면 배터리 나갈까 중고로 팔 고민하는 사람들 널렸는데.
곰곰이
ㅠㅠ 그렇군요
그럼 수명이 다 되어 교환하는 비용은 어느정도나 하나요? 무상교환조건에 해당되지 않을때요.
역시 아직은 많이 보급되지 않아서 문제가 잘 보이지 않는거군요 하브카 카페에 좀 들어가봐야겠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프리우스 기준 300 초중반 잡아야 합니다. 당연히 무상보증 아니고요.
렉서스는 돈 더 듭니다.

한국에서 자기 돈으로 일본차 사는건 말랑카우 확률이 매우 높아요. 한국에 들어오는건 순 재고처리용 물량만 들어와서. 가격도 비싸고, 보험료도 비싸고, 수리비도 비싸고, 보증도 덜 되고.

국산차 & 하이브리드가 돈 아끼는덴 최곱니다.
심지어 아이오닉은 프리우스(리튬이온폴리머 버전)보다 실연비도 잘 나와요. 배터리도 리튬이온폴리머고요.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593 과학커패시터(축전기)의 충방전 그래프 시정수 질문 2 보리건빵 18/10/05 8242 0
5547 과학iPod Mini가 안 켜져요. 2 하얀 18/09/30 4433 0
5527 과학전기/하이브리드차량 배터리 수명/성능 질문입니다. 19 곰곰이 18/09/27 10800 0
5464 과학소맥의 적정비율은? 31 지금여기 18/09/16 5855 0
5281 과학올 겨울은 많이 추울까요? 3 무적의청솔모 18/08/18 3364 0
5232 과학고도측정기 추천 부탁드립니다. 8 메존일각 18/08/10 3206 0
5223 과학수경재배 관련해서 질문 드립니다 8 보리건빵 18/08/09 4553 0
5028 과학전자줄자 저가형 써보신분? 2 별빛 18/07/12 3279 0
4976 과학. 1 [익명] 18/07/05 2530 0
4836 과학진화 관련 질문입니다. 3 구밀복검 18/06/15 4347 0
4779 과학바다의 소금과 관련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4 초신성 18/06/08 4590 0
4744 과학"탄산나트륨+과탄산나트륨"의 효과? 1 몽유도원 18/06/03 4551 0
4641 과학에어컨 실외기 관련된 질문입니다. 13 [익명] 18/05/16 2876 0
4637 과학적외선이 카메라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서.. 8 Uboy 18/05/16 4078 0
4074 과학차를 사야 합니다 8 별빛 18/01/28 3189 0
4046 과학수학문제 하나 질문드려도 될까요? 12 세상의빛 18/01/22 4038 0
3708 과학감자튀김과 감자볶음의 차이가 뭔가요??? 17 사나남편 17/11/18 4683 0
3434 과학물리1 질문입니다. 11 구름비누 17/09/27 6429 0
3139 과학구연산 물에 타는게 흡열반응인가요? 5 레지엔 17/08/01 5200 0
3109 과학접착제 아시는 분...... 5 별빛 17/07/26 3889 0
3098 과학덩케르크에 나온 바다 거품 뭔가요? (스포아님) 2 아재 17/07/24 9601 0
3052 과학원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43 조홍 17/07/14 5230 0
3034 과학일반화학 문제입니다. 15 OshiN 17/07/11 4389 0
3027 과학수박 모자이크 바이러스 궁금한게 있습니다 7 별빛 17/07/08 5971 0
2980 과학물리 문제 질문입니다. 12 구름비누 17/06/29 6436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