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21/01/13 21:09:37
Name   leiru
Subject   건설사는 무슨 일을 하는가?
0.
https://redtea.kr/pb/pb.php?id=qna&no=10823#98342
답변관련 글입니다

1.
건설업은 생활에 아주 밀접하지만
관여하는 사람이 너무 너무 너무 너무 많기때문에
건설업이라고 퉁치면 누가 무슨 일을 하는지 알 수가 없으니
좀 세분화해볼까 합니다


2.
건설업의 업무파트를 크게 나누면
건물에 직접 관여하는 기술 파트가 있고
어떤 기업이나 있는 영업 인사 관리 회계파트가 있습니다


3.
건설업만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기술파트를 다시 나누면
계획, 설계, 시공, 감리, PM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아파트 사업을 예로 들어 하나하나 무슨 일을 하나 보죠


3-1.
계획파트는
우리가 무엇을 만들지 결정하는 단계입니다
예를 들자면 우리가 어떤 땅에 몇 명이 살 수 있는 아파트를 지을 것인가를 결정합니다

도시계획 용도지역 주변환경등을 고려하고
동시에 아파트로 인해 유발되는 교통처리, 교육(초품아!), 환경 소음등도 같이 계획하죠

대학 전공으로 보면 도시공학 건축 교통 환경이 관련학과에 해당합니다


3-2
설계파트는
게획파트에서 결정된 사항 천세대 아파트를 어떻게 만들지에 대해서 계획합니다

아파트로 방은 몇개로 할 것인지? 방크기는 어떻게?
도로는 어떤 구조에 어떤 포장을 할꺼고
조경공간엔 뭘 심으면 예쁘고 경제적인가? 를 고민하죠

대학전공으로 보면 토목 건축 조경 전기 통신 기계에 해당합니다

저는 요파트에서 일을 합니다


3-3
시공파트는
설계파트에서 넘겨준 설계도를 바탕으로 실제로 짓는 단계입니다

시공파트는 다시
직접 삽질(?) 하는 시공과
시공을 보조하는 공무로 나뉘게 됩니다

시공은 보통 건설업하면 상상하시는 그것 (목수 미장 포크레인기사등등)인데..
상상하시는 것 이상으로 전문화 세분화 되어 있습니다

공무는 좀 안 익숙하실덴데
오늘 어떤 사람을 몇 명 투입해서 어떤 일을 할지 지도 감독하고
인원 투입에 따른 인건비나 4대보험에 관련된 보고를 올리는 둥의
데스크워크를 하는 걸 이야기합니다

출근은 현장으로 하지만 삽질할 기회는 많지 않죠 이것도 현장 따라 케바케지만요 ㅋ

대학전공은 건축공학이 대표적인 공무를 배우는 곳이고
2~3년 전문대의 건축 토목 전기 조경 등등이 해당합니다


3-4
감리파트는
다른 말로 감독이라고 부르면 크게 틀리지 않는데요

시공파트가 설계도 대로 작업하고 있는지를 검토하고
시공파트가 설계대로 작업할 수 없는 불가피한 상황이 생긴다면
시행 설계 시공 사이에서 중재를 해주는 역활을 합니다

기술적 난이도가 가장 높고 때문에 기술사나 오랜 경력을 가진 검증된(?) 분들이 주로 하는 업무죠

약간의 인맥이나 끝내주는 국가인정자격이라면 모를까
감리파트로 바로 진입할 수 있는 전공은 없습니다
보통 계획 설계 시공에서 잔뼈 굵으신 분들이 전업하는 형태가 많죠


3-5
PM는 프로젝트 매니징의 줄임말입니다
PM파트는은 3번에서 나열된 모든 일을
어떤 순서로 어느 정도 인원과 장비를 어느 정도 돈을 써서 진행할 것인지를 결정합니다

위에서 쓴 공무에도 같은 말이 있죠?
작은 현장의 경우 공무와 PM은 분리되기 어려워서 그렇습니다 ^^;

굳이 분류를 하자면
오늘은 몇 번 기둥을 올릴꺼니까 인부가 3명이 필요하다 결정하는 게 PM
그럼 김씨 이씨 박씨를 불러야겠군 하고 결정하는 게 공무입니다

지어야하는 건축물이 복잡하고 어렵다면 (플랜트처럼)
다시 순수하게 시공만 관여하는 좁은 범위의 시공PM 과
전체 업무를 추진하는 총괄PM으로 다시 나누기도 합니다

요즘은 잘 안 보이지만 CONTAXND님이 플랜트시공PM이시죠


3-6
이런 모든 행위는 물론 기술자들이 각종 법령 기준등에 준해서 계획합니다만
법이나 기준은 그렇게 엄격(?)하지 않습니다
1점과 10점이라는 상하한선만 결정해두고 그 안에선 마음대로 해라죠

그래서 7점짜리 계획을 만들면
그 계획이 법령과 기준에 합당한지?
해당 지역과 주변환경에 영향이 없는지?
계획이 좋다면 계획대로 제대로 공사하고 있는지를

검토 관리 감독해야하는 건 관입니다

설정된 계획에 맞춰
적합한 행정서류를 집어 넣고
감독관과 협의를 해서 인허가를 받고
인허가 받은 내용과 다른 계획이 생겼을 때 변경을 하고
모든 건설사업이 끝났을 때 준공검사를 받아 사용허가를 받는 것

이게 건설행정입니다


건설행정은 누가 맡아서 하는 경우도 있지만
보통 각각 기술자들이 자기파트를 알아서 담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3-6-2
그럼 관에서 관리 감독을 해야되는데 왜 감리가 있느냐? 라고 궁금하실 수 있는데
관에서 일하는 감독관들은 전문성이 떨어지는 일반인들이라 그렇습니다
감리라는 전문가들의 도움을 받는 거죠


4
이제 첫 질문으로 돌아가서

신탁같은 금융회사들은 부동산PF를 설정할 때
사업의 종류, 진행상황, 소요시간, 각종 걸림돌등을 파악해서 적절한 대출규모+이자를 결정해야합니다

예를 들자면
저 땅에 아파트를 짓는다고?
땅을 담보로 돈을 빌리고 싶다고?
사업은 어떤 단계에 와 있지?
그 단계면 대충 몇년정도 소요시간이 걸릴껀데
저 현장은 현장이 외져서 공사가 힘드니까 몇 년정도 더 걸릴꺼야
그러니까 이정도 이율이면 어떨까? 를 고민하고 제시해야합니다

그래서 이런 건설업무에 능숙한 건설관련 기술자가 필요하고

관련 기술자중에서도 감리와 PM이
신탁에서 원하는 인재(?)와 비슷한 관점으로 업을 하는 만큼 업무연관성이 높은 편에 속합니다

물론
감리 PM은 건물을 짓는 게 목적이고
신탁은 건설과정에서 발생하는 금융비용을 계산하는 게 목적이니
똑같다고 할 순 없겠지만요 ^^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1-01-27 10:30)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6
  • 알기쉬운(이건 쉬운 절명이다.. 쉬운거다..세뇌하고 있음) 설명 감사합니다.
이 게시판에 등록된 leiru님의 최근 게시물


lonely INTJ
상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각 직무에 대해 이해가 한단계 깊어진것 같읍니다 ㅎㅎ
도움이 되셨다면 다행입니다

대학생이시라면 나중에 계획 설계 시공 파트중에 하나를 골라 취업하게 되실덴데

업을 시작하기 전에 내가 무슨 일을 하게 되는가? 내가 무슨 일을 잘하는가? 를 파악하는 게 성공의 열쇠죠 ^^
건설사가 해외 쪽으로 눈을 돌리면 (국내 기준 삼성물산&엔지니어링 / 현대건설&엔지니어링 / 대림산업 / SK건설 / GS건설)

보통 발전소 쪽이 많읍니다.

중공업들이 하던것을 건설사쪽에서 하려고 덤벼들다보니;;

EPC 로 참여하는게 되게 많더라고요.

중공업이 EPC일때 제가 받아본 일들과
건설사가 EPC일때 받아본 일들을 비교해보면

중공업에 계신분들이 기존 레퍼런스나 경험이 많아서 그런지 말이 잘 통하는 편;
건설사분들은 처음 하는 일인것 같은 느낌을 많이 받았읍니다.

근데 느낀건 ... 더 보기
건설사가 해외 쪽으로 눈을 돌리면 (국내 기준 삼성물산&엔지니어링 / 현대건설&엔지니어링 / 대림산업 / SK건설 / GS건설)

보통 발전소 쪽이 많읍니다.

중공업들이 하던것을 건설사쪽에서 하려고 덤벼들다보니;;

EPC 로 참여하는게 되게 많더라고요.

중공업이 EPC일때 제가 받아본 일들과
건설사가 EPC일때 받아본 일들을 비교해보면

중공업에 계신분들이 기존 레퍼런스나 경험이 많아서 그런지 말이 잘 통하는 편;
건설사분들은 처음 하는 일인것 같은 느낌을 많이 받았읍니다.

근데 느낀건 뛰어난 인재분들이라 그런지 일을 하면 할수록
'아... 이분들은 괜히 이런 머기업에 들어간게 아니구나..' 라는걸 뼈저리게 느꼈읍니다 ㅋㅋ
저도 발전소 건설하는데 bop가 너무 많아서 힘드네용
epc도 설비를 한사람당 3~4개씩 받아서 하더라구요
저는 나중에 소방감리 하려고
소방기술사 준비중이네요.
특급감리들은 아는것도 많아야하지만
권한이 정말 막강한것 같습니다
아직은 기술사 아니면 접근못하는거같구요
감리 감독의 특성상

권한은 막강한데
권한을 수행할 권력이 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아무래도 이 자본주의 사회에서 권력은 money님이 주시는 건데
사업주가 직접 감리를 지정해서 돈까지 주는 현 시스템에선
사업주가 이야기하면 꺠갱할 수 밖에 없거든요 ㅋ
감리의 검토를 받는 입장에서는
소방감리랑 소방서가 안된다고하면
답이 없더라구요.
소방감리가 법을 더 잘알기도 하고
법이나 기준이 명백하게 NO 혹은 YES인 부분이 있고 그런 게 아닌 회색부분이 있지요

이 회색부분을 어떻게 컨트롤 하느냐가
전체 사업에서 가장 고난도고 수익을 좌우하는 것이라 생각하는데
요 부분에서 전문가의 입장보단 쩐주의 입장이 우선되기 쉽다는 거죠 ^^


법에서 안된다고 하는 걸 지르는 건 답이 없습니다요 ~_~;
소방 안전 분야는 갈수록 더 명확해지고 지시적으로 바뀌는듯 하요
법안이 세세하고 꼼꼼해질수록 장단이 있겠습니다만은
전 썩 내키지 않는 편입니다

전 최소한의 기준만 주고
그 안에서 자율성을 보장하고 책임 역시 보장시키는(?) 형식을 더 좋아하거든요

법을 꼼꼼하게 만들기 전에
감리 감독에 쩐주와 민원의 영향을 줄이고
권한을 늘림과동시에 책임을 무겁게 하는 방향이 제 취향이죠
세인트
다 좋은데 회사 사무실 같이 쓰는 건물에 건설사가 입주해 있어서 (층수는 다릅니다)
걸핏하면 시위하시는 분들이 건물 앞에서 시위를 하십니다 ㅠㅠ 예전 건물 사무실도 그랬는데 건설사랑 같은 건물 쓰면 자주 겪는 것 같아요 ㅠㅠ 당사자분들은 오죽하시겠냐만 ㅠㅠ
이해 관계가 넓다는 건

싸울 일이 많다는 이야기기도 하죠 ^^;
1
피아니시모
일하던 곳에서 안전관련 업무를 할 때 가장 힘든것중 하나가 감리이사분들 강림할떄..(..)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57 꿀팁/강좌3. 다양한 사람과 다양한 감정 36 흑마법사 25/04/08 1017 19
1456 체육/스포츠90년대 연세대 농구 선수들이 회고한 그 시절 이야기. 17 joel 25/04/11 1234 8
1455 기타계엄 선포 당일, 아들의 이야기 6 호미밭의파스꾼 25/04/04 1338 38
1454 꿀팁/강좌2. 인스타툰을 위한 초보적인 기초를 해보자! 12 흑마법사 25/04/02 780 17
1453 기타만우절 이벤트 회고 - #1. 왜 했나, 왜 그런걸 했나 82 토비 25/04/02 1740 43
1452 기타장애학 시리즈 (6) - 청력에 더해 시력까지라고? 1 소요 25/03/30 603 5
1451 기타[서평] 행복에 걸려 비틀거리다 - 대니얼 길버트, 2006 1 化神 25/03/24 674 10
1450 여행그간 다녀본 리조트 간단 정리 : 푸켓, 나트랑, 안탈리아 9 당근매니아 25/03/21 1202 23
1449 꿀팁/강좌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4. 재질과 가공 (완) 10 Beemo 25/03/17 752 11
1448 기타남의 인생 멋대로 판단하는 이야기 11 바닷가의 제로스 25/03/13 1972 51
1447 꿀팁/강좌1. 만화란 뭘까? 인스타툰은 어떻게 시작해야할까? 11 흑마법사 25/03/12 1150 26
1446 일상/생각첫 마라톤 풀코스 도전을 일주일 앞두고 24 GogoGo 25/03/09 1147 24
1445 일상/생각포스트-트라우마와 사회기능성과 흙수저-학대가정 탈출 로직 6 골든햄스 25/03/06 1080 21
1444 정치/사회 2월 28일, 미국 우크라이나 정상회담 파토와 내용 정리. 11 코리몬테아스 25/03/01 1979 29
1443 문화/예술2025 걸그룹 1/6 18 헬리제의우울 25/03/03 1129 16
1442 정치/사회목요일 대학살 - 믿을 수 없이 부패한 트럼프 16 코리몬테아스 25/02/19 2142 24
1441 정치/사회화교는 상속세를 내지 않는다는 말 18 당근매니아 25/02/11 3450 17
1440 정치/사회무엇이 한국을 분열시킬 수 있는가? 5 meson 25/02/09 1343 7
1439 기타애착을 부탁해 - 커플을 위한 보론 (2) 5 소요 25/02/09 880 7
1438 기타애착을 부탁해 - 커플을 위한 보론 (1) 소요 25/02/07 1143 11
1437 IT/컴퓨터LLM에 대한 두서없는 잡썰 (3) 23 덜커덩 25/02/05 1533 24
1436 일상/생각여행을 나서면 집에 가고 싶다. 4 풀잎 25/01/30 1208 10
1435 꿀팁/강좌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3. 인클로저 설계 Beemo 25/01/29 1240 4
1434 체육/스포츠해리 케인의 무관에 대하여. 12 joel 25/01/27 1392 12
1433 체육/스포츠볼링 이야기 20 거소 25/01/19 1125 5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