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6/06/14 18:05:16
Name   매일이수수께끼상자
Subject   겨자와 아빠
남들은 겨자를 먹으면 코가 얼얼해진다는데 난 뒤통수가 저리기 시작한다. 나도 모르게 손이 뒤통수로 가서 어루만질 정도의 저림이면 허리도 절로 굽는다. 입에서는 아이고 하는 작은 곡소리도 나온다. 그리고 거짓말 같이 멀쩡해지면 난 바보 같이 다시 겨자를 집는다. 고통의 반복인지 맛의 추구인지, 어리석음의 향연인지 쾌락의 누림인지, 정할 수가 없다.

아빠의 뒷모습에서는 늘 겨자 향이 풍긴다. 8년 만에 귀국한 아들을 제일 먼저 할머니 산소로 데려가던 아빠가, 길어진 무덤가 풀을 막대기로 휘휘 쓸어내던 모습에서 나는 뒤통수가 저리는 걸 느꼈다. 아빠는 인사를 하라거나 풀이 길어졌다고 혼잣말을 하지도 않았다. 그냥 그렇게 아들의 반대편으로 몸을 돌리고 고개를 숙인 채 하릴없이 풀숲만 저어댔다. 부산 여름의 더위 말고는 끈적임이나 질척거림은 전혀 없는 묘한 광경이었다.

언제부턴가 아빠를 만나려면 집을 나서야 했다. 안방에 없는 아빠를 시장 골목의 싸구려 한식 뷔페 식당, 큰 길가의 선지해장국집, 가끔 값이 괜찮은 고기집에서 만났다. 딱히 엄마한테 비밀로 한 건 아니지만 그렇다고 아빠 만나러 간다고 광고할 것도 없었다. 아들이 여느 부모님 안방 드나들듯 슬쩍 대문을 나갔다 비슷하게 슬쩍 들어왔다. 엄마는 눈치로 알고 있었다. 괜히 미안했다. 방이동 식당 곳곳에서 아빠와 헤어질 때, 괜히 엄마가 내 시선을 피할 때 난 겨자향을 맡을 수 있었다.

엄마가 결국 혼자서 돌아가시고, 생전 처음 상주 옷을 입었다. 아빠에게 알릴까 말까 고민을 했다. 아빠의 첫 반응이 그래서,였을 때 난 내 결정을 후회했다. 나 역시 차갑게 끊어버렸다. 그리고는 알았다. 뒤통수를 겨누는 겨자의 정체가 금방 달아올랐다가 거짓말처럼 식어버리는 아빠에 대한 증오와 사랑이었다는 걸. 전화를 끊고, 난 아빠가 너무 보고 싶었고 동시에 너무나 미웠다. 난 고아이기도 했고, 아니기도 했다.

결국 장례식 첫날 느지막이 아빠가 도착했다. 할머니 무덤가에서 고개를 돌린 채 풀만 휘휘 저은 것처럼 식장 입구에서 서성이고 있는 걸 외삼촌이 발견했다. 외삼촌은 자기 누나를 버린 사람을 매형이라고 불렀는데, 나는 ‘그래서?’라는 말이 맴돌아 아빠를 멀리서 노려보기만 했다. 그 시선을 받은 아빠는 별 말이 없었다. 인사를 하는 것도, 어딜 노려보냐고 야단을 치는 것도 아니었다. 삼촌 손에 끌려 들어온 아빠는 영정사진 쪽을 한 번 휙 돌아본 것 외에는 곧장 휴게실로 가 술만 마셨다. 겨자향이 타고 올라왔는데 좀처럼 가시지를 않았다. 엄마로 시작한 눈물은 아빠로 멎었다. 상주는 나였다.

그리고 한참을 잊고 살았다. 첫 아이 돌잔치 때 잠깐 전화를 하려 했지만 ‘그래서?’라고 할 거 같아서 그만 두었다. 아내가 하려는 것도 막았다. 그놈의 ‘그래서’가 두려워서라기보다 그때 그 ‘그래서’에 대한 앙갚음에 가까웠다. 당신에게 손녀의 첫 돌이란 걸 경험하게 해주고 싶지 않았다. 다시 집어 들기에 그 겨자는 너무나 독했고 난 그 고통을 반복하고 싶지 않았다. 어리석음의 향연에서 벗어나고 싶은 고아는, 그렇게 정했다. 그럼에도 매운 맛은 어디선가 자꾸만 솟아났다.

보다 못한 아내가 이렇게 저렇게 아빠와 연락을 주고받기 시작했다는 걸 난 한참 후에 알았다. 출근한 사이에 아빠는 집에 와서 손주들과 산책도 나가곤 했다. 며느리 준다고 두꺼운 전기장판을 짊어지고 버스와 전철을 몇 번씩이나 갈아타고 오면, 아내는 내가 볼까봐 그걸 또 끙끙 들고 장롱 뒤에 숨겨두었다. 아이들 줄 과자가 쌓여가고 아이들 먹을 고기와 각종 마른반찬이 냉동고를 채워 가는데 난 전혀 몰랐다, 큰 아이가 할아버지라는 말을 하기 시작하고, 겨울이 깊어져 전기장판을 꺼내야 할 때까지. 곳곳에 있던 아빠의 자취에 난 말을 잃었다. 뒤통수가 또 쓰라렸다.

그리고 얼마 전 처남의 결혼식, 사돈집 경사라고 아빠가 시내 중앙의 식장까지 혼자 왔다. 최근 교통사고가 나서 목발을 집고 절뚝거리는 걸음이었다. 아내는 새언니 식구들과 인사하랴 뛰어다니는 애기들 붙잡혀놓고 밥 먹이랴 정신이 없었다. 아빠와 나는 그 옛날 방이동 시장골목에서처럼 덩그러니 둘만 남겨졌다. 식장 시끌벅적한 것도 그때와 비슷했다. 뷔페식으로 밥을 먹는 것도, 마주 앉아 접시를 쳐다보던 것도 변하지 않았다. 다만 요 몇 년 아내와 아이들이 중간 역할 하던 것에 둘 다 익숙해져 있었는지, 별로 할 말이 없었다.

아빠가 일어섰다. 간다고 했다. 다리도 아픈데 택시를 타라고 권했다. 택시비 드린다는 말도 덧붙였다. 아빠는 손을 내저었다. 20년 만에 시내를 나와 봤는데 너무 변해 깜짝 놀랐다며 구경 좀 한다고 했다. 그럼 가까운 역까지 모셔다 드린다고 했더니 중요한 가족행사에서 자리 비우지 말라 하신다. 그러면서 얼른 들어가라고 절뚝 절뚝 속도를 높였다. 지하 1층 피로연장에서 1층 건물 입구까지 우린 아무 말도 없이 걸었다.

빨리 내 자리로 돌아가라는 듯 아빠는 한 걸음 앞에서 바삐 걸었고, 난 겨자향 가득한 아빠의 뒷모습을 쳐다볼 수밖에 없게 되었다. 뒤통수가 저리지만, 어리석게도, 난 건물을 나서고 신호등을 건너 복잡한 인파 속으로 사라지는 - 아니, 계속 사라지지 않는 - 아빠의 뒷모습을 계속해서 쳐다보았다. 소나기가 예고된 여름의 더위 말고는 끈적함이나 질척거림이 전혀 없는 묘한 광경이었다. 부모와 자식이 사랑한다는 것, 또 미워한다는 것, 그 알싸함이 고통인지 행복인지, 나는 정할 수가 없었다.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6-06-27 12:27)
* 관리사유 : 추천 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4
  • 알싸함 때문에 눈물이 납니다.
  • 뒷통수가 뜨끈해지는 경험, 겨자향에 취해서 울컥해지는 경험담입니다. 잘 읽었습니다. 고맙습니다.
  • 저도 겨자향이 알싸하게 올라오네요.
  • 맵고 얼얼해서 생생한 글입니다. 밉거나, 사랑하거나. 둘 중 하나였으면 덜 매웠을텐데 말입니다.
  • 저도 모르게 울컥하네요. 글 감사합니다.


레이드
쉬이 이야기를 할 수 없었던 부자간의 이야기를, 담담하게 뜨끈하게 이야기해주셔셔 정말 감사합니다. 잘 읽었습니다.
기쁨평안
아아...질긴 가족이라는 인연...
난커피가더좋아
하아...이분 글은 정말!
와..너무 감사하게 읽었습니다.
아빠랑 못보고 살아서 덩달아 기분이 눅눅해져 버렸어요.
글이 무척 아름다워서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수필 읽은 줄 알았어요.
니누얼
저도 엄마랑 우리 버리고 간 아빠랑 십년간 연락하고 지내다가 작년부터 연락을 끊었어요.
다만 저는 엄마, 동생, 신랑 모두 아빠랑 연락을 하고 저만 연락을 끊었답니다.

사람은 쉽게 변하지 않는데, 또 다른 여자랑 그 집 아들이랑 알콩달콩(인지 아닌지는 모르지만) 살고 있는데
뭐가 좋다고 계속 연락을 하는지 엄마랑 동생이 이해가 안갈뿐이에요. 신랑은 중간에 껴서 애매하게 연락을 하고 있지요.

저한테 아빠는 죽은 사람이고, 앞으로도 그럴 예정이에요.
이 마음이 세월을 핑계로 변하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가족관계라는 게 정말 피할 수 없는 고통의 중독 같아요. 어머님 가셨던 길이 그래도 홀가분했기를, 남은 가족들이 행복을 찾기를 빕니다.
한달음에 읽고 나니 겨자를 먹은 것처럼 콧등이 찡하네요.
회사에서별 생각 없이 눌렀다가, 정신이 아득해질 정도의 필력에 와-, 와아- 감탄만 하고 갑니다.

정말 잘 읽었습니다. 스크랩도 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57 꿀팁/강좌3. 다양한 사람과 다양한 감정 36 흑마법사 25/04/08 1017 19
1456 체육/스포츠90년대 연세대 농구 선수들이 회고한 그 시절 이야기. 17 joel 25/04/11 1234 8
1455 기타계엄 선포 당일, 아들의 이야기 6 호미밭의파스꾼 25/04/04 1339 38
1454 꿀팁/강좌2. 인스타툰을 위한 초보적인 기초를 해보자! 12 흑마법사 25/04/02 780 17
1453 기타만우절 이벤트 회고 - #1. 왜 했나, 왜 그런걸 했나 82 토비 25/04/02 1741 43
1452 기타장애학 시리즈 (6) - 청력에 더해 시력까지라고? 1 소요 25/03/30 603 5
1451 기타[서평] 행복에 걸려 비틀거리다 - 대니얼 길버트, 2006 1 化神 25/03/24 674 10
1450 여행그간 다녀본 리조트 간단 정리 : 푸켓, 나트랑, 안탈리아 9 당근매니아 25/03/21 1202 23
1449 꿀팁/강좌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4. 재질과 가공 (완) 10 Beemo 25/03/17 753 11
1448 기타남의 인생 멋대로 판단하는 이야기 11 바닷가의 제로스 25/03/13 1972 51
1447 꿀팁/강좌1. 만화란 뭘까? 인스타툰은 어떻게 시작해야할까? 11 흑마법사 25/03/12 1150 26
1446 일상/생각첫 마라톤 풀코스 도전을 일주일 앞두고 24 GogoGo 25/03/09 1147 24
1445 일상/생각포스트-트라우마와 사회기능성과 흙수저-학대가정 탈출 로직 6 골든햄스 25/03/06 1080 21
1444 정치/사회 2월 28일, 미국 우크라이나 정상회담 파토와 내용 정리. 11 코리몬테아스 25/03/01 1979 29
1443 문화/예술2025 걸그룹 1/6 18 헬리제의우울 25/03/03 1130 16
1442 정치/사회목요일 대학살 - 믿을 수 없이 부패한 트럼프 16 코리몬테아스 25/02/19 2142 24
1441 정치/사회화교는 상속세를 내지 않는다는 말 18 당근매니아 25/02/11 3450 17
1440 정치/사회무엇이 한국을 분열시킬 수 있는가? 5 meson 25/02/09 1344 7
1439 기타애착을 부탁해 - 커플을 위한 보론 (2) 5 소요 25/02/09 880 7
1438 기타애착을 부탁해 - 커플을 위한 보론 (1) 소요 25/02/07 1143 11
1437 IT/컴퓨터LLM에 대한 두서없는 잡썰 (3) 23 덜커덩 25/02/05 1533 24
1436 일상/생각여행을 나서면 집에 가고 싶다. 4 풀잎 25/01/30 1208 10
1435 꿀팁/강좌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3. 인클로저 설계 Beemo 25/01/29 1240 4
1434 체육/스포츠해리 케인의 무관에 대하여. 12 joel 25/01/27 1392 12
1433 체육/스포츠볼링 이야기 20 거소 25/01/19 1125 5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