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7/08/16 17:33:14
Name   소맥술사
Subject   LTV-DTI 규제 강화는 현 여당에 유리한 정치지형을 만드나?
블로그에도 같이 올려야 하는 글이라, 편의상 평어체로 씁니다. 양해 부탁드리겠습니다. 바쁘신분들은 ( )의 글은 스킵하셔도 됩니다. 일종의 논문 소개글 입니다만, 최대한 복잡한 경제이론 설명은 빼고 썼습니다.
------------------------
최근에 페북에서 한 이코노미스트의 글이 화제가 된 적이 있다. 8.2 부동산 대책을 보며 ‘좌파정권은 없는자가 가진자로 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라는 전제로 LTV, DTI비율을 깎아 새 주택 구입을 어렵게 한 정책을 비판한 글이다.

(LTV: 주택담보대출 비율. 은행들이 주택을 담보로 대출을 해줄 때 적용하는 담보가치 대비 최대 대출가능 한도를 말한다. 즉, 집을 담보로 은행에서 돈을 빌릴 때 집의 자산가치를 얼마로 보는가의 비율을 말하며, 보통 기준시가가 아닌 시가의 일정 비율로 정한다. 예를 들어 주택담보대출비율이 60%라면 시가 2억원짜리 아파트의 경우 최대 1억2천만원까지만 대출해주는 식이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DTI: 금융부채 상환능력을 소득으로 따져서 대출한도를 정하는 계산비율을 말한다. 대출상환액이 소득의 일정 비율을 넘지 않도록 제한하기 위해 실시한다. -출처 네이버 두산백과)

정책 자체에는 찬반이 있을 수 있지만, 필자는 한 가지 의문을 품었다. “대출을 많이 못 받게 돼 집을 못 사게 되면 정말 ‘분배’를 중시하는 현 여당에 유리한 정치적 조건이 형성되는가?”라는 것이다. ‘자산의 소유 여부’가 정치적 선택, 특히 진보/보수로 일반적으로 갈려있는 대다수 민주주의 정치 지형에서 분명 하나의 변수로 작동한다는 건 직관적으로 이해되고, 이론적으로도 뒷받침이 된다. 소득수준과 자산수준에 따라 지지정당이 달라진다는 건 이미 여러 연구가 나와 있다.

(유독 한국에서는 소득수준과 정치적 선택이 통계적 유의성을 갖지 못한다. 소득수준이 높다고 해서 보수정당을 지지하는 패턴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교육수준은 상대적으로 강하게 나타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지금의 여당 지지자일 가능성이 크나, 이 역시 큰 변수로 취급될 수준은 아니다. 한 GIS 전문가는 개인적인 연구차원에서 지도와 공시지가 데이터 분석을 통해, 아파트 가격을 기준으로 서울에서 2014년에 6억원 아파트가 여야 투표를 가르는 기준이었다고 설명한 적이 있다. 즉 6억원이 넘는 아파트 소유자들은 2014년 당시 친여성향이 강했고, 6억원 이하 아파트 소유자나 무주택자는 친야성향이 강했다는 거다.)

그런데 필자가 의문을 품은 건 이게 ‘대출’하고 연결 될 때의 문제였다. 변수를 엄밀화 하고 측정가능하게 제대로 조작하기 위해서는 변수를 꼼꼼하게 따져봐야 한다. 이걸 고려 않고 국가별 주택담보대출 비율과 정당지지의 패턴변화, 불평등 지수등을 그냥 쫙 펼쳐놓고 나면 흔히 ‘내생성’이라 부르는 ‘전도된 인과관계의 문제’, ‘변수의 기능적 등가성 확보 문제’ 등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른바 이코노미스트 함정(※ 참고할 것)에 빠질 수 있다는 것.

지금 우리가 얘기하는 건 ‘자산의 소유’를 위해서 ‘빚을 얼마나 내는가’와 연결된 문제다. 즉 ‘대출의 비중’은 논리적으로 ‘자산 소유 여부’와는 정당지지패턴에 있어 반대의 방향성을 가질 가능성도 있다. 충분히 가능한 논리다. 논리에는 논리로 맞서 반박하는 것도 방법이지만, 관련 연구에서 계량적으로 이를 반박하는 게 존재한다면 그 역시 좋은 반론일 것이다. 그래서 뒤져봤다. [세상에, 연구가 있다!]

정치경제분야에서 가장 왕성한 논문저술 활동을 하는 권혁용 고려대 교수는 최근 발간한 자신의 논문모음집 <선거와 복지국가>에 “부동산과 복지국가”라는 논문도 실었다. 권 교수는 우선 앤젤이라는 경제학자의 연구결과를 가져와 ‘경제적 자산은 자기보험의 측면을 갖고 있기에, 자가 소유 주택(근로소득자가 사실상 생애에서 거의 유일하게 취득할 수 있는 자산)이 있는지에 따라 분배정책에 대한 태도가 변할 수 있음’을 지적한다. 또 케메니 등 다양한 학자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부동산을 소유한 개인은 노후에도 노령연금 대신 역모기지론 등을 활용하기에 세금을 늘려 분배를 하는 정책에 대한 선호가 낮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문제는 ‘부채’다. 가계의 재무구조상 자산과 부채는 본질적으로 다른 효과가 나타날 수 밖에 없다는 게 권 교수의 설명이다. 자산은 시장에서 가격이 결정되기 때문에 상승과 하락의 교차가 일어나는 반면, 부채는 개인과 금융기관 혹은 다른 개인과의 계약이기 때문에 개인의 소득 중 일부 혹은 자산 상승분의 일부를 상환하지 않는 이상 하락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즉, 가구의 소득이 증가하지 않고 자산 가격 또한 더 이상 상승하지 않는다면, 가계의 대차대조표상 전체이익률은 하락한다는 거다. 자산가격이 하락할 경우 가계의 순자산 자체가 감소하기도 한다. 대부분 1가구 1주택자임을 감안하면, 이러한 부채와 자산의 관계는 상당부분 설득력이 있다.
그리고 권 교수는 국제사회조사프로그램(ISSP)2009 데이터를 활용해 직접 통계분석에 나선다. 일단 글로벌 데이터부터 살펴보는데 주택담보부채가 주택자산을 초과한 집단과 아예 주택자산을 보유하지 않은 집단부터 비교해본다. 글로벌 비교 결과, 직관대로 자산을 소유했지만 부채가 많은 집단이 아예 자산을 소유하지 않은 집단보다 재분배를 선호하는 비중이 높았다.

<표 1> 재분배선호와 자산현황


통계적 지식이 조금이라도 있는 사람들은 다 알겠지만, 사실 <표 1>과 같은 교차분석표는 ‘인과관계’를 전혀 설명해주지 못한다. 다만 사고의 직관적 흐름이 맞다는 간단하고 불확실한 확인의 과정 정도에 불과하다.

그래서 권 교수는 자기가 진짜 하고 싶은 주장을 위해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세우고 인과관계 분석을 실시한다. "유권자(국민들)는 가계의 부채레버리지가 높을수록 분배정책을 선호한다"는 것이다. 종속변수는 ‘한국복지패널조사’에서 나타난 ‘재분배 정책 선호 여부’를 ‘매우 동의(5점)’부터 ‘매우 반대(1점)’까지 나타낸 문항에 대한 결과다. 설명변수(독립변수)는 부채를 자산으로 나눈 값, 즉 가계의 부채비율이다.(이 역시 응답을 토대로 함) 통제변수로는 성, 연령, 소득(가처분소득), 교육수준, 직업, 종교 등을 넣었다. 그리고 ‘순서로짓 모형’을 만들어 회귀분석을 실시한다. <표 2>는 그 결과다.

<표 2> 재분배선호도와 부채레버리지(출처: <선거와 복지국가> 중 4장 "부동산과 복지국가")


권 교수는 수도권 더미변수 추가 여부, 자산가격 변수 존재 여부등을 갖고 네 개의 모형을 만들어 동일하게 부채비율이 높을수록 재분배 선호도가 높다는 결과를 얻었다. 모든 모형에서 99% 신뢰수준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한다. 다만 자산가격 증가는 재분배태도에 부정적 효과를 가져온다는 점도 확인했다.
그는 이후 다시 글로벌 분석을 시도한다. 앞서도 언급한 바 있는 ISSP 2009 자료를 활용해 한국복지패널연구와 기능적 등가성을 가질 수 있는 문항을 찾아내 이를 종속변수로 놓고 16개 국가의 변수를 합산해 통계분석을 실시한다.(물론 한국도 포함돼 있다. 한국만을 따로 떼내어 분석하기도 했다.)
그 결과도 역시나 마찬가지였다. 보유한 순자산의 크기가 커질수록 재분배태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3 참조)

<표 3>16개국 순자산과 재분배태도(출처: 상동)


이는 어디까지나 자산소유여부와 부채비율에 따라 ‘누구에게 혹은 어느 정당에 투표했나’라는 직접적 인과관계를 밝힌 연구는 아니다. 그러나 ‘분배정책’을 기준으로 대다수 민주주의 국가에서 진보와 보수로 진영이 나눠지고, 현재의 여당이 분배정책을 더욱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정당이라는 걸 대다수 국민이 인식한다는 전제하에서 보면, 현 정부의 LTV-DTI 규제 강화(비율 하향 조정)정책은 결코 자신들에게 유리한 정책으로 볼 수는 없다는 잠정적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오히려 규제를 완화해 각 가계의 부채비율을 늘려놓을 경우, ‘부채의 부담’이 재분배 정책을 강하게 요구하도록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

※이코노미스트 함정과 사회과학 방법론

‘이코노미스트 함정’은 제가 그냥 만든 말입니다. 흔히 증권사 등에 계신 이코노미스트들이 빠르게 글로벌 트렌드나 각종 수치를 모아서 쫙 펼쳐놓고 설명할 때 빠지는 함정을 말합니다. 일단 이코노미스트들은 경제학 최소 석사이상 출신에 똑똑한 분들이기 때문에 좋은 수치를 잘 뽑아 와서 내적 일관성과 논리성이 좋은 글을 씁니다. 문제는 변화하는 시장에 맞게 재빠르게 분석을 써내야하는 그분들의 직업특성상 ‘엄말한 변수와 개념의 조작’이 이뤄지지 않는다는 겁니다. 여기에서 ‘조작’이라는 건 나쁜 뜻이 아니고 사회과학 연구에서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는 설명변수(현상의 원인이 되는)나 종속변수(현상의 결과로 나타나는) 잘 정의하고 측정가능하도록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게 사회과학에서는 생각보다 쉬운 일이 아닌데요, ‘비교의 기능적 등가성’확보 문제 때문입니다. 각 국간 수치나 통계를 가져와 분석을 할 때에는 그 같아 보이는 이름의 수치가 정치경제사회문화적 ‘맥락’에 따라 그 의미가 완전히 다를 수 있다는 걸 고려해야 합니다. 그런 맥락적 차이까지 고려해서 변수를 동등하게 놓고 설명을 해야 우리는 ‘기능적 등가성’을 확보했다고 말합니다.
몇 가지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시드니 버바와 가브리엘 알몬드 하버드대 교수가 수 십년전 ‘시민 문화’라는 걸 연구하기 위해, 시민문화의 성숙정도를 측정하는 글로벌 설문을 실시합니다. 10년간에 걸친 연구 프로젝트였고, 시민문화의 성숙도를 측정해 그것이 높을수록 민주주의가 발전한다는 주장을 하고 싶었던 건데요, 여기에서 민주주의 발전 정도를 어떻게 측정할 것이냐가 종속변수를 잘 조작해, 조작적 정의를 만드는 것과 연결됩니다. 그건 그렇다 치고, 문제는 시민문화 성숙도 측정입니다. 그 중에 이런 변수가 있습니다. 설문을 활용한 통계연구에서는 각 문항이 이론적 베이스에 따라 잘 조작돼 있는데, 그 중 “당신은 지난 한 달(정확하게 이 시기는 기억이 안 납니다만)간 공무원을 접촉한 적이 있습니까?”, “공무원을 접촉한 적이 있다면 몇 번입니까?” 라는 질문이 있었습니다. 이 질문은 ‘적극적으로 공무원을 만나 뭔가 대화를 하는 정도의 시민이라면, 정치참여도 내지 관심도가 높다’라는 가정 위에 서 있는 질문입니다. 그런데 이 질문을 우리말로 그대로 번역해서 60~70년대 한국에서 사용했다고 칩시다. 어마어마하게, 미국보다 훨씬 더 높은 정치참여율과 관심도를 보여주게 됩니다. 왜냐면 한국은 ‘과대성장국가’의 전통 속에서 이사를 하거나 뭐 어딘가 민간기업에 서류를 하나 낼 때에도 주민등록등본을 떼거나 전입신고를 하거나 해야하는 즉, ‘동사무소 공무원’을 엄청 자주 만나는 나라였기(지금도 그렇긴 하지만) 때문입니다. 그래서 저 문항을 통해 만들어지는 변수는 개인주의 전통이 강한 서구 국가(특히 미국)와 한국의 정치사회적 맥락에서는 기능적 등가성을 확보하지 못한 게 됩니다.
예를 들어, 서구 유럽 국가의 ‘LTV’는 무려 90%가 넘는다. 그게 ‘경제 정의나 복지다’ 라고 주장하기 위해서는 LTV 수치만 봐서는 안 되고 한국에서 그 대출이 갖는 의미와 서구 복지국가에서 그만큼의 대출이 갖는 의미가 다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물론 이렇게 하나하나 다 따지다보면 연구 자체가 진행이 안 됩니다. 그래서 그런 문제가 있음을 인식한 상태에서, 최대한 기능적 등가성을 확보하려고 노력하고 도저히 맞출 수 없는 부분에는 ‘이런 이런 맥락적 차이가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라고 각주 형식으로 달아 오해의 여지는 없애줘야 합니다.
제가 ‘이코노미스트 함정’이라고 하는 건, 이코노미스트 분들이 시간적 압박 속에서 바로 이런 점을 제대로 고려하지 않고 곧바로 수치를 뽑아 글로벌 트렌드 비교분석을 하는 경우를 많이 봤기 때문입니다. 아무래도 시간이 많고 사후적으로 인과관계 분석을 통해 논문을 쓰는 학계의 경제학자들은 좀 더 개념의 조작적 정의, 변수의 기능적 등가성 확보 등에 노력을 많이 기울이는 편입니다만, 경제 수치 자체가 주는 명쾌함이 주는 착각에 시간적 압박이 더해져서 많은 이코노미스트들은 이 부분을 놓치는 경우가 많다는 얘깁니다. 물론 제가 팔로우하고 좋아하는 상당수의 이코노미스트들은 그래서 ‘단정적’으로 말하지 않는 습관을 갖고 있습니다. 무조건적으로 수치 쫙 펼쳐서 하는 비교가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걸 본능적으로 혹은 의식적으로 인지하고 조심하기 때문일 겁니다. 이코노미스트들은 기본적으로 매우 논리적이고 똑똑한 분들이라 글 자체의 내적 일관성, 논리가 치밀하고 좋습니다. 그래서 독자들은 그 맥락을 파악하지 않은 채 ‘단정적’인 어법에 그대로 넘어가기가 쉽고 그래서 책임 있는 위치에 있는 분들일수록 그 ‘이코노미스트 함정’을 조심해야 한다 라는 생각입니다.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7-08-28 08:19)
* 관리사유 : 추천 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8
  • 정성글은 추천
  •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 차분히 읽어볼 만한 글입니다.


Beer Inside
이번 대책에서의 저의 입장은
'보유세는 무서워서 건드리지도 못하는 녀석들이 혀가 길구나.'
'대출없이 부동산 구입하는 사람들에게는 아무 소용이 없구나.'
'풍선효과는 별수 없구나.'

로 요약 됩니다.
소맥술사
네. 이건 찬반문제와 아무 상관없이 '이 대책으로 현 여당이 유리해졌다!'라는 글이 선풍적인 인기를 끄는 걸 보고...'엥 그럴리가?'에서 리서치 해 본것이라...명언이 하나 있죠. "어차피 부자들은 아무 상관 없다!"
Beer Inside
오히려 부자에게 더 유리하지요.
소맥술사
ㅇㅈ ㅇㅇㅈ!
보유세는 최후의 수단이고 정말 만약에 건드릴꺼면
내년 지방선거가 여당의 대승으로 끝나야 가능할껍니다.
소맥술사
아마도 그렇겠죠? 노통때 종부세 트라우마도 있을 거고...
Beer Inside
보유세는 노통때 트라우마, 부가세는 박통때 트라우마가 있죠.
소맥술사
부마항쟁이 부가항쟁이라는 얘기도...응?
Beer Inside
그 트라우마 때문에 일본은 21세기가 되어서야 소비세 인상을.....
Beer Inside
부가세인상과 보유세 도입은 폭탄돌리기입니다.

박근혜 정권도 간만 보다가 포기했고, 문재인 정권도 이렇게 간만보면
진정한 제 2의 IMF가 와야 건드릴 수 밖에 없죠.

하지만 문재인 정권이 바라는 복지국가가 되려면 두가지 세금의 인상이 필요하고 그것을 하지 않으면 박근혜의 '증세없는 복지' 시즌 2 밖에 안되죠.
일단 복지확대를 최대한 이뤄내고
그 다음에 중부담으로 간다고는 하는데...
정말이지 이건 고양이 목에 방울달기죠
삼공파일
LTV-DTI 비율을 조정한 결과로 유권자의 표심을 움직이려고 했다면 그건 정치의 신이겠죠. 다주택자에 대한 과세와 부동산 경기를 억제하는 것이 문재인 정부의 일관적인 기조고 여기에 정치적으로 해석할 여지가 다소 있는 것이겠고요. 부동산이 아니라 가계부채 측면에서 봤을 때는 다른 의도를 의심하는 게 억지가 아닐까 싶어요.
Beer Inside
그냥 이번 대책은

보유세 말고는 다 건드려 보았어.
보유세를 건드릴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기우이니 부동산 대책 세웠다고 막 팔고 그럼 안돼...

라는 것이지요.
삼공파일
새는 바가지에 셀로판테이프 붙이는 격일지라도 가계부채 증가 추세를 줄이기 위해서는 조정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결과가 어떻게 될지는 모르겠지만...
Beer Inside
그런데 그 결과가 예상대로 나타나지 않더군요.

오늘 아는 사람이 세입자에게 전화를 받았는데, '전세를 시세대로 올려줄 터이니 아파트 팔지 말아달라.'고 하더군요.

계획대로라면 갭투자를 위해 구입한 사람들이 세금때문에 집을 팔고,
세입자들이 그 집을 구입하는 스토리로 가야하는데,
세입자들이 그 집을 구입할 돈을 은행에서 빌려주지 않으니,
전세금을 올리는 쪽으로 선택하는 모양이더군요.
소맥술사
다만 그걸 갖고 단정적으로 해석해 이상한 논리를 전개하는 글이 인기를 끌기에 반론할 수 있는 논문을 찾아본 것이죠. 그 글 원문 찾아보세요. 사실 논리적으로도 비약이 많지만(삼공님이 말하는 '억지'같은), 그냥 논리로 반박하는 거보다는 계량적 검증 결과로 반박하는 게 나을 거 같아서 한 것이라...
그런 의심을 진지하게 하는 사람들이 생각보다 많아서 당황...
삼공파일
오히려 경제학적 논리를 도입해서 생각해보면, 지금 문재인 정부나 민주당 지지율은 최고치에 이르고 있는데 굳이 이런 방식으로 유권자를 확보할 유인이 거의 없죠. 반대로 자유한국당은 담배값을 내리겠다는 정책을 내놓는데 이런 거야말로 경제학적 논리로 명백하게 의도를 알 수 있는데...
소맥술사
그런건 경제학적 논리가 아니라 단순 경제논리상 그런건데...뭐 더민주랑 문통을 정치의 신 수준에 놓고 과대평가 내지 과대망상하는 건....어쩔 수 없....만물엠비설의 역버전같은..
삼공파일
티비 돌리다가 역대 정권의 취임 100일째 지지율을 그래프로 봤는데... 아직 감옥에 가지 않은 엠비야말로 정치의 신이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유리소년
보유세는 전세값 폭등 때문에 안올린게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소맥술사
음 뭐 이유야...ㅎㅎㅎ
그런데 더 문제는 내부도 있겠지만 외부요인
그중에서 중국발 리스크가 점점 커지는듯 합니다.
공산당 1당 독재를 유지하기위해 일정부분의
경제성장률을 끌고가야하는데 그부분에서
국가채무가 심각한 수준이란 얘기가 있군요
관련기사:http://v.media.daum.net/v/20170816172154513?d=y
Beer Inside
뭐 차이나 리스크야....

THADD때문에 한국은 리스크 관리를 미리 해 놓은 모양세가 되는 것 같더군요.
소맥술사
ㅋㅋㅋㅋㅋㅋㅋ 이거 말 되는...
중국상황을 낙관적으로 보시는거 같은데...
10년전 미국 서브프라임 사태때만해도
우리경제 엄청 휘청거리지 않았었나요?
그때는 중국의 중간재 수출로 버텼다는 얘기를 들었는데
이번에 차이나 쇼크가 오면 우리가 버틸만한데가 있긴한가요?
당장 외국인들 주식시장에서 손땔꺼고 환율급등에
기준금리도 올려야해서 서브프라임때보다 더할거 같은데요
소맥술사
아니 그냥 드립 받은 건데 저한테 화를 내시면.....ㅜㅜ
두분께 화를 낸게 아니었습니다.
기분 상하셨으면 죄송합니다.
다만 그 차이나 쇼크가 온다면
우리경제가 웃을상황은 아닐거 같아서
경각심을 가져보자해서 얘길한거였습니다.
다시한번 기분상하셨다면 죄송합니다.
소맥술사
아구 이게 이럴게 아닌데...하튼 뭔가 장난스러움이 느껴지셨다면 저 역시 죄송합니다.
Beer Inside
낙관적이라기 보다는 이미 쨉을 한방 맞아서
어느 정도 가드를 하고 있는 상태여서,
맞지 않은 것 보다는 나은 편이라는 것이지요.
삼성갤육
보유세 + 전세의 콤보 때문에
공급 확대 정책 외
그 어떤 정책을 쓰더라도
집값은 오르게 됩니다.

안타깝지만,
역설적으로 집값은 향후 사년간 더 오를 공산이 큽니다.
(민주당계 정권 집권시기... 죠.)
소맥술사
아시다시피 제 글은 그런 예측 등과 무관합니다...
수성펜
애시당초 민주당 정권이 집값 하락을 원하지도 않지요
호라타래
잘 읽었습니다. 개념의 조작적 정의와 기능적 등가성의 확보라니 눈에 쏙쏙 들어오네요 :) 계량적 분석을 적실한 사회적 해석/설명으로 연결하는 것은 역시 이론과 기술이 합쳐져야 하는 일인 듯해요. 소개해주신 논문 읽어보고 궁금한 것 추가로 댓글 남길게요~
소맥술사
아..넵
호라타래
논문이 워낙 깔끔하게 쓰여져 있어서 소맥님께 도움을 요청할만한 부분은 없네요. 오히려 논문에서 간결하고 명쾌하게 주장하는 '가계부채비율과 복지태도' 사이의 관계에 관해 선행 연구가 부족하다는 사실이 놀라울 정도예요. 한국복지패널을 분석했을 때 노동소득이 복지(혹은 재분배)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큰 영향도 없고, 모형 [1]에서만 유의미하다는 점도 흥미롭네요. 멜쩌-리처드 모델에서 소득을 임금/노동 소득으로만 가정하는지 아닌지는 잘 모르겠는데, 이론적 배경에서 이미 밀턴 프리드먼이 제시한 항상소득... 더 보기
논문이 워낙 깔끔하게 쓰여져 있어서 소맥님께 도움을 요청할만한 부분은 없네요. 오히려 논문에서 간결하고 명쾌하게 주장하는 '가계부채비율과 복지태도' 사이의 관계에 관해 선행 연구가 부족하다는 사실이 놀라울 정도예요. 한국복지패널을 분석했을 때 노동소득이 복지(혹은 재분배)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큰 영향도 없고, 모형 [1]에서만 유의미하다는 점도 흥미롭네요. 멜쩌-리처드 모델에서 소득을 임금/노동 소득으로만 가정하는지 아닌지는 잘 모르겠는데, 이론적 배경에서 이미 밀턴 프리드먼이 제시한 항상소득가설을 논하면서 자본소득, 그리고 자본의 크기가 주는 심리적 안정감/소득으로의 전환(가능성) 이야기를 하고 있으니 논문 저자께서 향후에 심화시키고자 하는 주제까지도 암시하신 듯해요. 제가 공부한 부르디외 사회학과도 연결될 수 있는 지점이라 재미있었어요. 좋은 논문 소개 감사합니다!
소맥술사
권선생 매력이 원래 똑 떨어지는 깔끔함이에요 ㅋㅋㅋ
마르코폴로
잘 읽었어요. 이코노미스트의 함정이라는 말이 재밌네요. 전 기자가 쓴 책을 보다 보면 비슷한 느낌을 받아요. 아무래도 순간 순간 주목하고 있는 이슈에 집중해서 글을 쓰다 보니 그런 것이 아닐까, 하는 막연한 생각만 가지고 있었죠. 그래서 기자가 집필한 책은 의도적으로 피하게 되더라고요.

예전에 소맥술사님과 이코노미스트가 쓴 부동산 관련 책에 관해 얘기한 적이 있었죠. 말씀하신 함정에 딱 들어맞는 책이 아닐까 합니다. 아, 그리고 어쩌면 사회과학 자체가 자신의 신념을 학술적으로 보충 또는 확인해 가는 과정이라는 생각도 들었어요. 많은 경우(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연구의 결과값은 귀납적이라기 보다는 연역적으로 보이더라고요. 너무 부정적인가요. 흐흐흐
소맥술사
사회과학이라는 게 연역적인 방법을 쓰더라도 결국 그 이전의 관찰이나 경험에서 연역이 도출되는 경우가 많다보니...ㅎㅎㅎ...하튼 자기 의도에 막 갖가 붙여서 과학이라고 우기기 딱 좋은 분야다 보니 그래서 더욱 방법론을 중시하게 되는 거 같습니다.
CONTAXS2
와..
와...
이런게 문과의 힘이군요.
소맥술사
음...문과의 힘이라기 보다는 통계의 힘? ㅎㅎㅎㅎ 뭐 저런 발상을 하고 가설을 짜는 건 사실 사회과학의 힘이 맞긴 맞을 겁니다. 저는 범접할수 없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40 경제주식양도소득세 정리(2022. 12. 31. 법률 제19196호로 일부개정된 소득세법 기준) 7 김비버 23/11/22 3046 8
1320 경제사업실패에서 배운 교훈, 매출 있는 곳에 비용 있다 7 김비버 23/08/12 3846 28
1270 경제인구구조 변화가 세계 경제에 미칠 6가지 영향 14 카르스 23/01/27 4533 10
1263 경제때늦은 2022년의 경제학 (+인접분야) 논문읽기 결산 9 카르스 23/01/04 3275 15
1224 경제코인·투자 손실금까지 변제해주는 게 맞냐? 25 Wolf 22/07/20 5174 23
1201 경제최근 한전 적자에 대한 해설 34 Folcwine 22/05/13 4933 10
1189 경제넷플릭스: 주주 여러분 안심하십시오. 19 코리몬테아스 22/04/21 5160 30
1162 경제게임이 청년 남성의 노동시장 참여를 줄였다? 28 카르스 22/01/20 5603 23
1161 경제인구절벽발 노동인력 부족 우려는 과장인가 32 카르스 22/01/12 6469 41
1159 경제OECD 경제전망 - 한국 (전문번역) 8 소요 22/01/06 5281 21
1142 경제최순실로 인해 불거진 ODA 문제는 해결되었는가 6 정중아 21/11/08 5074 17
1021 경제내집 마련을 위하는 초년생들을 위한 짧은 팁들 24 Leeka 20/10/21 7948 19
1010 경제주식투자, 튜토리얼부터 레이드까지 37 기아트윈스 20/09/23 8141 28
911 경제파이어족이 선물해준 세가지 생각거리 6 MANAGYST 20/01/19 6804 10
910 경제홍차넷 50000플 업적달성 전기 79 파란아게하 20/01/17 6911 72
901 경제인구가 줄어드는 것만으로 경제가 망할까? 15 MANAGYST 19/12/21 8646 18
829 경제퀀트는 어떤 일을 하고, 그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25 굴러간다 19/07/10 8085 26
815 경제바뀌지 않는 국책사업의 이면 5 쿠쿠z 19/06/11 6004 19
691 경제소득주도성장에 대한 비판적인 생각 28 Danial Plainview 18/08/30 8786 14
668 경제재보험(Re-Insurance)에 대해 간단한 설명 14 기쁨평안 18/07/25 6691 13
597 경제'식근론'에 대한 단상, 한국은 독립국이 맞는가? 25 hojai 18/02/23 9160 6
576 경제원전으로 보는 마르크스의 노동가치론 24 소맥술사 18/01/10 8756 18
519 경제외감법 개정과 감사인 지정제는 왜 해야하는가 75 CathedralWolf 17/09/26 8668 9
493 경제LTV-DTI 규제 강화는 현 여당에 유리한 정치지형을 만드나? 40 소맥술사 17/08/16 8889 18
392 경제약간만 양심을 내려 놓으면 댓가는 달콤하다. 하지만... 51 tannenbaum 17/03/20 7778 15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