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0/03/13 23:40:13 |
Name | 토끼모자를쓴펭귄 |
File #1 | 3.jpg (232.0 KB), Download : 12 |
Subject | 게임방송국 OGN이 위기에 빠진 이유 |
https://youtu.be/VujOrMG1mrg 온게임넷부터 OGN까지: 대한민국 게이머 마음의 고향 위는 관련한 김성회의 g식백과 영상입니다. OGN이 몰락한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위 영상에서 나온 이야기들을 (저의 말을 일부 붙여서) 요약해서 써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저도 크게 공감하고 있습니다. 1. OGN이 주로 다루었던 게임들을 보면, 스타크래프트1 - 이미 리그 중단 막바지에 대회 스폰서가 한동안 잡히지 않을 정도로 몰락하고 있었음. 각종 경제적 지표가 쭉쭉 빠지고 있는 상태라 지속할 수가 없는 상태였다. 스타크래프트2 - 스2 팬들에게 큰 상처를 준 여러가지 일이 있었고 이것이 OGN에 호의적인 여론을 많이 깎아먹었다. 리그오브레전드, 오버워치 - 이스포츠 대회는 본질적인 구도상 그 주도권이 방송사가 아닌 게임사에게 있는 것이고, 게임사가 리그를 자신이 직접 열기를 원했고 또 리그의 한국 중계권마저 따지 못하고 다른 방송국으로 넘겼다. 배틀그라운드 - 배그는 스타1나 롤처럼 무대를 크게 차려놓고 비장하게 임해야 하는 거라기보다는 소소하게 몇몇 인터넷 스트리머들이 좌충우돌 부딪히는 소소한 재미로 하는 건데 기성 리그처럼 진행하는 것이 긍정적인 반향이 있을 수 없었다. 이 게임은 100명 정도의 여러 사람들이 서로 치고받고 싸우는 난장판이라 임요환, 페이커 등등의 큰 스타가 탄생하기가 힘들다. 2. 명색이 이스포츠 방송국이지 사실 다루는 게임은 매우 제한적이었다. 스타1 전성기때는 주구장창 스타1 리그와 기타 파생되는 스타1 프로그램들만 틀어놨고, 롤 때는 또 롤 관련해서만 틀어놨다. 그런데 이것은 어쩔 수가 없는 것이, 다른 게임에 대해서 시도를 안해본 것이 아니다. 다만 시청률이 너무 안 나와서 손해만 보고 가망도 없어보이니 지속할 수가 없었다. 3. 아무래도 TV에 나오는 기성 방송국이다 보니 방송심의도 빡세게 신경써야 하고 인터넷 방송처럼 자신을 좀 놓고 프리~하게 할 수 없는 형편이었다. 정치적 드립이 있다고 빼고, 광고성이라고 빼고, 약한 수준이라도 욕을 했다고 빼고.. 그런데 게임 플레이는 그런 격식차린 양반들이 하는 거라기보다는 pc방에서 친구들이랑 이런저런 헛소리 해가면서 개싸움하는 맛으로 하는 게 크니 기성 방송보다는 인터넷 방송이 더 잘 맞는다. 4. 기성 방송국은 새로운 시도를 할때 규모와 퀄리티가 큼직해야 하고 자본이 많이 들어서 아무래도 몸을 움츠리게 되고 보수적으로 할수밖에 없다. 반면 1인 스트리머 방송국은 이것저것 자기가 하고 싶은 거 시도해도 소소해서 돈이 그보단 적게 들고 실패 리스크가 적으니 더 여러가지 모험을 해볼 수가 있다. OGN 방송국 스스로가 잘못을 한것도 있지만, 결국 broadcasting하는 대세가 TV보다는 유튜브인 것이고 게임방송이 여기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영역인 것이다. 그래서 OGN이 플레이플인가 뭔가 하나 만들어보려고 하다가 잘 안되어서 접었다. 여기부터는 제 개인 생각. OGN이 지금 왜 위기에 빠졌나?-보다 저는 OGN이 지금까지 버틴 것이 어떻게 가능했나?-를 말해야 한다고 생각할 정도로 OGN은 개국 당시부터 내내 생존에 대한 압박을 받고 있었습니다. 스타1 전성기에 스타1 외에도 여러 RTS 게임을 키워주려고 했지만 결국 다 안되었고, 스타1 단물이 다 빠졌을때 롤이라는 새로운 먹거리가 마침 생겨난 것이 OGN의 생명을 연장시켜 준 것이죠. 아무튼 게임대회에 대한 권리가 궁극적으로는 방송국이 아니라 게임사에 있었기 때문에 존속 자체가 불안불안했습니다. 그리고 그 게임의 사이즈가 너무 작으면 시청률이 안되고 너무 크면 게임사가 그 방송국에 얽매일 필요가 없으니 그를 잡으려고 큰 자본이 들기 마련입니다. 또 큰 대회를 열면 무대도 설치해야 하고 여러가지 준비가 필요한데 항상 자금의 압박을 세게 받고 리스크가 큰 사업이었습니다. 스1이 꽤 잘나갈 당시에도 대회 자체의 흥행을 (반진담 반농담으로) 걱정하는 이야기가 많았으니까요. 하지만 그래도 버티고 버티다가 결국 TV방송 자체가 사양길에 접어들자 이제야 무너진 것이죠. 그래도 제가 어렸을때 수많은 게이머들이 활동하는 것을 보고 울고 웃는 장을 마련해주어서 고맙게 생각합니다. 4
이 게시판에 등록된 토끼모자를쓴펭귄님의 최근 게시물
|
저는 OGN이 다양성을 추구했었나 싶은 생각입니다. 그냥 잘 되는거 하나에 몰빵하다가 그거 유행 지나거나 뺏기면 항상 위기였죠.
워3가 있었고 스타2가 있었고 철권이 있었고 카트라이더가 있었는데 다 갖다 버린게 OGN인데요.
워3는 엠겜에서 리그를 2개 돌릴 정도로 인기있는 프랜차이즈였고 스타2 역시 스타1 시절의 스타플레이어들을 활용한 스토리 짜기 좋은 환경이었는데 스타1 공공재 드립치며 스타1 고집하다 곰티비에게 넘겼고 카트라이더도 lol 몰빵하느라 스포티비에 넘기고 오버워치는 시작하자 마자 블리자드에서 자체적으로 리그 돌려... 더 보기
워3가 있었고 스타2가 있었고 철권이 있었고 카트라이더가 있었는데 다 갖다 버린게 OGN인데요.
워3는 엠겜에서 리그를 2개 돌릴 정도로 인기있는 프랜차이즈였고 스타2 역시 스타1 시절의 스타플레이어들을 활용한 스토리 짜기 좋은 환경이었는데 스타1 공공재 드립치며 스타1 고집하다 곰티비에게 넘겼고 카트라이더도 lol 몰빵하느라 스포티비에 넘기고 오버워치는 시작하자 마자 블리자드에서 자체적으로 리그 돌려... 더 보기
저는 OGN이 다양성을 추구했었나 싶은 생각입니다. 그냥 잘 되는거 하나에 몰빵하다가 그거 유행 지나거나 뺏기면 항상 위기였죠.
워3가 있었고 스타2가 있었고 철권이 있었고 카트라이더가 있었는데 다 갖다 버린게 OGN인데요.
워3는 엠겜에서 리그를 2개 돌릴 정도로 인기있는 프랜차이즈였고 스타2 역시 스타1 시절의 스타플레이어들을 활용한 스토리 짜기 좋은 환경이었는데 스타1 공공재 드립치며 스타1 고집하다 곰티비에게 넘겼고 카트라이더도 lol 몰빵하느라 스포티비에 넘기고 오버워치는 시작하자 마자 블리자드에서 자체적으로 리그 돌려서 사라지고 배그 밀어주다 망하고 나니까 그제서야 다양성 이야기 하며 철권이랑 다른 게임 몇 개 엵어서 OSL 하는 거 까지 봤는데 솔직히 스스로 궁지로 몰고간 느낌입니다.
게임만을 주제로 한 채널로 끝까지 남아서 계속해 준 것은 고마운데 제가 워3 시절 OGN에 학을 떼고 나서 별로 좋게 보질 못하겠어요.
워3가 있었고 스타2가 있었고 철권이 있었고 카트라이더가 있었는데 다 갖다 버린게 OGN인데요.
워3는 엠겜에서 리그를 2개 돌릴 정도로 인기있는 프랜차이즈였고 스타2 역시 스타1 시절의 스타플레이어들을 활용한 스토리 짜기 좋은 환경이었는데 스타1 공공재 드립치며 스타1 고집하다 곰티비에게 넘겼고 카트라이더도 lol 몰빵하느라 스포티비에 넘기고 오버워치는 시작하자 마자 블리자드에서 자체적으로 리그 돌려서 사라지고 배그 밀어주다 망하고 나니까 그제서야 다양성 이야기 하며 철권이랑 다른 게임 몇 개 엵어서 OSL 하는 거 까지 봤는데 솔직히 스스로 궁지로 몰고간 느낌입니다.
게임만을 주제로 한 채널로 끝까지 남아서 계속해 준 것은 고마운데 제가 워3 시절 OGN에 학을 떼고 나서 별로 좋게 보질 못하겠어요.
요즘 시대에 게임 방송사가 살아남으려면
1) 일단 방송사 자신이 TO로서 대회를 여는 방법이 있고 (= 컨텐츠를 만들던지)
2) 아니면 기존 리그/대회에 중계권료 일부 주고 동시송출을 생각해볼 수도 있읍니다 (= 컨텐츠를 사오던지)
온겜이 바보들만 모이지 않은 이상 둘 다 고민을 해봤을 것 같긴 합니다
특히 1)의 경우 OSL이 그 효시라고 볼 수 있겠고, 북미 방송사들에선 아직도 이 방법을 쓰고 있으며
유럽선 아예 반대로 TO들이 엄청난 방송 스탭/장비를 거느리고 있죠
하지만 주력으로 삼았던 종목들이 이제 대회 못 ... 더 보기
1) 일단 방송사 자신이 TO로서 대회를 여는 방법이 있고 (= 컨텐츠를 만들던지)
2) 아니면 기존 리그/대회에 중계권료 일부 주고 동시송출을 생각해볼 수도 있읍니다 (= 컨텐츠를 사오던지)
온겜이 바보들만 모이지 않은 이상 둘 다 고민을 해봤을 것 같긴 합니다
특히 1)의 경우 OSL이 그 효시라고 볼 수 있겠고, 북미 방송사들에선 아직도 이 방법을 쓰고 있으며
유럽선 아예 반대로 TO들이 엄청난 방송 스탭/장비를 거느리고 있죠
하지만 주력으로 삼았던 종목들이 이제 대회 못 ... 더 보기
요즘 시대에 게임 방송사가 살아남으려면
1) 일단 방송사 자신이 TO로서 대회를 여는 방법이 있고 (= 컨텐츠를 만들던지)
2) 아니면 기존 리그/대회에 중계권료 일부 주고 동시송출을 생각해볼 수도 있읍니다 (= 컨텐츠를 사오던지)
온겜이 바보들만 모이지 않은 이상 둘 다 고민을 해봤을 것 같긴 합니다
특히 1)의 경우 OSL이 그 효시라고 볼 수 있겠고, 북미 방송사들에선 아직도 이 방법을 쓰고 있으며
유럽선 아예 반대로 TO들이 엄청난 방송 스탭/장비를 거느리고 있죠
하지만 주력으로 삼았던 종목들이 이제 대회 못 열잖아요? 그러길래 왜 몰빵을 해서... 물론 한국 이스포츠 시장 파이가 큰 것도 아니고 하는 게임만 주구장창 하는 건 사실이라지만 그런 트렌드가 자리잡는데 온겜이 일조한 것도 사실이니까요. 어떤 면에선 자업자득이라고 생각합니다
대안으로 2)도 쉽지 않았을 거에요. 인기 있는 리그는 스트리밍 플랫폼들이 exclusive rights (이른바 독점중계권)을 사는 경우가 많아서 끼여들 여지가 적었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유튜브 트위치 믹서를 현질에서 이길 수는 없을 거고, 인기 없다고 판단되는 게임이나 리그는 앞서 말했듯 온겜측에서 아오안 했을 거라서...
1) 일단 방송사 자신이 TO로서 대회를 여는 방법이 있고 (= 컨텐츠를 만들던지)
2) 아니면 기존 리그/대회에 중계권료 일부 주고 동시송출을 생각해볼 수도 있읍니다 (= 컨텐츠를 사오던지)
온겜이 바보들만 모이지 않은 이상 둘 다 고민을 해봤을 것 같긴 합니다
특히 1)의 경우 OSL이 그 효시라고 볼 수 있겠고, 북미 방송사들에선 아직도 이 방법을 쓰고 있으며
유럽선 아예 반대로 TO들이 엄청난 방송 스탭/장비를 거느리고 있죠
하지만 주력으로 삼았던 종목들이 이제 대회 못 열잖아요? 그러길래 왜 몰빵을 해서... 물론 한국 이스포츠 시장 파이가 큰 것도 아니고 하는 게임만 주구장창 하는 건 사실이라지만 그런 트렌드가 자리잡는데 온겜이 일조한 것도 사실이니까요. 어떤 면에선 자업자득이라고 생각합니다
대안으로 2)도 쉽지 않았을 거에요. 인기 있는 리그는 스트리밍 플랫폼들이 exclusive rights (이른바 독점중계권)을 사는 경우가 많아서 끼여들 여지가 적었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유튜브 트위치 믹서를 현질에서 이길 수는 없을 거고, 인기 없다고 판단되는 게임이나 리그는 앞서 말했듯 온겜측에서 아오안 했을 거라서...
TV매체의 하락세로 송출자로서의 입지는 크게 하락하고 제작사로서의 입지도 그다지 확고하게 다지지 못하면서 시장 경쟁력이 급격히 감소했죠. 몰빵이 문제라지만 ogn이 이것저것 안 건들여 본 건 아니죠 돈이 안되니 손절한거지... 오히려 말기에 다른 게임 중계한답시고 lck 일정으로 라이엇이랑 갈등을 했던게 더 치명적이였죠 그냥 라이엇 요구 다 들어주고 롤에 몰빵했으면 지금보다는 더 나았을걸요?
스타1/롤 처럼 오래가는 게임들이 이레귤러적인 거고... 다른 종목들은 적당히 인기있을 때 발 담갔다가 적당히 빠져나온 게 아닌가 싶긴한데..
상용게임 한두개 중계하면서 그정도 규모 방송국 유지했던 것 자체가 기적일지도 모르겠네요. 스포츠 케이블이 일년내내 야구만 주구장창 틀어도 몇년 못 버틸 거 같은데...
상용게임 한두개 중계하면서 그정도 규모 방송국 유지했던 것 자체가 기적일지도 모르겠네요. 스포츠 케이블이 일년내내 야구만 주구장창 틀어도 몇년 못 버틸 거 같은데...
OGN 은 할만큼 했다고 봐요
개척자로서 고생한 면도 인정받아야 하고
게임방송이라는 근본적 한계점 속에서도 고군분투한 면을 인정받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모든 일을 전례가 없는 상황에서 진행하는데 모든 결정을 만족스럽게 내리라는 것도 무리죠
중간중간 팬들을 실망스럽게 한 적은 있어도 결정적인 악행같은건 없었다고 봅니다.
다양성 문제에서도 OGN은 할만큼 했다고 봐요. 모든 게임에 대한 투자를 총력으로 할수도 없는거고 한정된 지원안에서 여러 중소게임리그나 콘텐츠에 투자 할만큼은 했다고 봅니다. 시청자가 안보는데 어떻게 해요. ... 더 보기
개척자로서 고생한 면도 인정받아야 하고
게임방송이라는 근본적 한계점 속에서도 고군분투한 면을 인정받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모든 일을 전례가 없는 상황에서 진행하는데 모든 결정을 만족스럽게 내리라는 것도 무리죠
중간중간 팬들을 실망스럽게 한 적은 있어도 결정적인 악행같은건 없었다고 봅니다.
다양성 문제에서도 OGN은 할만큼 했다고 봐요. 모든 게임에 대한 투자를 총력으로 할수도 없는거고 한정된 지원안에서 여러 중소게임리그나 콘텐츠에 투자 할만큼은 했다고 봅니다. 시청자가 안보는데 어떻게 해요. ... 더 보기
OGN 은 할만큼 했다고 봐요
개척자로서 고생한 면도 인정받아야 하고
게임방송이라는 근본적 한계점 속에서도 고군분투한 면을 인정받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모든 일을 전례가 없는 상황에서 진행하는데 모든 결정을 만족스럽게 내리라는 것도 무리죠
중간중간 팬들을 실망스럽게 한 적은 있어도 결정적인 악행같은건 없었다고 봅니다.
다양성 문제에서도 OGN은 할만큼 했다고 봐요. 모든 게임에 대한 투자를 총력으로 할수도 없는거고 한정된 지원안에서 여러 중소게임리그나 콘텐츠에 투자 할만큼은 했다고 봅니다. 시청자가 안보는데 어떻게 해요. 워3 스2 오버워치 등등 굵직한 게임리그 진행에 있어 불협화음도 저는 수익을 내야 하는 이익집단이라는 고충 하에서 이해가 될만한 잡음이었다고 생각합니다.
게임사들의 이스포츠 헤게모니 장악과 게임 시청 방식이 케이블에서 인터넷 스트리밍으로 넘어가버린게 결정적인 이유지 그 시대의 흐름안에서 OGN은 할만큼 했다고 생각합니다. 뭘 더 잘한다고 해서 헤게모니를 게임 제작사로부터 가져올수도 없는거고 트위치나 유튜브 말고 자기네 플랫폼으로 게임을 시청하게 할 수도 없었다고 봅니다.
시대의 틈새시장에서 선도적 역할로 시청자들과 함께 울고 웃다가 시대의 흐름에 밀려 사라져갈 뿐이지 OGN이 자업자득으로 자멸했다는 식의 비판은 전 부당하다고 봅니다.
개척자로서 고생한 면도 인정받아야 하고
게임방송이라는 근본적 한계점 속에서도 고군분투한 면을 인정받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모든 일을 전례가 없는 상황에서 진행하는데 모든 결정을 만족스럽게 내리라는 것도 무리죠
중간중간 팬들을 실망스럽게 한 적은 있어도 결정적인 악행같은건 없었다고 봅니다.
다양성 문제에서도 OGN은 할만큼 했다고 봐요. 모든 게임에 대한 투자를 총력으로 할수도 없는거고 한정된 지원안에서 여러 중소게임리그나 콘텐츠에 투자 할만큼은 했다고 봅니다. 시청자가 안보는데 어떻게 해요. 워3 스2 오버워치 등등 굵직한 게임리그 진행에 있어 불협화음도 저는 수익을 내야 하는 이익집단이라는 고충 하에서 이해가 될만한 잡음이었다고 생각합니다.
게임사들의 이스포츠 헤게모니 장악과 게임 시청 방식이 케이블에서 인터넷 스트리밍으로 넘어가버린게 결정적인 이유지 그 시대의 흐름안에서 OGN은 할만큼 했다고 생각합니다. 뭘 더 잘한다고 해서 헤게모니를 게임 제작사로부터 가져올수도 없는거고 트위치나 유튜브 말고 자기네 플랫폼으로 게임을 시청하게 할 수도 없었다고 봅니다.
시대의 틈새시장에서 선도적 역할로 시청자들과 함께 울고 웃다가 시대의 흐름에 밀려 사라져갈 뿐이지 OGN이 자업자득으로 자멸했다는 식의 비판은 전 부당하다고 봅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