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1/04/10 23:58:51수정됨
Name   이그나티우스
Subject   군복무와 국방의 의무의 관계 (feat. 박주민)
https://youtu.be/W3NN3O6Prb8
[주민의 헌법 #11] 헌법에 국방의 의무는 누가 진다고 적혀 있을까?


내용은 간단합니다. 직접적인 병력형성의무(군대에 갈 의무)는 국방의 의무의 일부분에 불과하고, 이외에 방역, 물자생산 등 직접적인 병력형성의무에 포함되지 않는 다른 의무들도 존재하기 때문에 여성들은 국방의 의무를 다하지 않는다는 말은 틀렸다는 겁니다.

네, 판례입장을 보면 박씨 말이 맞습니다. 헌재 결정 91헌바80에 따르면 국방의 의무는 1. 병역법에 의하여 군복무에 임하는 등의 직접적인 병력형성의무 2. 비상대비자원관리법 등에 의한 간접적인 병력형성의무 3. 병력형성이후 군작전명력에 복종하고 협력하여야 할 의무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것으로 보아야 합니다. 이런 판례입장을 보면 박씨의 말 자체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그런데 박씨의 말은 2가지 맹점을 갖고 있습니다.

첫번째로, 모든 국민들이 헌법학 지식이 있는 것도 아닌 이상 많은 일반 국민들은 직접적인 병력형성의무와 국방의 의무를 그렇게까지 엄격하게 구별해서 생각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바꿔서 말하면 남성들이 불만을 갖는 부분을 헌법학적으로 정확히 기술한다면

"여성들은 왜 직접적인 병력형성의무를 다하지 않는가?"

로 받아들이는 것이 맞습니다. 따라서 박씨가 국민들과 제대로 소통을 하고 싶다면 남성들이 제기하는 질문의 내심의 의사("왜 여자는 군대에 가지 않는가?")를 살펴 명확하게 대답을 해야지, 법률 전문가가 아닌 민간인이 헌법학적 개념을 혼동을 지적하는 데 그치는 것이 타당한 접근방법인지 의문입니다.

(만약 제가 박씨 입장이라면 여성징병을 규정하지 않은 병역법이 합헌이라고 판시한 2006헌마328 결정을 가지고 이야기를 했을겁니다.)

두번째로, 직접적인 병력형성의무가 아닌 국방의 의무(방역, 물자생산)는 사실상 없거나 있더라도 대단히 경미한 것이라는 점입니다. 박씨가 말하는 군복무 외의 국방의 의무라는 것은 전시체제나 비상상황 하에서 민간인이 군의 작전수행을 돕는 것에 가깝습니다. 예를 들어 2차대전의 전시체제와 같이 민간인이 징집되어 군의 물자생산 및 운반을 돕거나, 간첩신고나 방역협조, 등화관제 등 군작전에 협력하는 등의 일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이런 의무들은 군대에 가지 않는 민간인들이 현재 실질적으로 수행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고, 혹여 특수한 상황에서 수행한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그 권익의 제한 면에서 실제 군복무에 비할 수 있는 수준의 것이 아닙니다.

쟁점이 되는 부분이 국방의 의무 중 직접적인 병력형성의무를 제외한 간접적인 병력형성의무 및 작전협력의무가 직접적인 병력형성의무에 비해 너무나도 경미하거나 사실상 없는 것과 다름없다는 것인데, 만약 국민들과 진지하게 소통하고자 했다면 이 불균형이 왜 발생했으며, 왜 현재의 법체제가 정당화되는지에 대해서 자신의 의견을 피력해야지(혹은 자신은 이러저러한 입법상 대안을 추진중이라고 한다거나) 헌법학 지식을 제시하는 데 그치는 것이 과연 맞는 일인지 모르겠습니다. 그것도 법대 교수도 아닌 국민의 대표인 국회의원이.

박씨와 같은 이야기를 하는 것을 들으면 마음이 착잡합니다. 물론 여자는 왜 군대 안가냐? 그 이야기를 이 자리에서 하려는 것은 아닙니다. 제가 착잡한 부분은 변호사 출신 국회의원이 병역문제에 대한 불만을 갖고 있는 국민들의 마음을 이해하고 건설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헌법학적 지식을 전달하며 이러이러한 점을 당신들이 잘 모르고 있다고 지적하는 데 그치고 있다는 부분입니다. 게다가 막 당선된 초선의원도 아닌 언론지상에 자주 이름을 올리는 여당의 중진 의원이 이런 이야기를 하는 것을 보니 더욱 절망스럽습니다.



19
  • 말도 안되는 소리에 대한 정성스러운 반박 감사합니다.


말장난이죠 뭐
9
세상의빛
저는 법을 잘 모릅니다. 저 영상을 보며 드는 의문은 이렇습니다. 병역기피자가 우리나라에서 일하며 세금내면 병역을 제외한 국방의 의무는 다 하고 있다는 것인데, 그럼 병역의 의무를 수행할 당위성이 약해지지 않을까요? 병역의 의무 따위 하지 않더라도 국방에 공헌할 길이 있는데 왜 병역을 선택할 수 없게 만든 것인지 얘기해야죠. 실상은 허울 뿐인 국방의 의무고 병역의 의무 외의 다른 것을 분명하게 말할 수가 없겠죠.
세상의빛
그리고 이 영상이 빡치게 만드는 이유가 뭘까 곰곰히 생각해봤습니다. [자기 하고 싶은 말만 한다] 인데 '이런 것들도 모르냐 멍청이들아' 이런 뉘앙스가 느껴집니다. 정치인이 올릴 영상이 아닙니다. 저 영상을 보는 사람들 중에는 20대 30대 남성 저 같은 40대 남성도 있습니다. 제가 봐도 열이 받는데 20~30대 분들은 더 열받지 않을까요.
16
BibGourmand
선거를 덜 져서 그렇습니다. 언제까지 저런 소리 할 수 있을지 두고보죠.
8
주식하는 제로스
금태섭 전 의원 페이스북
[<또 동문서답>]
.
박주민 의원에게 제기된 비판은, 주택임대차보호법 개정안을 발의해서 전월세상한제에 앞장 선 의원이 정작 본인은 법 통과 전 대폭 임대료를 올렸으니 적반하장 아니냐는 것이다. (신규 계약이니 엄밀히 말하면 법에 위반되지는 않지만 법의 취지에는 어긋난다는 의미) 기자들도 이런 의미의 질문을 했을 것이다.
.
그런데 박주민 의원은 자신을 향하는 질문 자체를 엉뚱하게 왜곡하고 그에 대한 답변을 한다. 이 부분이 딱 그렇다.
.
"부... 더 보기
금태섭 전 의원 페이스북
[<또 동문서답>]
.
박주민 의원에게 제기된 비판은, 주택임대차보호법 개정안을 발의해서 전월세상한제에 앞장 선 의원이 정작 본인은 법 통과 전 대폭 임대료를 올렸으니 적반하장 아니냐는 것이다. (신규 계약이니 엄밀히 말하면 법에 위반되지는 않지만 법의 취지에는 어긋난다는 의미) 기자들도 이런 의미의 질문을 했을 것이다.
.
그런데 박주민 의원은 자신을 향하는 질문 자체를 엉뚱하게 왜곡하고 그에 대한 답변을 한다. 이 부분이 딱 그렇다.
.
"부동산중개업소 사장님은 제 입장을 알고 있기에 시세보다 많이 싸게 계약하신다고 했고 저도 지금까지 그렇게 알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최근 기자분들의 문의를 받고 살펴보니 시세보다 월 20만원 정도만 낮게 계약이 체결된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주거 안정 등을 주장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보다 꼼꼼하게 챙기지 못해서 시세보다 크게 낮은 가격으로 계약을 체결하지 못한 점 죄송스럽게 생각합니다. 앞으로는 살피고 또 살펴서 이런 일이 없도록 하겠습니다."
.
전형적인 동문서답이다.
.
전후 맥락을 모르고 이 포스팅만 보면, 박주민 의원을 비판하는 사람들은 박 의원이 "시세보다 크게 낮은 가격으로 계약을 체결"했어야 한다고 주장한 것처럼 오해될 수 있다. 박 의원은 그에 대해 '시세보다 크게 낮은 가격으로 계약을 체결했어야 하는데 20만원만 낮게 체결해서 죄송하다'라는 엉뚱한 대답을 한다. 그러나 시세보다 높은지 낮은지는 논점이 아니다. 논점은, 왜 남들한테는 5% 이상 못 올리게 하고 너는 9%올렸냐, 이다. 아무도 박주민 의원에게 시세보다 크게 낮은 금액에 계약을 체결했어야 한다는 억지스러운 주장을 하지 않았다.
.
박 의원이 동문서답으로 대응을 하니까 이 포스팅에 댓글을 다는 박 의원 지지자들은 20만원 낮게 받았는데 왜 사과하느냐고 박 의원을 옹호한다. 반면 박 의원을 비판하는 사람들은 자기들이 제기한 의혹을 엉뚱하게 왜곡해놓고 사과를 하니 속이 터진다. 결국 애초의 문제는 날라가고 서로 다른 이야기를 하면서 싸우게 되는 것이다.
.
조국 장관 청문회 때도 말했지만 나는 이런 동문서답이 정말 큰 잘못이라고 생각한다. 소통을 불가능하게 만들고 진지한 비판이나 문제제기를 하는 사람의 말을 막히게 한다. 무엇보다 국민들을 속이고 모욕하는 짓이다. 이 정부 들어서 무슨 매뉴얼처럼 문제가 생기거나 잘못이 드러나면 동문서답으로 대응하는 걸 반복하는데... 시민의 한 사람인 입장에서 말한다면, 참 어디서 배운 버릇인지 모르겠다.
10
주식하는 제로스
똑같은 짓 또하고 있는거죠. 사람들이 하는 말 진의를 몰라서 그러는 것도 아닐거면서? 법대생이면 알 지식가지고 그걸 방패로 말돌려 동문서답질.

[소통을 불가능하게 만들고 진지한 비판이나 문제제기를 하는 사람의 말을 막히게 한다. 무엇보다 국민들을 속이고 모욕하는 짓이다.]
6
Brown&Cony
박주민 포함해서 현 정부에서 남성들 군복무 관해서 저런식으로 나오면 그냥 계속 지는수밖에 없죠.
박주민은 정말 대충 싸지른 강아지소리한 느낌인데, 그럼 그 국방의 의무는 본인이 원하는 방식으로 선택할수 있게는 또 못하겠죠?

아이러니하게도, 군인들의 처우는 현 정부에서 역대 최고로 좋아졌지만 저런얘기를 '니들이 잘 몰라서그러는데 내가 알려주마' 라는식으로 하면 선거 더 져야죠. 근데 페미친구 이길애들이 근혜친구밖에 없다는게 너무 열받고 슬퍼요. -_-
다음투표는 누구한테 해야할지 -_-
나코나코나
말씀하신 것처럼 질문을 자기가 얘기하기 편하게 왜곡해서 그 부분만 얘기하고 나머지는 모르는 척 해버린거죠.
근데 지금 젊은 세대는 저런 식의 화법에 되게 익숙합니다. 연예인들 사과문 가지고 드립 치는 것만 봐도 그 안에서 온갖 행간을 읽어내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걸로 넘어갈 수 있다고 안이하게 생각한 거라면, 윗분 말씀처럼 그냥 계속 질 수밖에 없습니다.
8
방사능홍차
신고 받더라도 할말 해야겠네요. 말장난하네 강아지 같이. 누군 2년 강제로 기본권 제한되어 가면서 타의의 지시와 통제 속에 살아야 하는데(또는 2년 동안 직업 등 신분이 제한되며 살아야 하는데) 국방의무를 누구나 지고 있다는 식의 소리는 현실을 애써 무시하려는 태도 같고 별로 공감도 되지 않습니다.

아 그래요. 국방의무를 진다 칩시다. 전시에서도 직접 전장에 참가하며 총칼 겨누고 피흘리는 이는 누군가요? 지금 누가 기본권 제한되어가며 잠자는 시간, 화장실 가는 시간, 욕하면서 무거운 군수품 나르고, 밥 먹는 시간 등 일상이 통제되어 가며 생활하는 이는 누군지 몰라서 혀를 놀리는지 모르겠네요. 제가 근 2 3년간 민주당 정치인과 당론을 좋게 안보는 직접적인 이유 중 하나가 저겁니다.
11
바라스비다히
역겹고 증오스러운 인간.
5
거친표현 사용에 대해 이용정지 1일 드립니다.

https://redtea.kr/?b=8&n=156
관련공지 숙지 요청드리며 유사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바랍니다.
시민들을 바보로 아나... 자기 지지자들에게나 먹힐 소리를... 말장난 정권 답네요.
직접적 병력형성의무도 공평히 해달라고 이x야.
6
절름발이이리
국방세 신설 해야지요.
1
민주당에 표는 안 줬지만 그게 민주당이 완벽하게 싫어서 그런게 아니니 사실상 표를 진짜 안 준건 아니고 심정적으로 주긴 한거니까 유권자를 너무 원망하지 말고
표를 얻지 못했어도 표를 얻었다고 생각하는게 맞습니다 라고 하는거랑 뭐가 다른얘긴지 모르겠고....
1
여친없음
뭐 맘대로 생각하라 하면 됩니다.

어짜피 불붙어서 터지고 있는 판이고. 지금의 10대는 더 칼을 갈고 있거든요.
저렇게 바보같은 생각을 하고 말로 표현하면 할수록 고마울 정도입니다.
민주당은 정말 처절하게 망할거예요.
1
정치인들이 국민을 개와 돼지 취급하는게 빤히 보이네요...

의견이 다르면 무식하고 못배운놈이고, 계몽해야 한다는 역겨운 그 시선...
2
주식하는 제로스수정됨
그리고 뭐 헌재결정 한번나면 영원히 고정인것도 아니고 혼인빙자간음 간통 양심적병역거부 다 변경되어왔죠. 기존 헌재결정도 소수의견도 있었던 건인데 최근 국민적합의도 달라지는 면이 있고(여론조사결과) 그보다 인구감소로 인해 국가적인 병력유지위한 인력공급 부족분등 필요성도 점점 늘어나고 있고.
2
이그나티우스
맞습니다. 어차피 현재 위헌결정이 기속력이 있는 것도 아닌데, 사회변화를 고려하면 말씀하신 혼인빙자간음처럼 언젠가는 위헌판결이 날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 봅니다. 또 국회가 병역법 개정안을 만드는 방법도 있을테고요. 어차피 헌재의 판례입장은 병역의무에 대한 입법재량을 폭넓게 인정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더 많은 논의가 필요하겠지만 국가안보와 평등이라는 대원칙 아래서 지혜로운 해결책이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졸린 꿈
민주당 지지율이 떨어지는 근본적 원인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어요.
물어보는 질문에 대한 근본적인 답을 회피하고,
그걸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보며 가르치려는 자세.

저는 골수 민주당 지지자 입니다만, 저런 자세를 못고치면 민주당은 또 다시 일 못하는 그 이미지 그대로 가져갈겁니다.
엠피리컬
저런 말도 안되는 저급한 말장난이면 국민들이 납득을 할거라고 생각을 했을지 궁금해요. 정말 본인은 저게 답이라고 믿는지. 아니면 어떤 정치적 역학이 펼쳐지고 있는지. 차라리 그냥 현실적으로 뭐 어쩔 수 없다라고 말하면 될텐데...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2777 7
15375 일상/생각우리 강아지 와이프^^;; 5 + 큐리스 25/04/09 302 4
15374 기타[설문요청] 소모임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에 대해 도움을 요청드립니다. 17 + 오른쪽의지배자 25/04/09 346 3
15373 과학/기술챗가놈 이녀석 좀 변한거 같지 않나요? 1 알료사 25/04/09 317 1
15372 과학/기술전자오락과 전자제품, 그리고 미중관계? 6 열한시육분 25/04/09 302 2
15371 꿀팁/강좌3. 다양한 사람과 다양한 감정 36 흑마법사 25/04/08 567 17
15370 기타만우절 이벤트 회고 - #3. AI와 함께 개발하다 7 토비 25/04/08 315 12
15369 정치깨끗시티 깜찍이 이야기 3 명동의밤 25/04/08 309 0
15368 일상/생각우연히 폭싹 속았수다를 보다가.. 8 큐리스 25/04/08 529 0
15367 영화지쿠악스 내용 다 있는 감상평. 2 활활태워라 25/04/08 311 1
15366 경제[의료법인 법무실] 병원관리회사(MSO) 설립, 운영 유의사항 - 사무장 병원 판단기준 1 김비버 25/04/08 367 1
15365 정치역적을 파면했다 - 순한 맛 버전 5 The xian 25/04/07 714 13
15364 정치날림으로 만들어 본 탄핵 아리랑.mp4 joel 25/04/06 371 7
15363 경제[일상을 지키는 법] 전세사기 피해자를 위한 '보증금 반환' 방법 2 김비버 25/04/06 477 4
15362 일상/생각조조와 광해군: 명분조차 실리의 하나인 세상에서 4 meson 25/04/05 345 2
15361 정치"또 영업 시작하네" 10 명동의밤 25/04/05 1138 10
15360 일상/생각계엄 선포 당일, 아들의 이야기 6 호미밭의파스꾼 25/04/04 925 36
15359 오프모임내란 수괴가 만든 오프모임(4) 5 노바로마 25/04/04 855 4
15357 정치2024헌나8 대통령 윤석열 탄핵사건 선고요지 전문 15 즐거운인생 25/04/04 2900 11
15356 정치[불판]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선고 146 T.Robin 25/04/04 5170 9
15355 꿀팁/강좌2. 인스타툰을 위한 초보적인 기초를 해보자! 12 흑마법사 25/04/02 605 17
15354 일상/생각이상적인/사악한 아름다운 한국 사회 11 골든햄스 25/04/02 991 9
15352 기타만우절 이벤트 회고 - #2. 캐릭터 설정은 어떻게 했나 15 토비 25/04/02 639 21
15351 기타만우절 이벤트 회고 - #1. 왜 했나, 왜 그런걸 했나 82 토비 25/04/02 1512 43
15350 오프모임4월 5일 5시 학동역 세종한우 갑시다. 20 송파사랑 25/04/01 1030 6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