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1/10/25 18:08:22수정됨
Name   구글 고랭이
Subject   윤석열 sns 사건 이후 첫 여론조사
오늘 3개의 여론조사 발표가 나왔습니다. 리얼미터, ksoi, 코리아리서치..
리얼미터, ksoi는 ars방식, 코리아리서치는 전화면접 방식입니다. 대체적으로 ars방식은 야당과 윤석열쪽에 웃어주고, 전화면접은 여당과 이재명, 홍준표 쪽에 웃어주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리얼미터
http://www.realmeter.net/%eb%a6%ac%ec%96%bc%eb%af%b8%ed%84%b0-10%ec%9b%94-3%ec%a3%bc%ec%b0%a8-%ec%a3%bc%ea%b0%84-%eb%8f%99%ed%96%a5-%e6%96%87-%eb%8c%80%ed%86%b5%eb%a0%b9-%ea%b8%8d%ec%a0%95-40-0-vs-%eb%b6%80%ec%a0%95-56-7/

ksoi
http://ksoi.org/19/?idx=8624638&bmode=view

코리아리서치
https://news.v.daum.net/v/20211025160720607
https://news.v.daum.net/v/20211025162701359




[문재인 대통령 국정 수행 평가]

리얼미터 :
긍정 40.0%, 부정 56.7%

ksoi :
긍정 41.6%, 부정 55.4%

코리아리서치 :
긍정 41.5%, 부정 54.3%


어느 여론조사를 보든지 대통령 지지율은 40%대 초반, 부정은 50%대 중반으로 고정적입니다.



[정당 지지도]

리얼미터 :
국힘 40.0%, 민주 30.7%, 국당 6.7%, 열민 6.1%, 정의 4.2%

ksoi :
국힘 39.0%, 민주 27.8%, 국당 6.4%, 열민 5.6%, 정의 4.1%

코리아리서치 :
국힘 36.7%, 민주 32.7%, 국당 2.8%, 열민 3.3%, 정의 4.8%


국힘-민주 간에 정당 지지율이 더 벌어지는 추세입니다. 정권 교체 여론이 큰 만큼 예견된 것이었고요. 안철수의 국당이 국힘에 단일화했을 경우엔 이 차이가 더 벌어질 것으로 생각됩니다.




[유력 대선후보 간의 양자, 다자구도 가상대결]






명vs윤 양자대결
ksoi :
명 37.5%, 윤 33.6%
코리아리서치 :
명 42.7%, 윤 38.7%








명vs홍 양자대결
ksoi :
명 36.7%, 홍 34.8%
코리아리서치 :
명 38.6%, 홍 43.7%



명vs윤vs심vs안 다자대결
ksoi :
명 33.6%, 윤 30.0%, 심 3.4%, 안 2.8%
코리아리서치 :
명 37.3%, 윤 31.1%, 심 6.2%, 안 7.2%

명vs홍vs심vs안 다자대결
ksoi :
명 33.2%, 홍 26.3%, 심 4.6%, 안 3.6%
코리아리서치 :
명 34.9%, 홍 35.6%, 심 6.3%, 안 5.2%






[국민의힘 지지층 내에서의 윤vs홍 범보수권 차기대선후보 적합도/경쟁력]

ksoi :
윤 50.3%, 홍 33.5%

코리아리서치 :
윤 49.8%, 홍 37.4%



전체적으로 본선 경쟁력은 홍이 윤보다 더 높은 것으로 보입니다만, 국힘 경선룰은 당원 50%+여론조사 50%으로 알고 있는데 국힘 당원 한정해서는 윤이 홍을 압도하는 것으로 나옵니다. 아마도 경선에서는 윤이 홍을 이길 것으로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여론조사에서 바라볼 여러 포인트는 :

1. 윤이 이번 발언과 sns 사건 이후 그 충격으로 콘크리트 지지율에 살짝 금이 간 것은 맞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것이 장기적인 것인지 아니면 곧 회복될 단기적인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2. 국힘 경선 경쟁력은 윤이, 본선 경쟁력은 홍이 강합니다. 윤은 입당한지 몇달밖에 안되었고 홍은 탈당했다 돌아왔지만 나름 국힘 원로인데 오히려 윤이 인싸이더고 홍이 아웃싸이더 취급을 받는 것 같습니다. 윤의 조직력이 더 세고 국힘 인사들이 대세가 기울었음을 깨달았는지 다 윤에게 가고 있지요. 홍은 오로지 순수 본인의 개인 역량으로 지지율을 여기까지 끌어올린 것이었지만 아직은 역부족입니다.

3. 제 생각에 아마도 안철수는 분명히 저번 재보궐 선거 때처럼 국힘과 단일화를 시도할 것이고, 정의당은 민주당과 후보 단일화하는 일은 없을 겁니다. 과연 이 단일화 변수가 본선에 얼마만큼의 영향을 줄지 궁금하네요.

4. 이낙연 지지층의 상당수가 이재명을 찍기를 거부합니다. 특히 이낙연의 코어 지지층이었던 2030女 지지층은 이재명을 극도로 싫어합니다. 그리고 2030男 국힘 지지층은 홍준표를 좋아하지만 윤석열을 매우 싫어합니다. 과연 이들의 표가 어디로 갈지도 관전 포인트이겠고요.

5. 앞으로 이재명과 윤석열 본인 및 측근 관련해서 많은 의혹이 제기될 것이고 수사, 기소, 재판 진행도 영향을 미칠 것 같긴 합니다. 하지만 생각보다는 별 타격이 없을 것 같습니다. 이번 전두환 발언도 그 발언 자체보다는 그 이후 해명이라든지 사과라든지 캠프의 대응이라든지가 우왕좌왕해서 타격을 준 것이라고 봅니다. 의혹 자체보다는 대처를 어떻게 하느냐가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


(저번주) 갤럽
https://www.gallup.co.kr/gallupdb/reportContent.asp?seqNo=1244




6. 역대급 비호감도 높은 후보 간의 대선입니다. 에일리언 vs 프레데터를 보는 거 같고요, 개인적으로 홍준표가 홍, 명, 윤 중에는 인물이 제일 낫다 싶긴 한데 그것도 상대평가이고 절대평가로는... 인물로 보면 유권자의 투표 의욕이 뚝 떨어지지만 정당구도상으로는 양 정당의 운명을 건 총력전이 예상됩니다.





https://news.v.daum.net/v/20211024165218078

[앵커]

알겠습니다. 여론조사 결과를 한번 더 보도록 하겠습니다. 지금 대선을 한 다섯 달 정도 앞두고 있는 시점인데 비호감도 조사 결과가 눈에 띄어서 두 분과 함께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대선 후보 5명에 대한 비호감도 조사 결과인데 우리가 이번 대선 경선을 치르면서 역대급 비호감 대선이다, 이런 표현을 언론에서 많이 쓰고 있는데 일종의 조롱, 조소 이런 것 아니겠습니까? 지금 이번에 나온 결과만 봐도 거의 2배를 넘어서 3배 가까이 나오는 후보도 있고요. 이 시점에서 왜 비호감도가 중요한가요?

[배종찬]

특히 유권자들의 고역입니다. 비호감이 중요하다기보다는 왜 이렇게 비호감판이 됐느냐 그런 가장 큰 이유는 이번 선거가 정말 처절할 정도의 진영 간 대결이에요. 이겨야만 되는 선거. 좋은 선거 또 품격 있는 후보가 아니라 그걸 강조했던 인물이 이낙연 전 후보였죠. 그렇지만 지금 유권자들은 진영은 이겨야 되는 겁니다. 도덕성보다도 더 중요한 게 이겨야 되는 것이거든요. 그러다 보니까 후보들 개인만 봐도 신상의 의혹들이 정말 줄줄이 사탕처럼 엮여 있거든요.

그게 어떤 후보고 막론하고. 두 번째는 뭐냐 하면 앞서 말씀드렸던 대로 프레임이 걸려있는 것이고 정책이 부재합니다. 그러니까 간판 정책이라고 하는 것도 이 모든 대부분의 연령, 세대, 지역을 초월해서 솔깃해, 이런 정책이 없는 겁니다.

세 번째로는 뭐냐. 시종일관 토론회도 그렇고 후보 간 SNS 공방도 그렇고 네거티브입니다. 이러다 보니까 말 그대로 유권자들이 정말 87년 직선제 개헌 이후 고역이 될 수밖에 없는 것이 호감 후보를 가려내기도 힘든데 비호감 중에서 가장 마음에 드는 후보를 골라내야 된다? 어떻게 해야 되는 겁니까.

[앵커]

어떻게 해야 되는 겁니까, 교수님?

[최창렬]

저는 한국 민주주의 위기라고 생각해요. 선거가 결국은 민주주의의 가장 꽃인데 선거가 이렇게 그야말로 최악의 후보를 배제하고 덜 나쁜 후보를 선택해야 되는 이 선거. 우리가 흔히 말할 때 선거가 차선을 선택하는 거라고 하잖아요. 정치의 최선은 사실 존재하기 어려우니까. 그런데 지금 차차선이나 차선 전혀 얘기할 수 없는 상황이란 말이에요. 지금 보시다시피 이렇게 비호감도가 높잖아요, 모든 후보가 다.

그러니까 과거부터 나온 후보라는 측면도 있고 새로 나온 후보들도 구시대의 후보 못지않게 발언이나 이런 것들이 납득되지 않는. 이성과 상식을 넘는 이런 발언들이 계속 나오니까 이게 비호감도가 높은 거예요. 국민들에게 사실 이건 고문이에요. 가장 최악의 후보를 피하라는데 선거는 그래도 내가 마음에 드는 후보를 골라야 되는 것 아니겠어요? 저는 그래서 중도층이 자꾸 늘어나는 것도, 선거가 다가올수록 중도층이 줄어져야 되는데 아직은 안 그래요. 물론 선거 바짝 다가오면 양대 진영을 수렴하겠습니다마는 적어도 지금 이 단계에서도 중도층이 생각보다 많은 거거든요. 그만큼 양대 진영이 어느 후보에게도 마음 주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이건 정치인들이 책임을 져야 된다. 정말 우리 한국 민주주의의 위기라고 생각합니다.



1


    구글 고랭이
    리얼미터
    이번 주간집계는 10월 18일(월)부터 22일(금)까지 닷새 동안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44,679명에게 통화를 시도해 최종 2,517명이 응답을 완료, 5.6%의 응답률(응답률 제고 목적 미수신 조사대상 2회 콜백)을 나타냈고, 무선 전화면접(10%), 무선(80%)·유선(10%) 자동응답 혼용방식, 무선전화(90%)와 유선전화(10%) 병행 무작위생성 표집틀을 통한 임의 전화걸기 방법으로 실시했다. 통계보정은 2021년 7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 성별, 연령대별, 권역별 림가중 부여 방식으로 이루어... 더 보기
    리얼미터
    이번 주간집계는 10월 18일(월)부터 22일(금)까지 닷새 동안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44,679명에게 통화를 시도해 최종 2,517명이 응답을 완료, 5.6%의 응답률(응답률 제고 목적 미수신 조사대상 2회 콜백)을 나타냈고, 무선 전화면접(10%), 무선(80%)·유선(10%) 자동응답 혼용방식, 무선전화(90%)와 유선전화(10%) 병행 무작위생성 표집틀을 통한 임의 전화걸기 방법으로 실시했다. 통계보정은 2021년 7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 성별, 연령대별, 권역별 림가중 부여 방식으로 이루어졌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0%P이다.

    ksoi
    TBS 의뢰로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005명을 대상으로, 10월 22~23일 이틀간 실시했습니다. 중앙선관위 제공 안심번호 무선전화 자동응답방식 100%입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 응답률은 6.9%입니다. 질문지 등 보다 상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나 <한국사회여론연구소> 홈페이지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코리아리서치
    조사의뢰 : MBC 조사기관 : (주)코리아리서치인터내셔널 대상 : 전국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남녀 1,003명 피조사자 선정 방법 : 성·연령·지역별 할당 조사방법 : 무선 전화면접(100%) 3개 통신사 휴대전화 가상번호 기간 : 2021년 10월 23일 ~ 24일(2일간) 응답률 : 22.7% (4,421명 중 1,003명 응답) 가중값 산출 및 적용방법 : 지역별/성별/연령별 가중치 부여 (셀가중, 2021년 9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기준) 표본오차 : 95% 신뢰수준, ±3.1%p 질문내용 :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한국갤럽
    - 조사기간: 2021년 10월 19~21일
    - 표본추출: 휴대전화 RDD 표본 프레임에서 무작위 추출(집전화 RDD 15% 포함)
    - 응답방식: 전화조사원 인터뷰
    - 조사대상: 전국 만 18세 이상 1,000명
    - 표본오차: ±3.1%포인트(95% 신뢰수준)
    - 응답률: 13%(총 통화 7,608명 중 1,000명 응답 완료)
    - 의뢰처: 한국갤럽 자체 조사
    구글 고랭이
    숫자 받아적는데 일부 오타가 났을 수도 있어용..;; 지적해주시면 감사합니당.
    대법관
    가장 웃긴게 비호감 1위가 명도 윤도 아닌 안철수라는 점입니다. 처음 그의 데뷔를 생각해본다면..
    3
    구글 고랭이수정됨
    명은 적어도 민주당은 비호하고 윤은 국힘이 비호합니다만 안철수는 양쪽이 다 싫어하기 때문이지요..

    안철수가 유치원과 mb아바타로 몰락했지만 윤석열은 그 많은 망언에도 거뜬히 버티고 있는것은 역시나 제3지대의 한계죠. 조금 헛소리하고 좀 엇나가도 시간을 두고 참고 인내해주고 기다려줄 코어 지지층이 없다는거.
    대법관
    그냥 지금이라도 정치접고 본연의 일로 돌아가면 어떨까싶습니다. 좋아해주진 않겠지만 비호감은 거둬들일 수 있을테니..
    구글 고랭이
    이번에 지지율 몇% 가지고 민주당vs국힘의 대선이 결정될텐데 그러면 안철수의 한줌 지지율도 엄청난 영향력을 끼치죠. 이걸 가지고 단일화 압박하면서 국힘에 요직을 요구할 수도..
    syzygii
    이게 뒤에서 당협위원장이니 공천권이니 하는 물밑협상만 하는게 아니고 사실상 대통령 파트너라고 인식되는 종로가 비어서 결합이 잘될수도 있다고 보입니다.
    구글 고랭이
    아무리 생각해도 이낙연은 종로 국회의원 사퇴를 하는 것이 득이 아니었습니다..
    매뉴물있뉴
    2 30 남녀는 이재명 vs 윤석열 구도에서 투표를 포기하거나 아예 군소후보 (안철수 심상정)으로 갈 가능성이 있지않나 짐작합니다. 역대급 비호감 대선인건 맞는것 같읍니다
    구글 고랭이
    1. 안철수가 국힘에 후보 단일화한다고 안철수 지지층이 온전히 국힘 쪽으로 갈 것인가?
    2. 2030女가 심상정을 찍고 싶어도 사표 심리가 발동해 양 거대 정당의 후보를 찍는 쪽으로 가지 않을까?
    -하는 게 제 의문점입니다.

    제가 이런 구도가 되지 않도록 이낙연을 지지했던 건데.. 모르겠습니다 이젠.
    매뉴물있뉴
    .. 그냥 제한시간내에 낙이 경쟁력을 증명하지 못했다고 생각합니다. 어쩔수없죠 뭐...
    2
    syzygii
    이낙연 지지층도 아무리 이재명 싫어도 청와대나 민주당 고위직 출신(ex임종석,조국)이 이재명 유세 따라다니면서 문재인 지킬후보 누굽니까 이러면 이재명 찍거나 투표 포기를 할지언정 윤/홍 찍는건 거의 없을거같네요
    1
    jnote0504
    문재인 사수 vs 정권교체의 대결이겠네요. 이게 대선인지 미국처럼 연임 선거인지 약간 헷갈립니다 ㅋㅋㅋ
    구글 고랭이
    진지하게 연임이 가능했다면 문재인이 다시 대선에 나와도 이재명보단 경쟁력 있었을 거 같기도 합니다.
    구글 고랭이
    이낙연 지지층이 여러 계층으로 나뉩니다.

    1. 친문 친이낙연 반이재명
    2. 2030女이면서 반이재명
    3. 친민주 비이재명

    3.은 결국 민주당 찍을거지만 1., 2.는 꼭 그렇지 않을수도 있어요.
    revofpla
    1번에서 친문이라면 반이재명이라도 결국 이재명을 찍지 않을까 싶습니다.
    구글 고랭이
    1번은 상대가 윤석열이라면 이재명을 찍거나 기권 혹은 김동연을 찍을 수도 있고, 상대가 홍준표라면 그냥 홍준표 찍어버릴 수도 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1번과 3번에 두 발 걸치고 있는 사람이라 고민되네요.
    syzygii
    본선에서 홍준표가 여당 지지층 입맛에 맞는 발언을 해주기가 힘들고 친문재인 스피커 다 이재명에 붙을텐데 친문이 홍준표를 찍어도 극소수겠죠
    구글 고랭이
    3.의 입장 : 그래도 이재명은 같은 당
    1.의 입장 : 이재명 파벌은 뿌리가 다른 완전 남남. 이재명은 민주당을 망칠 사람.

    1.의 입장에서는 홍준표가 더 나은 선택지일 수도 있습니다. 다만 윤석열은 절대 안찍죠.

    친문 중에서도 친이재명쪽으로 안간 친이낙연 반이재명 파벌은 이재명을 국힘보다 어쩌면 더 싫어합니다.
    돌고래
    이, 윤, 홍.. 정말 초라한 라인업 같은데 그래도 누가 되도 어찌저찌 잘 하겠지라고 생각합니다.
    어쨌든 거대 양당의 시스템 속 후보들이니..
    근데 지금 기분이면 투표날엔 그냥 쉴듯.
    구글 고랭이
    잘 확립된 민주공화정은 국가 수장이 누가 되든 크게 문제없이 돌아갑니다. 하지만 기분이 나쁜 건 어쩔수 없네요.
    3
    갑갑하다...
    구글 고랭이
    '한국 민주주의의 위기'라는 말이 와닿습니다.
    주식하는 제로스
    기시감..

    힐러리 vs 트럼프
    2
    기시감(2)

    MB vs. 근혜 (尹이 후보라는 가정)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2360 정치대선 후보가 코로나에 걸린다면? 10 토비 21/12/19 3555 1
    12357 정치윤석열 후보가 김건희 학력 위조에 대해서 모를 수가 없는 이유 22 구글 고랭이 21/12/18 6263 3
    12354 정치관례, 관행... 이해가 안간다. 9 Picard 21/12/16 4622 1
    12351 정치문재인은 국민 앞에 서야 합니다. 82 Jazz 21/12/15 6099 5
    12336 정치노재승을 왜 철회하지 못할까..? (뇌피셜) 26 Picard 21/12/09 4924 0
    12329 정치노인 자살률은 누가 감소시켰나 9 구밀복검 21/12/06 6054 29
    12328 정치이준석의 필살기의 결과 26 Picard 21/12/06 4613 0
    12320 정치김종인, 이준석, 윤석열에 대한 스쳐가는 생각 23 Picard 21/12/01 4791 1
    12319 정치이용 의원, '자율규제 강화' 게임법 전부개정안 철회 6 구글 고랭이 21/12/01 4667 2
    12312 정치여론조사 9개중 6개는 접전…尹, 3개 오차범위밖 '우세' 12 구글 고랭이 21/11/30 4709 1
    12311 정치중국 공산당이 꿈꾸는 냥파오 근절 13 구글 고랭이 21/11/29 4924 2
    12265 정치당보고 뽑지 말고 인물 보고 뽑자 9 Picard 21/11/12 4299 0
    12261 댓글잠금 정치"김건희, 5개 대학 이력서 허위 기재"...윤석열도 몰랐나? 75 구글 고랭이 21/11/10 7147 1
    12251 정치윤석열 vs 이재명 - 누가 되든 이례적인 대선 11 샨르우르파 21/11/08 4806 3
    12229 정치성남도공 조례 통과 뒤 대장동 간 유동규..육성파일 입수 외 6 구글 고랭이 21/11/01 5244 2
    12221 정치막걸리와 고무신 선거와 자유주의자의 역할 19 cummings 21/10/30 4908 1
    12212 정치what if.. 만약 11월 5일에 국힘후보로 윤석열이 안된다면? 5 Picard 21/10/28 4408 0
    12206 정치윤석열 sns 사건 이후 첫 여론조사 25 구글 고랭이 21/10/25 4690 1
    12185 정치한국 포퓰리즘의 독특함과 이재명의 위험성? 43 샨르우르파 21/10/19 5623 17
    12169 정치윤석열 질타한 법원 "중대 비위행위, 정직 2개월도 가볍다" 외 2 33 구글 고랭이 21/10/15 4792 2
    12166 정치윤총장 징계취소소송 패소여파 26 매뉴물있뉴 21/10/14 5023 1
    12160 정치민주당 결선투표와 무효표 논란에 대한 시각 26 Picard 21/10/12 4509 0
    12153 정치민주당 무효표 / 탑독이 서툰 이재명 / 윤석열의 성경책 11 매뉴물있뉴 21/10/11 4417 4
    12143 정치KDI에서 본 한국 여론양극화 문제 (부제: 여성시대 주작사태) 8 샨르우르파 21/10/06 4400 9
    12131 정치(호소문)집단잔금 대출을 막으면 우린 죽습니다. 1세대 실거주 서민을 살려주십시오. 27 Leeka 21/10/01 5512 5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