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1/11/30 00:37:17수정됨
Name   구글 고랭이
Subject   여론조사 9개중 6개는 접전…尹, 3개 오차범위밖 '우세'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001&oid=448&aid=0000345199


대선 d-100을 맞아 tv조선에서 여러 여론조사들을 한꺼번에 정리를 잘 해놨더군요. 그래서 여기에 공유합니다.












윤석열은 3개 여론조사에서 이재명을 오차범위 밖에서 앞섰고, 다른 6개 조사에선 오차범위 내에서 경합합니다.

윤석열-이재명 간의 격차는 대체적으로 좁혀지는 추세이고, 다만 이재명 지지율은 30%대 박스권을 벗어나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세대별로는 60대 이상 & 20대에서 윤석열이 앞서고, 40대에서 이재명이 앞서고, 30대·50대에서는 경합합니다.









보수에서는 윤석열이, 진보에서는 이재명이 크게 앞서고, 중도층에서는 윤석열이 약우위에 있습니다.











이번에 대선을 100일 앞두고 윤석열은 충청에서, 이재명은 호남에서 유세를 했습니다. 전국 표심의 캐스팅보트를 쥐고 있는 충청권 민심은 윤석열이 약우위에 있습니다. 호남 지역에서 몇몇 조사는 윤석열이 20% 가까이 차지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됩니다.
















20대는 아직도 지지후보를 정하지 않은 부동층 표심이 많습니다.












20대男/女 모두 윤석열이 이재명을 앞서는데, 20대女 민심이 심상정 쪽으로 상당히 많이 가고 이재명이 그 표를 흡수하지 못한 것이 커 보입니다.













윤석열은 정권 교체 표를 다 흡수하지 못하고 있고, 이재명은 대통령 지지율만큼도 다 얻지 못하고 있습니다.













지지후보를 바꿀 수 있다는 비율이 30% 가량 됩니다. 앞으로 몇개월 동안 바뀔 여지는 충분합니다. 특히 안, 심 -> 윤, 이 로의 후보 단일화 여부 및 막판 표심 이동이 어떻게 될지 궁금합니다.














리얼미터-오마이뉴스 주간집계는 11월 22일(월)부터 26일(금)까지 닷새 동안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53,228명에게 통화를 시도해 최종 3,023명이 응답을 완료, 5.7%의 응답률(응답률 제고 목적 미수신 조사대상 2회 콜백)을 나타냈고, 무선 전화면접(8%), 무선(81%)·유선(10%) 자동응답 혼용방식, 무선전화(90%)와 유선전화(10%) 병행 무작위생성 표집틀을 통한 임의 전화걸기 방법으로 실시했다. 통계보정은 2021년 7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 성별, 연령대별, 권역별 림가중 부여 방식으로 이루어졌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1.8%P이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YTN 의뢰로 차기 대통령 후보 지지도를 조사한 결과는 지난 26~27일 전국의 만 18세 이상 남녀 1032명을 대상으로 한 무선(90%), 유선(10%)의 전화 조사에서 나타났으며, 응답률은 6.3%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글로벌리서치가 JTBC 의뢰로 지난 27~28일 전국 18세 이상 남녀 1006명을 상대로 한 이번 여론조사는 100% 전화 면접 방식(무선 100%)으로 진행됐고, 여론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한국리서치-KBS 조사는 지난 26~28일 사흘간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면접원에 의한 전화면접조사 방식으로 실시됐다. 응답률은 21.5%,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1%포인트다.

KSOI(한국사회여론연구소)가 29일 공개한 차기 대선 다자대결 조사(TBS 의뢰, 26~27일 조사,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09명 대상)는 중앙선관위 제공 휴대전화 가상번호(안심번호)를 활용한 무선자동응답 방식이다.

중앙일보가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지난 26~27일 전국의 만 18세 이상 남녀 1020명을 대상으로 유선 임의전화걸기(RDD, 비율 14.9%)와 무선(가상번호, 비율 85.1%)을 결합한 전화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했다. 유ㆍ무선 평균 응답률은 13.8%며 202110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기준으로 가중값을 부여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최대 ±3.1%포인트다.

28일 여론조사업체 <케이스탯리서치>에 따르면, <한겨레> 의뢰로 지난 25~26일 이틀 동안 전국 성인 1천27명을 대상으로 대선후보 적합도를 조사한 결과 이번 조사는 유무선 병행방식으로 실시됐으며, 응답률은 19.4%,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 ±3.1%포인트다.

조사의뢰 : MBC
조사기관 : 코리아리서치
조사대상 : 전국 거주 만 18세 이상 남녀
조사기간 : 1127~28일 (2일간)
조사방법 : (국내 통신 3사 제공) 휴대전화 가상번호 100% 이용 무선전화면접
피조사자 선정방법 : 성/연령/지역별 할당
표본크기 : 전국 1,008
응답률: 23.9% (4,225명 통화 1,008명 응답)
가중값 산출·적용방법 : 성/연령/지역별 가중치 부여 (셀 가중, 202110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기준)
표본오차: 95% 신뢰수준 ±3.1% 포인트

조사 의뢰 : SBS
조사 기관 : 넥스트리서치
조사 일시 : 20211127~28
조사 대상 :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천7명 (성·연령·지역 할당 후 유선 RDD 및 무선 가상번호 추출)
조사 방법 : 유·무선 전화면접조사 (무선 86%, 유선 14%)
응답률 : 19.0% (5천286명 접촉하여 1천7명 조사 성공)
가중치 부여 방식 : 성별·연령별·지역별 가중값 부여 (셀가중/202110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기준)
표본 오차 : ±3.1%p (95% 신뢰 수준)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제 사견을 첨하자면, 윤석열vs이재명이 거의 박빙인 건 맞는데 뭔가 한끗(?)이 윤이 더 앞서있고, 안철수는 국힘과 단일화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데 심상정(정의당)은 민주당과 단일화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봅니다. 그러면 옛날 박근혜vs문재인 구도의 재판이 되면서 민주당 쪽이 아슬아슬하게 지는 구도가 나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이대로만 간다면요. 그래서 이재명은 이 구도를 뒤집으려면 뭔가 변수를 둬야 해요.



1


    물냉과비냉사이
    https://www.mt.co.kr/election2022/?fbclid=IwAR00wqvRWAgjT5N10VPTk736B1WySSSTQTYTDZB9MAVGxprdDzdOjm_YPRg

    이건 서울대 언론정보학부 한규섭 교수팀(폴랩)에서 작업한 것인데, 여러 조사들을 통합해서 지수화하고 각 날짜별로 지지율 평균과 신뢰구간 잡아서 그림그리는 것입니다. 이런 것도 참조할만 할듯.
    구글 고랭이
    http://poll-mbc.co.kr/

    네 mbc가 하고 있었는데 머니투데이도 하게 된거 같아요. 이 둘이 윤 42%, 이 36~38%에 수렴하는군요.
    물냉과비냉사이
    MBC 데이터전문 모 기자가 저 폴랩출신이죠... 폴랩에서 하던 것과 비슷한 아이디어로 기획해서 본인 지도교수가 아닌 다른 교수팀과 작업을 했네요. 여기에는 사연이 있는데...
    3
    왜죠 ㅋㅋ
    중앙선관위 지침에 따라 선거 여론조사 인용 글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라"는 문구 게재가 필요합니다.
    구글 고랭이
    추가했습니다.
    어제 여론조사 전문가가 나와서 100일전에 나온 여론조사 결과가 뒤집힌 적이 없고, 대선도 결국 여론조사대로 나왔는데, 이번에는 공교롭게도 오차범위내 접전이거나 동률이 나왔고... 사견으로는 100일 사이에도 엎치락 뒤치락할것같다고 하더군요.

    이재명은 개인 과거사가 발목을 잡고..
    윤석열은 본인은 나오는게 그나마 없는데, 국힘내 파워싸움이 계속 터지고...

    재미있습니다.
    구글 고랭이
    16대 노무현 제외하고.. 100일 전 크게 앞선 1위 후보 모두 당선
    https://news.v.daum.net/v/20211129050623108

    딱한번 뒤집힌 적이 있습니다. 노무현 당선 때요.
    조지 포먼
    안씨랑 심씨 행보로 저 둘중에 누가 될지 판가름 나겠네요. 근데 안씨는 협치나 양보를 할줄 아는 양반이라 국힘에 힘을 실어줄 가능성이 높으면 심씨는 뭐 민주당에 안붙을 가능성을 더 높게 보는지라 윤씨가 좀 더 유리하게 보이네요
    구글 고랭이
    제3지대는 망했고 거대양당구도에서 안철수는 막차 타야 하는 거고, 정의당은 저번에 선거법 가지고 기대했다가 위성정당 크리 맞고 배신당한데다가 정의당의 선명성을 높이려면 민주당에 협력 안하는 쪽이 더 이득입니다.
    조지 포먼
    철수옹쪽은 합류 해도 흡수되지 않을텐데 정의당은 합류 하면은 흡수통일 각이죠 ㅋㅋ
    구글 고랭이
    안철수의 제3지대는 근본이 없지만, 정의당은 노동자를 대표한다는 옛 정신은 많이 사라졌지만 그래도 민주당과는 다른 분명한 근본이 있기에..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2360 정치대선 후보가 코로나에 걸린다면? 10 토비 21/12/19 3555 1
    12357 정치윤석열 후보가 김건희 학력 위조에 대해서 모를 수가 없는 이유 22 구글 고랭이 21/12/18 6264 3
    12354 정치관례, 관행... 이해가 안간다. 9 Picard 21/12/16 4622 1
    12351 정치문재인은 국민 앞에 서야 합니다. 82 Jazz 21/12/15 6102 5
    12336 정치노재승을 왜 철회하지 못할까..? (뇌피셜) 26 Picard 21/12/09 4925 0
    12329 정치노인 자살률은 누가 감소시켰나 9 구밀복검 21/12/06 6056 29
    12328 정치이준석의 필살기의 결과 26 Picard 21/12/06 4617 0
    12320 정치김종인, 이준석, 윤석열에 대한 스쳐가는 생각 23 Picard 21/12/01 4792 1
    12319 정치이용 의원, '자율규제 강화' 게임법 전부개정안 철회 6 구글 고랭이 21/12/01 4667 2
    12312 정치여론조사 9개중 6개는 접전…尹, 3개 오차범위밖 '우세' 12 구글 고랭이 21/11/30 4709 1
    12311 정치중국 공산당이 꿈꾸는 냥파오 근절 13 구글 고랭이 21/11/29 4924 2
    12265 정치당보고 뽑지 말고 인물 보고 뽑자 9 Picard 21/11/12 4300 0
    12261 댓글잠금 정치"김건희, 5개 대학 이력서 허위 기재"...윤석열도 몰랐나? 75 구글 고랭이 21/11/10 7150 1
    12251 정치윤석열 vs 이재명 - 누가 되든 이례적인 대선 11 샨르우르파 21/11/08 4807 3
    12229 정치성남도공 조례 통과 뒤 대장동 간 유동규..육성파일 입수 외 6 구글 고랭이 21/11/01 5245 2
    12221 정치막걸리와 고무신 선거와 자유주의자의 역할 19 cummings 21/10/30 4911 1
    12212 정치what if.. 만약 11월 5일에 국힘후보로 윤석열이 안된다면? 5 Picard 21/10/28 4408 0
    12206 정치윤석열 sns 사건 이후 첫 여론조사 25 구글 고랭이 21/10/25 4693 1
    12185 정치한국 포퓰리즘의 독특함과 이재명의 위험성? 43 샨르우르파 21/10/19 5624 17
    12169 정치윤석열 질타한 법원 "중대 비위행위, 정직 2개월도 가볍다" 외 2 33 구글 고랭이 21/10/15 4793 2
    12166 정치윤총장 징계취소소송 패소여파 26 매뉴물있뉴 21/10/14 5023 1
    12160 정치민주당 결선투표와 무효표 논란에 대한 시각 26 Picard 21/10/12 4511 0
    12153 정치민주당 무효표 / 탑독이 서툰 이재명 / 윤석열의 성경책 11 매뉴물있뉴 21/10/11 4417 4
    12143 정치KDI에서 본 한국 여론양극화 문제 (부제: 여성시대 주작사태) 8 샨르우르파 21/10/06 4401 9
    12131 정치(호소문)집단잔금 대출을 막으면 우린 죽습니다. 1세대 실거주 서민을 살려주십시오. 27 Leeka 21/10/01 5512 5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