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3/12/06 16:11:11수정됨
Name   낭만주의
File #1   IMG_2863.jpeg (279.7 KB), Download : 5
Subject   15년전에 쓴 '뮤지컬을 좋아하는 세가지 방법'


0.0 검색하는것도 힘들었던 이 글을 굳이 찾고 찾아낸 이유는 본문에 각 꼭지를 담당하는 세작품인 레 미제라블과 라스트 파이브 이어즈와 렌트가 모두 지금 공연중이거나 개막을 앞두고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셋 다 좋은 작품이니 무지성 추천드림.

0. 연말에 사람들은 정리를 하곤 하죠. 이번 연말에 갑자기 제가 가장 좋아하는 뮤지컬들은 무엇인지를 추리고 추려보니, 세편으로 정리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각각 좋아하게 된 방법이 다르더라구요. 낚시성이 짙은 제목의 이 글은 어쩌면 제가 좋아하는 뮤지컬들의 나열들입니다.

1. 가장 흔한 방법은 '보는 것'입니다. 제가 가장 좋아하는 뮤지컬. 아니 제가 가장 좋아하는 예술작품인 '레 미제라블'은 첫번째 경우에 속합니다.

작년 여름 별다른 기대도 하지 않고, 그저 좋아하는 넘버인 'Stars'와'On my own'만 들어도 본전 아닌가란 마음에 관람하게 된 이 작품은, 3시간이 넘는 시간 동안 한순간도 빼놓지 않고 제 마음을 흔들었습니다. 그 전까지 음반이나 10주년 기념 공연 영상, 심지어 위고의 원작에도 관심이 없던 덕분에 내용은 거의 몰랐지만 표정, 목소리, 몸짓 하나 하나가 가슴을 울렸습니다. 저만의 경험은 아닐겁니다. 많은 사람들이 단 하나의 뮤지컬 작품을 꼽으라면 '레 미제라블'을 꼽곤 합니다.

'맨 오브 라만차' 역시 대단했었습니다. 2005년 초연을 못본게 너무나도 한이 맺혀, 작년 재연때 기를 쓰고 보러갔습니다. 기대가 큰 작품이었지만 그 기대를 훌쩍 뛰어 넘어버린 멋진 작품이었습니다. 이 작품엔 제가 가장 좋아하는 뮤지컬 넘버인 'The impossible dreams'가 있어요. AR로 수백번 들었던 곡이었지만 정성화씨가 그 꿈. 으로 시작하자마자 눈물이 났습니다.

뮤지컬 첫사랑이라 할만한 '지킬 앤 하이드'는 2006년 초유의 티켓전쟁을 뚫고 두번 관람했습니다. 기대했던 곡중 몇몇은 생각보다 아쉬웠고, 몇몇은 기대만큼이었고, 'In his eyes'같은 노래는 공연 현장에서의 폭발력이 OST의 그것과는 비교도 안 될만큼 막강했습니다. 정선아씨와 이혜경씨가 부르던 한 공연에선 노래가 끝나자 공연 도중에 기립박수가 나왔다더군요.

이 카테고리에는 그저 무대에서 본것만 포함되지는 않습니다. 최근 개봉했던 '스위니 토드' 역시 극장에서는 기회가 닿지 못했지만, 스크린에서의 압도적인 포스로 인해 최근 가장 많이 들어보고 있는 작품입니다. 조나단 라슨을 좋아하는데 '틱틱붐'에서 그가 차마 입에도 담지 못할 만큼 존경해 마지않던 스티븐 손드하임에 대한 궁금증이 어느 정도 풀렸습니다. 언제고 재공연 한다면 필견할 듯 합니다.

2. 다음은 '듣는 것'입니다. 그렇게 흔한 케이스는 아니지만 아직 국내 라이센스화 되지 못한 경우거나, OST가 환상적으로 좋은 경우라면 있을 수 있죠.

일단 '위키드'가 있겠습니다. 제가 여자였다면 '레 미제라블'과 쌍벽을 이룰 정도로 좋아했을지도 모르는 작품입니다. 여자들이 듣고 부르고 빠져들기에 노래가 너무 좋아요. 제가 속한 뮤지컬 동호회의 여자동지들도 이 뮤지컬 넘버들에 빠져 있습니다. 물론 환상적인 무대도 '위키드'의 자랑거리지만 지칠줄 모르는 인기행진에는 OST만으로도 감동을 주는 음악이 있기 때문입니다.

전 영화 '헤드윅'이 그렇게 인상적이지 않았어요. 라이센스 공연은 한번도 보러간 적이 없습니다. 하지만 전 '헤드윅'을 좋아합니다. 엄밀히 말하면 OST가 너무 좋습니다. 라이센스 버전을 좀 더 좋아해서 존 미첼 헤드윅 콘서트에서도 거의 모든 한글 노래와 상당수의 원어 노래를 따라 불렀습니다. 요즘도 노래방에서도 꿋꿋하게 'The origin of love'를 한국가사로 부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제가 가장 듣기 좋아하는 뮤지컬은 '라스트 파이브 이어즈'입니다. 아마 오늘 등장한 뮤지컬 중 가장 지명도가 떨어지리라 생각됩니다. 등장인물 단 두명의 조촐한 이 뮤지컬을 처음 만난건 9회 뮤지컬 시상식에서 성기윤씨와 이혜경씨의 축하무대에서 였습니다. 남자와 여자의 5년간의 사랑이야기를 엇길린 시간 구성으로 표현했다는 내용이더군요. 호기심에 들어본 OST는, 사랑의 시작과 끝, 사랑의 사랑스러움과 가슴 아픔을 표현한 노래들로만 이루어져 있었습니다. 사랑이 시작하는 순간에는 그렇게 밝고 유머러스 하며 예쁠 수 없지만, 사랑이 끝나갈 때에는 가슴 시리고 안타깝고 슬퍼서 눈물이 납니다. 그 사이에 제가 가장 좋아하는 듀엣곡인'The next ten minutes'에선 유일하게 남녀가 함께 사랑을 이야기합니다. 배해선씨가 종종 갈라쇼에서 이 뮤지컬의 넘버를 부르시던데 언제고 '제이미'와 '캐시'를 직접 만날 날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3. 이건 더더욱 흔치 않은 경우인데, 직접 '하는 것'입니다. 여기에 있어 전 행운아입니다. 20일쯤 전에 '렌트' 공연을 마쳤습니다.

사실 '렌트'는 반년전이라면, 탑 세븐정도면 몰라도 탑 쓰리에 꼽기엔 살짝 부족했습니다. 프로든 아마추어든 공연을 본 적도 없었고, 영화를 꽤나 재미있게 봤고, 마크가 멋지다는 생각은 하고 있었지만, 그 전년도 갈라 콘서트에서 두세곡 가량 부르긴 했지만, 그렇게 큰 인상은 없던 작품이었습니다.

그러다 누군가의 꾀임에 걸려들어 '렌트'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아마추어 공연이다보니 '어떤 역을 잘하겠다' 보다 '어떤 역을 맡고 싶다'로 캐스팅이 결정되고, 전 말 많은 마크 역을 맡게 되었습니다. 이게 보기보다 쉬운게 아니라, 발음은 안 되고, 화음은 안 맞고, 무엇보다 자신감이 없다보니 위축되곤 했습니다. 저만 그런게 아니고 이런 고민 안해본 사람이 없었습니다. 내가 잘 할 수 있을까? 이 작품이 과연 무대위로 오를 수 있을까?

근데 진짜 미스테리한게 모두 다 잘했습니다. 프로배우만큼 노래를 잘하지도, 연기가 자연스럽지도, 안무가 멋지지도 않았지만, 그들만큼, 어쩌면 그들 이상으로 작품을 연구하고, 분석했고, 반복했습니다. 고쳐지지 않던 음정불안으로 모두의 걱정을 받던 친구는 무대 위에서 그 전보다 월등히 나은 실력을 보여주었습니다. 다들 타고난 무대체질이었나 봅니다. 그로 인해서인지, 예상보다 많은 분들이 즐겁고 재미있게 봐주셨습니다. 공연후 아직까지 언제 다시 공연 올릴건지에 대한 문의전화가 오고 있다는 말에, 나쁘지 않게 했나보다는 생각이 듭니다.

조금씩 잊혀지곤 있지만 '렌트'의 처음부터 끝까지를 혼자서 흥얼거릴 수 있을 정도로 많이 듣고 따라했으며 연습했습니다. 그로 인해 관객분들이 우리의 공연에 좋은 인상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아마 평생동안 잊지 못할 기억을 준 이 '렌트'를 어떻게 사랑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4. 아직 접하지 못한 작품들이 많습니다. 기회는 있었지만 잡지 못했던 많은 명작들 (노트르담도 왠지..) 한국에 들어오지 못한 많은 걸작들 (스티븐 손드하임의 컴퍼니는 기대중) 언젠간 레 미제라블, 라스트 파이브 이어즈, 렌트의 아성도 무너질지 모르지만, 그만큼 더 좋은 작품을 접했다는 것일테니 아쉬울 것은 없겠죠. 세가지 방법을 통해, 많이 보고, 많이 듣고, 가능하다면 몇번 더 직접 해보면서, 많은 뮤지컬들을 좋아하고 사랑하고 살아가고 싶습니다. 여러분도 그러시길.



3
  • 뮤덕으로서 공감합니다 덕질의 끝은 역시 직접 해보는 것이겠죠!


흑흑 뮤지컬 관람비 넘 비싸요 ㅠ ㅠ
낭만주의
요즘은 잘 안가서 정확한건 잘 모르겠지만, 대극장용 말고 대학로 위주로 올라오는 소극장 뮤지컬 중에서 엄청 비싸진 않지만 보석 같은 작품들이 제법 있었습니다. ㅎ
뉴클레오타이드
렛미플라이 혹시 보셨나요?!
아 최근엔 극장 못가봤습니다 ㅠㅠ 박보검 나오는 작품이라고만 알고 있어요 ㅠ
결혼하기 전에는 많이 봤었는데.. 애 낳고는 한 번도 안갔습니다.
지킬앤하이드 / 레미제라블 / 오페라의 유령 / 맨오브라만차 / 노트르담 드 파리 / 위키드 / 엘리쟈벳 / 마리 앙뚜아네뜨 / 레베카
봤었는데 저는 위키드가 제일 별로 였습니다.. 너무 유치 찬란 했어요.
제가 보던 시기에는 여주인공에 옥주현 씨랑 김소현 씨가 많이 나왔던거 같아요.
레미제라블은 영화를 먼저 보고 감동받고 넘버 엄청듣고 기대하고 보러 갔는데 처음에 한글로 낮춰 (Look Down) 하는 순간 분위기가 팍 식었던 기억도 납니다.
아 뮤지컬 보고 싶다...
낭만주의
많이 가셨을때 시기가 대충 느껴지네요 ㅎ 레미제라블 한국에서 초연 보러갔다가 좀 실망하긴 했는데... 뭐 어쩔수 없는 한계도 있지만 그래도 워낙 좋은 작품인지라 아쉬운점들이 상쇄 되긴 하더군요. 조만간 좋은 작품 보러 가시길요!
라이온킹 매니아라서 꼭 보고 싶었는데 아직도 못보고 있습니다.
결혼전에 보러 갈려고 뉴욕행 비행기 까지 다 끊어 놨었는데 마눌님(당시 여친)이 못가게해서... ㅜㅜ
1
뉴클레오타이드
오 저 레미제라블 보러 갈 건데!!!!! 말씀하신 넘버들 기억해두고 즐겨보겠읍니다 +_+
낭만주의
어휴 부럽습니다. 근 3시간동안 대사없이 노래들로만 진행되는데 엇 이게뭐야 마시고 ㅠㅠ
다크초코
글에 적어주신 impossible dreams의 첫 소절 '그꿈'이나 In his Eyes, On my own, The next 10 minutes는 글자로 보기만 해도 울컥하고 소름이 돋아요...
마크 수다장이 캐릭터라서 무대 준비하시는데 정말 고생하셨겠습니다. 저도 보고 싶네요 ;)
ㅎㅎ 울컥하게 하는게 뮤지컬의 첫 덕목아닌가 싶기도 하고요. 살면서 가장 열심하 한게 마크 준비 였던거 같습니다.
1
글 잘 읽었습니다 라스트파이브이어스 캐스팅이 얼마전에 공개되었는데 좋지않은쪽으로 화제였습니다 (최재림배우가 오페라의유령 레미제라블을 겹치기 공연하고 있었는데 여기에 2인극인 라스트파이브이어스까지 삼치기를 한다고해서) 라.파.이는 내년 1월에 시작해서 4월초까지 공연합니다 (https://tickets.interpark.com/goods/23017574#)
다크초코
헐 3치기.. 대단하네요. 제가 배우라면 겹치기도 못할텐데;;;
전 지연 캐시가 궁금해서 라스타파이브이어스 고민 중....

이번에 올라오는 드라큘라 프로필사진이랑 페어컷들이 엉망진창인데 라.파.이는 포스터랑 페어컷 퀄이 너무 좋아서 개부럽습니다
1

이렇게 분위기있는 페어컷이라니
그나저나 공연중간에 기립박수는 본적이 없는데 인히즈아이즈가 얼마나 굉장했길래..정선아배우는 20년 넘게 주연을 하면서 가창력 연기력이 압도적이어야 하는 극들 여주는 거의 다 해왔는데 처음부터 주연으로 데뷔해서 20년 넘게 대극장뮤지컬 주연을 유지하면서 목소리가 예전같지 않다는 평이 나오지 않는 배우는 정선아배우와 조승우배우(올해 오페라의유령 초반에는 목상태가 안좋았지만) 정도가 아닐까 싶습니다
다크초코
빌리엘리어트는 열성 팬들이 공연 중간이더라도 꼬마가 춤 끝낼때마다 기립박수 치더라고요 ㅎㅎ 그 외에는 저도 본 적 없는 듯.
2-3층에선 커튼콜때 기립박수 치는 것도 눈치보이는 경우가 종종 있다는데 극중간이라니 놀라워요
1층 중열 앞쪽에서 그러더라고요. 어린 배우를 응원해주고 싶은 마음이었는지… (그게 막 싫고 그러진 않았음. 이상했을 뿐)
낭만주의
ㅎ 아니 두분 댓글ㅎㅎ

최재림배우 삼치기 듣긴 했습니다. 이게 되나… 라파이도 2월 이후에 온다고.
peaceful
저도 렌트 영화 보고 좋아서, 오리지널팀 내한 했을 때 봤어요.. 근데 자막 본다고 공연에 집중을 하기 어려워서 아쉬웠습니다.
얼마 전엔 Come from away를 영화화한 작품도 재밌게 봤습니다. 이것도 포스터가 보이던데, 한국어로 맛을 살릴 수 있을까 싶어서, 브로드웨이나 웨스트엔드에서 보고 싶네요.. 가능성은 거의 없겠지만 오리지널팀이 오게 된다면....!
낭만주의
ㅎㅎ 렌트 오리지널팀 내한 공연 보러간것도 기억나네요. 컴 프롬 어웨이도 애플 티비로 재미있게 봤습니다. 이 작품도 좀 뒤늦게 인정받는 느낌이라 오리지널 한번 올 수 있을거 같기도??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323 문화/예술천사소녀 네티 덕질 백서 - 8. 문화적 다양성 2 허락해주세요 25/03/17 417 6
15293 문화/예술한국문화콘텐츠의 두 수원지에 대하여 3 meson 25/03/01 731 4
15269 문화/예술[웹툰추천] 호붕빵 아저씨 3 오레오 25/02/15 665 4
15244 문화/예술어쩌면 서울 집중화가 한류를 만든건 아닐까 15 토비 25/02/02 1643 3
15197 문화/예술남한산성. 12 닭장군 25/01/08 1163 0
15154 문화/예술한국-민족-문화의 정체성에 대한 소고 meson 24/12/24 773 4
15097 문화/예술낡디 낡은 옛날 만화 이야기. <비트> 6 joel 24/12/06 821 11
15064 문화/예술아케인 시즌2 리뷰 - 스포 다량 1 kaestro 24/11/23 1145 2
14977 문화/예술이번 베니스 비엔날레에서 가장 역겨웠던 전시 1 당근매니아 24/10/13 1485 5
14936 문화/예술눈마새의 '다섯번째 선민종족'은 작중에 이미 등장했을지도 모른다. 6 당근매니아 24/09/22 1489 0
14824 문화/예술웹소설 연재를 시작하면서... 41 Profit 24/08/05 2602 29
14809 문화/예술"만화주제가"의 사람들 - 2. 세기말을 함께한 목소리들 3 허락해주세요 24/07/30 1268 2
14803 문화/예술[영상]"만화주제가"의 사람들 - 1. "천연색" 시절의 전설들 4 허락해주세요 24/07/24 1400 5
14609 문화/예술반항이 소멸하는 세상에서 가운데 손가락을 치켜세우는 소녀들 5 kaestro 24/04/20 2068 6
14576 문화/예술내가 바로 마법소녀의 목소리 - 성우로 보는 마법소녀 서포트벡터 24/04/03 2196 6
14566 문화/예술1분기 애니메이션 후기 - 아쉽지만 분발했다 12 kaestro 24/03/30 1758 2
14504 문화/예술이거 마법소녀 아니었어? 마법소녀가 "아닌" 작품들 10 서포트벡터 24/03/05 2368 8
14401 문화/예술천사소녀 네티 덕질 백서 - 7. 마술사의 옷장에는 10 서포트벡터 24/01/17 2828 6
14360 문화/예술커버 댄스 촬영 단계와 제가 커버 댄스를 찍는 이유. 6 메존일각 23/12/25 2419 15
14353 문화/예술굿즈가 기습발매된 29년 지난 만화책 6 서포트벡터 23/12/21 2330 2
14319 문화/예술위플래시 인 콘서트 - 설명서를 잘 읽어야 합니다 3 당근매니아 23/12/08 2018 0
14317 문화/예술평소 잘 안 하던 연기가 대표작 취급을 받는 성우들 6 서포트벡터 23/12/08 2610 9
14313 문화/예술15년전에 쓴 '뮤지컬을 좋아하는 세가지 방법' 22 낭만주의 23/12/06 2509 3
14301 문화/예술천사소녀 네티 덕질 백서 - 번외 "괴도 세인트 테일 걸즈" 리뷰 2 서포트벡터 23/12/01 2520 5
14109 문화/예술마법을 쓰면 다 마법소녀? 국내 방영 마법소녀물 하편 15 서포트벡터 23/08/16 3869 1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