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4/01/05 22:41:26수정됨
Name   매뉴물있뉴
Subject   구글에 암호를 모두 저장하는 습관
암호가 유출되는 일을 겪으신 분이 있다는 질게 글을 보고 생각나서 적읍니다.

저는 구글에다가 제 모든 암호를 저장하고 있읍니다.
그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일단은 구글은 그래도 뭔가 최소한의 보안 뭐시기 기술들을 갖추고 있을것이다 라는 신뢰입니다.

홍차넷을 예로 들어 말해보자면
기본적인 소양을 갖춘 프로그래머가 작성한 홈페이지라면
[암호를 암호화해서 보관]하게 되어있읍니다.
이것을 전문용어로 해시한다 라고 말합니다.
제 아이디가 dkdlel, 암호가 dkagh인데
dkdlel는 ID니까, 평문으로, 암호화하지 않고 저장하지만
dkagh를 암호화하지 않고 저장하게 되면
토비님이 제 아이디와 암호를 모두 아실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 그렇게 되면 토비님이 제 아이디와 암호를 몰래 보신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사이트 운영자와 회원간의 기본적인 신뢰가 깨지게 되겠죠.
사용자의 아이디와 비번을 무단으로 수집하신게 되니까요.
그래서 기본적인 소양을 갖춘 프로그래머가 작성한 홈페이지라면 암호를 평문으로 저장하지 않고
암호화(해시)를 해서 저장하게 되는데
MD5방법을 통해서 제 dkagh를 암호화하게 되면 E9CBAEBF48F60DF291946E26540FAABA가 되는데
(dkagh ===> MD5 ===> E9CBAEBF48F60DF291946E26540FAABA)
이 과정을 거친뒤 홍차넷 서버에는 dkagh가 아닌 E9CBAEBF48F60DF291946E26540FAABA가 저장되게 됩니다.

로그인을 할때는? 제가 dkdlel, dkagh를 입력하고
홍차넷 서버는 dkagh를 다시 MD5로 해시해서 E9CBAEBF48F60DF291946E26540FAABA를 얻은뒤에
회원가입할때 저장된 값(E9CBAEBF48F60DF291946E26540FAABA)과 비교해 보는 것입니다.
만약 제가 오타를 내서 dkagb라고 입력했다면 MD5해시하면 D813699E7D9AA9AE3A26A84E52F7C993가 나오게 되고
이 값은 저장된값과 다르므로 잘못된 암호가 입력되었음을 알수있고 그때는 로그인이 거부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제가 더 깊이 안들어가서 그렇지 사실은 이 해시과정도 무력화 할수 있는 여러 장치들이 있읍니다.
MD5방법으로 해시하는 것도 사실은 좀 보안이 허술하다고 할수 있는데
그 이유는 MD5해시는 너무 잘 알려진 해시 방법이라서 그렇읍니다.
보안을 제대로 하려면 알려지지 않은 해시 함수를 아예 하나 새로 짜서 하는것이 좋읍니다.
그런 제대로된 보안이 구글에는 있을것으로 막연히 기대하고 있읍니다.
구글은 세계에서 가장 비싼 소프트웨어 기업중 하나니까요.





아모튼 그렇기 때문에 구글에 암호를 몰빵해서 저장하고 있는 저는
이렇게 암호를 관리하고 있읍니다.

[1 대외용으로 사용하는 이메일과, 암호 관리용 지메일을 분리했읍니다.]
제 대외용 이메일은 karm*****@hotmail.com이고
암호 관리용 지메일 계정은 bjse****@gmail.com이읍니다.

karm*****@hotmail.com 계정은 윈도우즈 로그인 할때 사용하고
각종 사이트(홍차넷 포함)에서 이메일 주소를 요구할때 사용합니다.
대외용으로 사용하는 이메일은, 정말 누구나 알고 있읍니다.
카카오톡에 로그인할때 사용하는 이메일도 저 이메일 주소이고
네이버에 비밀번호 복구용 이메일 주소로 지정해놓은 주소도 저 이메일 주소이읍니다.
지마켓, 옥션, 쿠팡, 아마존, 넷플릭스, 사업 파트너 등등등등
제가 사용하는 모든 웹사이트들은, 제 이메일 주소를 karm*****@hotmail.com으로 알고 있읍니다.




[2 암호 관리용 지메일은 bjse****@gmail.com입니다.]
이 이메일 계정은 아무도 알지 못합니다.
카카오톡, 네이버, 지마켓 옥션 아무데서도 이 지메일 계정은 모릅니다.
오로지 저, 제 친 남동생, 가족들, 전여친들 정도만 알고있읍니다.

제가 암호를 몰빵한 지메일 계정 자체가 누구에게도 노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해킹당할 위험이 매우 적읍니다.
(저 지메일 계정으로는 심지어는 스팸메일도 안날아옵니다. :)

이 지메일 계정은 딱 세군데에 자동 로그인이 걸려있읍니다.
제 집에서 사용하는 본체컴퓨터
업무용으로 사용하는 노트북
그리고 제 핸드폰 세군데 입니다.

컴퓨터 / 노트북 / 핸드폰 모두 제가 5분이상 사용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잠깁니다.
이 컴퓨터들은 모두 암호를 입력하든, 패턴을 입력하든 해야 사용할수 있읍니다.



[3 저는 모든 웹사이트에서 구글 크롬이 '랜덤으로 생성해준 암호'를 사용합니다.]
예를들어, 제가 11번가에서 사용중인 암호는 Prvuu4j7aQ8bZEt 입니다.
저는 저 암호를 절대 기억하지 못합니다.
하지만 암호를 기억하지 못해도 괜찮읍니다.
왜냐하면 모든 암호는 구글이 기억해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제 핸드폰이나, 제 컴퓨터는 어차피 항상 암호가 걸려있으니
누가 제 컴퓨터를 제 허락없이 무단으로 사용할일이 거의 없어서 큰 문제가 없을뿐 아니라
누가 어쩌다가 얼핏 제 암호가 스크린에 노출된것을 본다해도
암호가 Prvuu4j7aQ8bZEt 같은 식으로 되어있으니 어쩌다 한번 보더라도 외울수가 없읍니다.



[4] 모든 웹사이트에서 랜덤 암호를 사용하기 때문에 얻는 또다른 장점은
[아이디를 타인과 공유할때 부담이 현저하게 줄어들었다는 것입니다.]
저는 지금 제 스포티비 계정을 제 동생과 공유하고 있는데
제 동생에게 스포티비 계정과 비번을 알려주는데 아무 부담이 없읍니다.
암호가 Prvuu4j7aQ8bZEt 요런 식이니까요.
모든 사이트에 암호가 다르기 때문에 동생에게 스포티비 계정의 암호를 알려줘도
딱 그 계정의 암호만 알려준것이 되읍니다.
다른 사이트의 암호들은 동생에게 전혀 노출되지 않을수 있었읍니다.
이전의 저라면 스포티비 암호가 핫메일, 지메일, 넷플릭스 할것없이 모두 같은 암호였을 것이기 때문에
스포티비 암호만 다른 것으로 변경한뒤에 동생에게 알려줘야했고
또 그 바뀐 암호를 잊지않고 기억하고 있어야 했읍니다. 매우 번거로웠읍니다.




[5] 물론 모든 사이트의 암호를 모두 다 구글보고 입력하라고하고 나는 딸깍, 만 시전할수는 없읍니다.
예를들어 카카오톡 데스크탑의 경우는 컴퓨터를 재부팅할때마다 암호를 매번 수동으로 입력해줘야하고
이 암호는 구글이 대신 입력해줄수 없읍니다.
게다가 구글이 생성해주는 랜덤 암호들은 Prvuu4j7aQ8bZEt 요런식이라
외우기가 어렵고 타이핑하기도 어렵읍니다.
그래서 [세개의 암호는 외워야 합니다.]
bjse****@gmail.com 의 암호 (모든 암호가 몰빵된 암호)
karm*****@hotmail.com 의 암호 (윈도우즈에 로그인할때도 같은 암호를 사용)
그리고 카카오톡 비밀번호, 이 세가지 임미다.



[6 구글이 털리면 ㅈ되는거 아닌가?]
네 그렇읍니다. 물론 구글이 털리면 저는 아마 모든 사이트의 암호를 바꿔야 할겁니다.
하지만 이 방법이 훨씬 부담이 적은 이유는
예전에는 페이스북 한군데만 털려도
구글 / 카카오 / 핫메일 / 킹차넷 암호를 같이 바꿔야 했지만
이제는 페이스북이 털려도, 페이스북 암호 한개만 바꾸면 됩니다.



[7] 그리고 이게 제일 큰 장점인데
[우리는 사실 모든 사이트에 같은 암호 한개 사용할수가 없읍니다.]

어떤 사이트는 암호를 꼭 9~16자리로 만들어야 합니다.
어떤 사이트는 암호를 8~15자리로 만들라고 합니다.
어떤 사이트는 암호에 특수문자, 숫자, 소문자, 대문자 중 세개를 꼭 사용하라고 합니다.
어떤 사이트는 암호에 대문자 한개 이상을 포함하라고 합니다.
어떤 사이트는 암호에 대소문자를 섞어 쓰지 말라고 합니다.
어떤 사이트는 암호에 특수문자를 넣으면 안된다고 합니다.

시발 뭘 어쩌란 말이냐......

그래서 매번 사이트에서 암호가 틀리다고 하면 고민을 합니다.
'여기 암호 끝자리에 1를 넣었던가? [dkagh1]'
'여기는 암호 끝에 1!를 넣었던가? [dkagh1!]'
'어 이것도 아닌가 그럼 [1A]를 넣었던가? [dkagh1A]'
'아 씌, 또 틀렸네, 그럼 아무것도 안넣었던가? [dkagh]'
'아 ㅈ되겠다. 5번 틀리면 안되는데... !가 A보다 앞에 오나?[1!A]인가? [dkagh1!A]'

아 5번 틀렸다..... 비밀번호 재설정 해야겠다.
다음에는 안잊어버리게 [dkagh1!]로 해야지 하고 입력했더니
시스템 메세지 : [특수문자 !는 사용하실수 없습니다.]
그 메세지를 보면 이제 기억이 남미다. 아 시발 [dkagh1!]가 아니고 [dkagh2@]였다. 맞다 기억나따 ㅅㅂ......





물론 이 방법이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A] 일단 '[모든 사이트의 비번을 한군데에 몰빵한다'는 것이 불안]할수 있읍니다.
하지만 모든 사이트의 비번을 한군데에 몰빵하는게
모든 사이트의 비번을 같은걸 쓰는 것보다는 나은 방법이다는게 제 결론이었읍니다. (6번 문단 참조)

그리고 두번째 불편함은 [B] 데스크탑의 [스팀 클라이언트, 디스코드 같은걸 로그인 할때]
구글 크롬의 비밀번호 관리자에 다시 접속해서 암호를 직접 조회해보고 붙여넣어야 합니다.
하지만 그냥 '비밀번호를 적어놓는 에버노트다'하고 생각하기로 했읍니다...

세번째 불편함은 [C] 구글 크롬을 사용해서 웹사이트에 접속할때는 편하지만
[핸드폰(안드로이드)으로 옥션이나 쿠팡에 로그인 할때는 저장된 암호가 자동으로 팝업뜨지 않을때]가 있읍니다.
그럴때는 핸드폰으로 구글크롬을 켜고 그안에 비밀번호 관리자를 들어가서 그다음에 웹사이트 주소로 검색을 해보고 그다음에 암호를 복사해와야하고 그다음에 붙여넣기를 해야하고
하는 불편함이 조금은 있읍니다.
하지만 이 불편함은 7번문단의 귀찮음 보다는 훨씬 괜찮은 종류의 불편함이었읍니다.
'비밀번호 재설정하기'하면서 막 무슨
이름 / 전번 / 중간에 취소선이 그어져있는 다섯자리의 숫자 읽기 / 핸드폰으로 온 여섯자리의 숫자를 입력하기 보다는
구글크롬의 비밀번호관리자 접속이 편리했읍니다.

네번째 불편함은 [D] [남에게 설명(혹은 자랑질)이 어렵다]는 것입니다.
저는 사실 되게 편합니다. 그리고 이 방법이 만족스럽고요.
근데 남에게 이게 얼마나 편한지 설명하기가 좀 불편합니다.
타인과 만날때는 보통 핸드폰 하나만 달랑 들고 만나는데
누구나 핸드폰은 '자동로그인 상태'로 사용합니다.
그래서 핸드폰을 들고 '봐봐, 이거 진짜 편하겠지?'를 시연하기가 어렵읍니다.

이 기능이 사실 진가를 발휘할때는
[자주 안쓰던 해피포인트를 몇달만에 쓰려고 앱을 켰는데 로그인이 풀려있을때] 입니다.
암호를 기억하려고 애쓰지 않아도 자동 입력이 되니까 편합니다.
근데 내가 암호를 일일이 타이핑 하지않고 자동 입력이 되는광경을
상대방이 두눈을 말똥말똥 뜨고 내가 비밀번호를 타이핑 하는것을 매우 집중해서 보는것은
사실 대단한 실례로 여겨지기 때문에
타인에게 이 편리함을 은근슬쩍 흘리며 홍보하기가 쉽지 않읍니다.

진가를 발휘하는 또 다른 때는 데탑에서 옥션 / 지마켓 / 쿠팡 로그인할때 인데
그런건 보통 집에서 하니까 혼자 잇을때인 경우가 많고
만약 회사에서 옥션/ 지마켓 같은걸 로그인 한다 해도
이건 역시 월?루중이니까 역시 타인에게
'나의 이 쿨한 기능을 목도하고 어서 나에게 감탄과 칭찬을 늘어놓거라'
를 시전할수 없었을것 같읍니다... ㅋㅋㅋㅋㅋ



와 씌 이게 뭐라고 벌써 4300자여.......
이만 줄이겠읍니다.



1
  • 가... 감탄과 칭찬!


산타는옴닉
Eagle보고 구글 숏 치러 갑니다
2
매뉴물있뉴
앗 지금이 숏 타이밍입니까?! 그럼 전 애플 사겠읍니다!
저는 그냥 제꺼 털어가라고 하겠습니다.....

실제로 오프라인에서도 제 차 리모컨 키가 배터리가 나가서 지금 2년째 차 문을 잠그지 않고 다니고 있습니다...가져가려면 걍 가져가라...
8
Cascade
카카오톡 패치되서 이제 비번 안써도 되는데
매뉴물있뉴
앗! 이건 몰랐는데! (신난다)

G스프레드에다가 아이디, 비번을 싹다 적어놓긴 합니다만, 스프레드 문서가 털릴 경우를 감안해서 중요한 사이트의 경우에는 비번을 직접 적는 대신 ˚내가 자주쓰는 10글자비번˚같은 식으로 암호화해서 적어놓기도 합니다. 중간중간을 *로 적기도 하구요.
매뉴물있뉴
저 이방법 시도해 봤었는데,
저는 암호를 다섯번 틀리기 전에 저 스프레드시트의 존재를 기억해내지 못하더라고요.......... ㅋㅋㅋㅋㅋ
2
카라멜마끼아또
마소, 애플에 저장하고 키패스도 따로 쓰는.. 저는 되는대로 쓴다에 가깝네요. 생성 비번은 공유할 때만 쓰고.. 한번도 털린 적이 없어서 가능한 것 같기도 합니다.
매뉴물있뉴
키패스라는 물건이 있었군요 +_+ 아예 오프라인에 암호를 보관하는... 처음 보았읍니다.
지금 제가 사용하고 있는 방법은 굉장히 위험한 방법이라고 자각하고 있기는 한데... 모르겠네요. 언제 한번 수를 쓰긴 해야 하는데, 아직까진 털린다고 하더라도 해킹범이 가져갈 경제적 이익이 딱히 없을거라 ㅋㅋㅋ

그래도 예전에 페이스북이랑 네이버 털리니까 소름이 쫙 돋긴 했어요. 뭔가 수를 쓰긴 해야 하는데...
매뉴물있뉴
암호를 어떻게 잘 보관하는지에 대해 딱히 왕도가 있는지 모르겠읍니다.
저 같은 경우는 사실 보안을 크게 신경썼다기 보다는 어찌보면 쉬운길을 계속 찾아온것에 가깝읍니다.
킹실상 '한개의 암호라고 해서 항상 기억할수 있는것은 아니다'라는
7번문단의 문제점을 해결하려고 두리번 대다가 이 방법으로 오게 된것
저는 비밀번호 앱을 씁니다
제 폰에 클라우드가 아닌 로컬 형태로만 저장하고, 자동입력은 지양하려고 합니다
매뉴물있뉴
오옹... 어떤 앱 쓰십니까? (궁금)
유료로도 좋은 앱이 많지만
무료 중에서는 keepass나 bitwarden 추천드립니다
2
매뉴물있뉴
키패쓰 쓰는 분이 또 계시군요. 유우명한 프로그램인가? (솔깃)
kaestro
저도 비밀번호는 자동입력 및 자동생성, ID도 거의 쓰지 않을 것은 자동생성에 맡긴지 오래됐습니다.
뭐 구글 저장 기능이 아니더라도 인증하고 찾는게 워낙 쉬워져서 굳이 내가 자주 쓰는 습관 같은걸 남길 필요가 없다 생각해서요
매뉴물있뉴
아...? 아이디도 맡겨버릴수있겠군요? (솔깃)
사이시옷
lastpass 몇년째 삽니다
매뉴물있뉴
그건 유료 암호프로그램 인가요? 써보시니 어떠하셧읍니까
사이시옷
마음으 평화를 느끼고 있습니다. 다른 걸로 바꿀 생각 없읍니다.
Beer Inside
나는 잊어 먹어서 못 들어가고, 해킹범은 자유롭게 들어 갈 수 있는 비밀번호 과연 필요한지?
1
매뉴물있뉴
홍채인식이 답이다! 홍차넷은 홍채인식!
홍차ㅣ인식?
1
애플정답지베끼기
저는 애플 키체인에 모든 암호를 저장해두고 있습니다
그리고 저도 아이클라우드 비밀번호 딱 하나만 기억하고 나머지 사이트 비밀번호는 키체인이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강력한 암호를 사용하고 있어요
아이폰-맥-아이패드를 사용하고 윈도우나 안드로이드는 사용하지 않고 있어서 이렇게 생활하고 있네요
아이폰, 맥, 아이패드 간의 키체인 암호 연동이 너무 편리하고요
매뉴물있뉴
그르니까요 기기간 연동성 못잃어.....
저는 기본 비밀번호에 사이트별로 일정한 공식에 따라 몇 글자를 첨가해서 사이트별로 다른 암호를 씁니다
그래도 어디는 8자 이상 어디는 대문자 필수 어디는 특문 불가 하는 식으로 따로 노는 건 답이 없더라구요
그래서 그냥 가끔 쓰지만 중요하면서 맨날 틀리는 건 아예 아이폰 메모(아이클라우드 백업까지 돼버리는)에 적어놨습니다 ㅋㅋㅋㅋㅋㅋ 저는 애플을 믿는 셈이겠네요
매뉴물있뉴
ㅋㅋ 다들 뭔가 하나씩은 대책이 있으심 ㅋㅋ
집빈남
제일 좋은 거는 (물론 번거로울 순 있지만) 계란을 여러판에 나눠담는 것입니다
별로 중요하지 않은 조그만 잡다한 웹사이트들에는 구글 자동 비번이나 비밀번호 저장을 넣고 (이 때엔 비번 생성하는 것이 좋겠네요)
대기업 웹사이트 들에는 자신이 주로 쓰는 비번을 쓰고. 어차피 항상 쓰는 거는 몇가지 기업꺼밖에 없는 것 같으니. (비번을 어느정도 통일 해야겠죠 이럴 때엔). 저는 아이디가 사이트별 조금씩 달라서 모두 뚫리기는 어렵습니다.
매뉴물있뉴
ㅋㅋㅋ 아이디를 사이트별로 다르게 하는건 사실 요번에 처음 들었읍니다 ㅋㅋㅋ 상상하지 못했던 방법
집빈남
ㅋㅋㅋ 조금씩 변경하는 것이죠
어제내린비
저는 비밀번호 5종을 머리속으로 기억해서 씁니다.
아시다시피 사이트마다 비밀번호 조건이 달라서 비밀번호 5종을 그냥 쓰지 못하고 조금씩 변형해서 쓰는데..
어디는 글자수가 몇자 이내여야 하고.. 어디는 글자수가 몇자 이상이어야 하고.. 어디는 영문, 숫자, 특수문자가 반드시 한자 이상 포함이어야 하고.. 어디는 대소문자도 반드시 하나이상 포함이어야 하고..
비밀번호 조합해서 만드는것도 일인데..
비밀번호 만들때는 조건이 보이는데.. 로그인 할때는 조건이 따로 나오지 않으니까..
사이트마다의 비밀번호 조건을 다 못 외워서 비... 더 보기
저는 비밀번호 5종을 머리속으로 기억해서 씁니다.
아시다시피 사이트마다 비밀번호 조건이 달라서 비밀번호 5종을 그냥 쓰지 못하고 조금씩 변형해서 쓰는데..
어디는 글자수가 몇자 이내여야 하고.. 어디는 글자수가 몇자 이상이어야 하고.. 어디는 영문, 숫자, 특수문자가 반드시 한자 이상 포함이어야 하고.. 어디는 대소문자도 반드시 하나이상 포함이어야 하고..
비밀번호 조합해서 만드는것도 일인데..
비밀번호 만들때는 조건이 보이는데.. 로그인 할때는 조건이 따로 나오지 않으니까..
사이트마다의 비밀번호 조건을 다 못 외워서 비밀번호 찾기를 해야하는경우가 정말 짜증나요.
로그인할때도 비밀번호 조건이 보이면 '아 여기는 내가 이렇게 만들었겠구나' 하고 추측할 수 있을텐데..
매뉴물있뉴
저는 끝에 1을 넣다가 나중에는 1!를 넣다가 나중에는 1A를 넣다가 하다보니 결국은 2@에서 포기했읍니다 히히
타는저녁놀
저는 모든 사이트를 다 다르게 씁니다. 기본형 비밀번호에 사이트 이름을 애너그램으로 바꿔서 특정 위치에 끼워넣어요.
개별 사이트는 털릴 수 있어도 그거 털어도 다른 사이트는 못 텁니다.
아마 힌트 없으면 제거 비번 20개 정도 띄워놔도 규칙 못 찾을 겁니다.
암호 해독 전문가라도 붙으면야 쉽게 찾겠지만 그렇게까지 투자한다면 뭐 어쩔 수 없는 일이고..
위치도 랜덤으로 바꾸는 규칙을 만들어볼까도 싶은데 그러면 사이트 비번을 싹 다 바꿔야 하고.. 제 거를 그렇게까지 해서라도 털어가고 싶어하는 사람이 있다면 털려주는 게 인지상정이니 지금 정도의 보안에 만족하려고 합니다.
매뉴물있뉴
저 그거도 사실 시도해봤는데 제가 그 규칙을 나중에 기억 못해서 포기했읍니다 ㅋㅋㅋ
제가 아는 분은 아예 공책에다가 각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써두시던데 원시적인(?) 방법이지만 이것도 꽤 괜찮은 것 같습니다. 집에 도둑이 들 확률 보다는 해커에게 컴퓨터가 털릴 확률이 훨씬 높겠지요.
1
매뉴물있뉴
만약 모든 사이트의 암호가 같지 않다는 전제하에서는
그게 베스트가 아닐까 싶은 생각도 듭니다. 클클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289 IT/컴퓨터클로드 3.7에게 소설을 맡겨보았다 - 물망초의 기억 유하 25/03/01 629 3
15236 IT/컴퓨터결국 구입해버린 저지연코덱 지원 헤드셋 8 야얌 25/01/27 889 0
15210 IT/컴퓨터금융인증서와 공동인증서 4 달씨 25/01/15 2538 0
15188 IT/컴퓨터인공지능 시대,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말빨" 4 T.Robin 25/01/05 1096 7
15157 IT/컴퓨터AI가 점점 무서워지고 있습니다. 7 제그리드 24/12/26 1210 0
15125 IT/컴퓨터모니터 대신 메타 퀘스트3 VR 써보기(업데이트) 10 바쿠 24/12/12 1647 5
15081 IT/컴퓨터분류를 잘하면 중간은 간다..? 닭장군 24/12/01 924 5
15032 IT/컴퓨터추천 버튼을 누르면 어떻게 되나 13 토비 24/11/08 1300 35
15010 IT/컴퓨터[마감] 애플원(아이클라우드 + 애플뮤직+...) + 아이클라우드 2TB 파티원 모집 중! (6/6) 20 아란 24/10/30 1342 0
14885 IT/컴퓨터도시의 심연 (서울 싱크홀 모티브의 창작소설) 1 타는저녁놀 24/09/01 1053 1
14871 IT/컴퓨터호텔방 카드키의 사실상 표준인 mifare에서 하드웨어적 백도어 발견 7 보리건빵 24/08/27 1678 0
14867 IT/컴퓨터카드사 스크래핑을 해볼까? 3 삼성그룹 24/08/26 1534 5
14769 IT/컴퓨터독한 랜섬웨어에 걸렸습니다 5 블리츠 24/07/02 1690 0
14737 IT/컴퓨터애플의 쓸대없는 고집에서 시작된 아이패드 계산기 업데이트 8 Leeka 24/06/11 2477 0
14734 IT/컴퓨터인공지능과 개발자 12 제그리드 24/06/10 1988 5
14680 IT/컴퓨터Life hack : 내가 사용하는 도구들 2 Jargon 24/05/14 1873 5
14676 IT/컴퓨터BING AI 에서 노래도 만들어주네요.. 3 soulless 24/05/14 1273 0
14670 IT/컴퓨터인체공학을 염두에 둔 내 pc용 책상 세팅(1) 23 kaestro 24/05/12 1690 2
14622 IT/컴퓨터5년후 2029년의 애플과 구글 3 아침커피 24/04/25 1775 1
14614 IT/컴퓨터re: 제로부터 시작하는 기술 블로그(1) 2 kaestro 24/04/22 1512 1
14473 IT/컴퓨터유부남의 몰래 [PC처분]-판매완료 17 방사능홍차 24/02/20 3403 0
14442 IT/컴퓨터천원돌파 의존성 역전 17 kaestro 24/02/08 4113 1
14422 IT/컴퓨터의존성 역전 패턴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설계 개선(1~3) 30 kaestro 24/01/30 2543 0
14383 IT/컴퓨터구글에 암호를 모두 저장하는 습관 36 매뉴물있뉴 24/01/05 3498 1
14259 IT/컴퓨터잠시 마법세계 다녀오겠습니다?? 1 큐리스 23/11/06 2775 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