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4/05/21 13:46:08 |
Name | 하얀 |
Subject | '아포칼립스에 집을 숨김' 소설 속 인터넷 커뮤니티 활동 |
생존주의에 관심이 많아 웹소설 '아포칼립스에 집을 숨김(이하 아집숨)'을 읽고 있는데 이게 읽다보니 생존주의고 헌터물이고 뭐고 그냥 인터넷 커뮤 이야기입니다. 세상이 멸망하고 무정부상태가 된 상황에서 준비한 방공호에 들어가 있으니 위성통신을 통한 커뮤생활만이 생활의 주가 되버어린 주인공 이 소설에 부제를 붙인다면 '인터넷 커뮤니티에 대한 소고' 쯤 될려나요. 아마 작가의 의도는 커뮤에서의 찌질함과 현실에서의 강한 멋짐을 대비(?) 시키는 반전매력인건가 싶기도 한데, 주인공의 커뮤 생활이 넘 좀 그래서(...) 이게 보통인가 아니겠지 약간 충격 상태입니다. 아무래도 제가 커뮤에 대한 깊이있는 고찰(?) 해본 적 없는 유저라 그런건지 아우...이게 넘...읽고 있자니 커뮤가 조금 다르게 보이기도 합니다. (저만 그런게 아닌 듯 소설 반응보니 이거 다중인격물이냐고 하고, 제발 주인공 몸에서 주인공의 커뮤 아이디보고 나가달라 하고) 제게 아집숨을 읽기 전과 후, 까먹을 수가 없어서 커뮤를 보는 시선이 달라지게 된 내용을 몇가지 살펴보면 1. 게시글 대 댓글비 소설 속에서 어떤 유저가 누구인지 파악하려 할 때 '게시글 대 댓글비'를 가져다 분석하는 내용이 있네요. 보통 게시글 대비 댓글이 1:4 이상이면 소통을 하려하는 보통 유저(뒤에 가면 주인공은 스스로 자평하길 1:5로 호감유저의 비율을 유지하고 있다 이런 묘사도 나오고), 게시글 대비 댓글 1:1 부터는 소통보다는 자기 이야기만 하는 유저로 약간 위험(? 몇화 인지 찾기 어려워 정확한 묘사가 기억안나는데) 이런식의 이야기가 나옵니다. 소설 중 분석대상인 어떤 유저는 20:1이라는 말도 안되는 댓글비로 자기 할 말만 하고 소통을 두려워하거나 거부하는 상황이었습니다. 여기서 갑자기 예전에 홍차넷 글 랭킹이 생각나서 찾아보니(https://redtea.kr/lab/act/), 게시글 순위는 있는데 댓글수는 랭킹으로 제공되지 않고 각 회원정보를 봐야하는군요. 이 글을 쓰기 전 제 회원정보에 있는 활동상활을 보면 '작성글수 : 2720, 댓글 : 12039'이며 게시글 대 댓글비 1:4.4 로 '소설 기준' 소통 양호한(?) 수준으로 보입니다. (아...다...다행?) 2. 네임드 집착 네임드 되기위해 게시글 신경쓰고, 댓글수 신경쓰고, 다른 유저랑 비교하고... 이 웹소설을 읽을수록 다른 커뮤에서 본 글과 흐름들이 단순하게 보이지가 않습니다. 설마...싶기도 하고 약간 개안한 느낌인데 뭔가 숭함. 글 올리고 "자 어떠냐 나의 멋진 글이, 어서 반응해라~!" 이런 식의 캐릭터가 많은건 아니겠죠. 진짜 네임드 부심(??!!)이란게 있는걸까요. 아니 게시판에서 네임드해서 뭐해... (대형 커뮤인 더.쿠나 펨.코는 워낙 익명베이스이고 여기서 느낀 적은 없지만 규모가 작은 다른 곳에서는 컨셉글, 어그로글을 본 적이 있어서...어그로글은 또 다른거 같긴한데) 3. 완장 욕심, 다중이 놀이 게시판 관리자에 대하서 저를 비롯한 일반 유저들은 '고생하시는 감사한 분들'이라는 생각이 기본일거 같은데, 이게 아포칼립스 상황이라 그런지 소설 주인공은 완장이라는 것에 욕심을 냅니다. 기능은 게시글 삭제, 추전글 지정 뭐 이 정도인데... 이 완장을 위해 더미 계정을 통한 투표 조작을 서슴지 않고, 운영자와의 친분을 유지하며 특별 취급(?)을 받기를 원합니다. 게다가 다른 유저가 더 네임드일 경우 질시하기도 하고요. 근데 그 질시의 대상이 되는게 뭐 별거 아니라 아이디 옆에 뭐 달아주고, 1:1 대화할 때 'OO님의 메시지'가 아니라 'OO님의 [특별]한 메시지'로 표기되는 이 정도? 나중에는 '다중 아이디'를 통한 댓글 싸움을 통해 주목받는 게시글 조작도 하고 (뭐 관심을 끌어야 하는 나름의 이유가 있었지만) 갈수록 커뮤에서의 활동이 목불안견이라 회차가 거듭될수록 읽기가 두렵습니다. (이 와중에 간간히 현실에서 몬스터 싸움 같은거 있으면 레전드라는 설정대로 멋짐) 4. 직장(직업) 명시 커뮤 누가봐도 '블라인드'를 패러디한 '블라인더'라는 커뮤도 나오는데 여기서 일침놀이하는 '의사' 등 특수 직종에 대한 묘사가 그대로 나옵니다. '무직(실제 블라인드에서의 '새회사'에 대응)'이면 심심하다 저녁 뭐 먹는다 뻘글에 아무 댓글이 안 달리지만, '의사'면 댓글이 우수수 달리는 그런 상황이 나옵니다. 실제 블라인드도 그런 면이 있죠ㅋㅋㅋ 닉네임은 중요하지 않고 직장과 직업만이 중요한 그 커뮤니티는 소위 세상이 멸망을 해도 살아남았는데, 아집숨 소설 밖 여기 리얼월드에선 이 커뮤니티가 몇년 후 어케될지 문득 궁금해졌습니다. 그 외에 블루 아카이브를 패러디한 것 같은 '레드 아카이브' 게시판이나 '비틱질' 에 대한 내용도 나오는데 이 부분은 제가 리얼월드에서도 잘 몰라서 패스... 도대체 이 작가님은 멸망물을 쓰고 싶었던 것인가, 인터넷 커뮤 천태만상을 쓰고 싶었던 것일까. 제가 제목만 보고 상상한 멸망기에 살아님기 위하여 필요한 물품, 기술, 상황에 대한 내용도 있지만 읽으면 읽을수록 작가가 살아오며 십년 넘게 겪은(그 정도 내공은 되어보임. 아집숨이 작가의 열번째 정도되는 작품이라는데 어쩌면 커뮤경력이 더 될 수도?) 커뮤니티 생활의 정수를 풀어놓기 위함이 아닐까...왜 점점 소설속 현실에서의 다가올 지구의 최종 멸망을 막기 위한 싸움보다 소설속 커뮤에서 또 어떤 짓을 할까 두려워지는지 알 수가 없습니다(...) 3
이 게시판에 등록된 하얀님의 최근 게시물
|
제가 대형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은 잘 모릅니다만, 모든 온라인 커뮤니티라기보다는 DC인사이드 등으로 대표되는 대형 온라인 커뮤니티나 그 맥을 이은 곳들의 특징(?)이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소형이나 대형이나 비슷한 부분도 있겠고, 커뮤니티별 차이도 있겠습니다만. 홍차넷 하다가 잘 모르는 것이 언급되어서 찾아보면 대부분 DC인사이드 등의 밈, 드립, 지나간 유행 같은 경우일 때가 많더라구요.
디시인사이드
https://namu.wiki/w/%EB%94%94%EC%8B%9C%EC%9D%B8%EC%82%AC%EC%9D%B4%EB%93%9C
디시인사이드
https://namu.wiki/w/%EB%94%94%EC%8B%9C%EC%9D%B8%EC%82%AC%EC%9D%B4%EB%93%9C
DC는 원래부터 없는 게시판이 없다는 공룡같이 큰 사이트였는데 최근인 20년부터 23년까지도 실사용자가 꾸준히 증가하는 대단한 사이트였군요. 게시판마다 분위기가 천차만별인건 알고 있습니다만 지금까지도 이렇게 거대한 사이트인지는 몰랐어요.
소설 속에서 주인공이 활동하는 닉네임 기반 다소 폐쇄적인 위성통신 커뮤니티 외 일반 인터넷 기반 커뮤니티(소설속 이름 페일넷)도 나오는데 거기에서는 특정 닉네임 없이 'ㅇㅇ' 이런 닉네임으로 글쓰는 설정이 DC를 오마쥬 한거 같네요.
소설 속에서 주인공이 활동하는 닉네임 기반 다소 폐쇄적인 위성통신 커뮤니티 외 일반 인터넷 기반 커뮤니티(소설속 이름 페일넷)도 나오는데 거기에서는 특정 닉네임 없이 'ㅇㅇ' 이런 닉네임으로 글쓰는 설정이 DC를 오마쥬 한거 같네요.
( 하얀 궁금 ) 도대체 이 ( ) 는 작가의 독창적 창작인지 진짜 이러는 분이 간간히 있던건지 모르겠습니다. 전 거기까지 못 갈 거 같아요. 점점 주인공의 커뮤 활동 보기가 힘들어요ㅋㅋㅋㅋ
(복검이 월도) 아포칼립스라는 구조가 커뮤니티 기반으로 서사 전개하기에 적합하단 생각이 들더라고요.
결국 플롯은 인물 사건 배경을 어떻게 조직할 거냐인데
커뮤니티라는 '누구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있는' 배경을 설정해두고서 거기에서 출현하는 인물들과 사건들을 현실과 연결 짓는 식으로 하니
새로운 인물을 삽입하기도 좋고, 사건의 전개를 짜기에도 용이하고, 그 인물들과 사건들을 어떤 공간에서 전개시킬지 별도의 고민 안 해도 되고.
어떤 면에서 커뮤니티에서는 그야말로 '모든 인간이 모든 일'을 벌이니까요.
중간 중간 아포칼립스의 ... 더 보기
결국 플롯은 인물 사건 배경을 어떻게 조직할 거냐인데
커뮤니티라는 '누구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있는' 배경을 설정해두고서 거기에서 출현하는 인물들과 사건들을 현실과 연결 짓는 식으로 하니
새로운 인물을 삽입하기도 좋고, 사건의 전개를 짜기에도 용이하고, 그 인물들과 사건들을 어떤 공간에서 전개시킬지 별도의 고민 안 해도 되고.
어떤 면에서 커뮤니티에서는 그야말로 '모든 인간이 모든 일'을 벌이니까요.
중간 중간 아포칼립스의 ... 더 보기
(복검이 월도) 아포칼립스라는 구조가 커뮤니티 기반으로 서사 전개하기에 적합하단 생각이 들더라고요.
결국 플롯은 인물 사건 배경을 어떻게 조직할 거냐인데
커뮤니티라는 '누구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있는' 배경을 설정해두고서 거기에서 출현하는 인물들과 사건들을 현실과 연결 짓는 식으로 하니
새로운 인물을 삽입하기도 좋고, 사건의 전개를 짜기에도 용이하고, 그 인물들과 사건들을 어떤 공간에서 전개시킬지 별도의 고민 안 해도 되고.
어떤 면에서 커뮤니티에서는 그야말로 '모든 인간이 모든 일'을 벌이니까요.
중간 중간 아포칼립스의 생활상의 변화를 커뮤니티 인물들의 변모와 등치시키는 묘사도 좋더라고요.
가령 유통기한이 지난 폐라면을 보면서 존내논의 말로를 떠올린다든지.
덧없는 군상극이라는 점에서 아포칼립스와 커뮤니티가 겹쳐지는 부분이 있죠.
결국 플롯은 인물 사건 배경을 어떻게 조직할 거냐인데
커뮤니티라는 '누구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있는' 배경을 설정해두고서 거기에서 출현하는 인물들과 사건들을 현실과 연결 짓는 식으로 하니
새로운 인물을 삽입하기도 좋고, 사건의 전개를 짜기에도 용이하고, 그 인물들과 사건들을 어떤 공간에서 전개시킬지 별도의 고민 안 해도 되고.
어떤 면에서 커뮤니티에서는 그야말로 '모든 인간이 모든 일'을 벌이니까요.
중간 중간 아포칼립스의 생활상의 변화를 커뮤니티 인물들의 변모와 등치시키는 묘사도 좋더라고요.
가령 유통기한이 지난 폐라면을 보면서 존내논의 말로를 떠올린다든지.
덧없는 군상극이라는 점에서 아포칼립스와 커뮤니티가 겹쳐지는 부분이 있죠.
말씀하신 부분 포함 여러 설정이 좋은 소설이라 생각해요. 저 같이 웹소설 안 보던 사람도 소재가 궁금해서 찾아봤으니까요.
결국 이 소설의 장르는 몬스터와 싸우는 헌터물인데도 아포칼립스 상황에서의 생존방식, 커뮤니티 활동으로 다양한 이야기로 뻗어 나갈 수 있고, '멜론 마스크' 같은 현실 속 캐릭터를 적절하게 변형한 캐릭터를 등장시켜 오히려 그럴듯하게 재미있단 말이죠.
웹소설은 하도 사이다패스를 추구한다고 해서
1. 이런 다양한 캐릭터와 이야기가 나오는 옴니버스식 에피소드의 템포에 독자들이 괜찮나?
2. 주인공이 ... 더 보기
결국 이 소설의 장르는 몬스터와 싸우는 헌터물인데도 아포칼립스 상황에서의 생존방식, 커뮤니티 활동으로 다양한 이야기로 뻗어 나갈 수 있고, '멜론 마스크' 같은 현실 속 캐릭터를 적절하게 변형한 캐릭터를 등장시켜 오히려 그럴듯하게 재미있단 말이죠.
웹소설은 하도 사이다패스를 추구한다고 해서
1. 이런 다양한 캐릭터와 이야기가 나오는 옴니버스식 에피소드의 템포에 독자들이 괜찮나?
2. 주인공이 ... 더 보기
말씀하신 부분 포함 여러 설정이 좋은 소설이라 생각해요. 저 같이 웹소설 안 보던 사람도 소재가 궁금해서 찾아봤으니까요.
결국 이 소설의 장르는 몬스터와 싸우는 헌터물인데도 아포칼립스 상황에서의 생존방식, 커뮤니티 활동으로 다양한 이야기로 뻗어 나갈 수 있고, '멜론 마스크' 같은 현실 속 캐릭터를 적절하게 변형한 캐릭터를 등장시켜 오히려 그럴듯하게 재미있단 말이죠.
웹소설은 하도 사이다패스를 추구한다고 해서
1. 이런 다양한 캐릭터와 이야기가 나오는 옴니버스식 에피소드의 템포에 독자들이 괜찮나?
2. 주인공이 아무리 현실에서 전설적 헌터라지만 커뮤에서 이래도 되나? (넷카마 짓도 하고, 이모티콘 귀척도 하고...)
싶은데 그래도 잘 나가는거 같습니다.
저는 이 소설에서 '올드스쿨 헌터'라는 부분의 설정에 큰 매력을 느꼈습니다. 강하지만 초능력(어웨이큰) 능력은 없기에 구시대 취급받는 퇴물 설정이 아포칼립스에 은둔할 수 밖에 당위성을 지니면서, 소위 말하는 사이다패스도 가능하니까요.
하지만 위에도 적었지만 300회 이상은 제게 너무 긴 거 같아요... 다른 웹소설도 이런가요. (아 여성과의 로맨스가 없어야 한다는 트렌드는 들었는데 그 트랜드하고도 부합하네요)
일단 이 소설은 커뮤니티 고찰 소설인가ㅋㅋ 해서 적었는데 계속 볼지는 모르겠어요. 쉬고나서 결국 볼 거는 같습니다. 또 커뮤에서 뭔 짓을 할지 궁금해서요(...)
결국 이 소설의 장르는 몬스터와 싸우는 헌터물인데도 아포칼립스 상황에서의 생존방식, 커뮤니티 활동으로 다양한 이야기로 뻗어 나갈 수 있고, '멜론 마스크' 같은 현실 속 캐릭터를 적절하게 변형한 캐릭터를 등장시켜 오히려 그럴듯하게 재미있단 말이죠.
웹소설은 하도 사이다패스를 추구한다고 해서
1. 이런 다양한 캐릭터와 이야기가 나오는 옴니버스식 에피소드의 템포에 독자들이 괜찮나?
2. 주인공이 아무리 현실에서 전설적 헌터라지만 커뮤에서 이래도 되나? (넷카마 짓도 하고, 이모티콘 귀척도 하고...)
싶은데 그래도 잘 나가는거 같습니다.
저는 이 소설에서 '올드스쿨 헌터'라는 부분의 설정에 큰 매력을 느꼈습니다. 강하지만 초능력(어웨이큰) 능력은 없기에 구시대 취급받는 퇴물 설정이 아포칼립스에 은둔할 수 밖에 당위성을 지니면서, 소위 말하는 사이다패스도 가능하니까요.
하지만 위에도 적었지만 300회 이상은 제게 너무 긴 거 같아요... 다른 웹소설도 이런가요. (아 여성과의 로맨스가 없어야 한다는 트렌드는 들었는데 그 트랜드하고도 부합하네요)
일단 이 소설은 커뮤니티 고찰 소설인가ㅋㅋ 해서 적었는데 계속 볼지는 모르겠어요. 쉬고나서 결국 볼 거는 같습니다. 또 커뮤에서 뭔 짓을 할지 궁금해서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