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5/11/09 19:56:21 |
Name | 블랙이글 |
Subject | 아이유 사태에 대한 관련 트윗들 |
![]() ![]() 황진미 ![]() ![]() 전우용 전우용씨의 트윗중 이 노래를 듣지않는게 이 노래를 퇴출시키는 자본주의적 방법입니다가 가장 공감이가네요 확실히 아이유 소아성애 논란은 지금 너무 지나친감이 있습니다. 이게 이렇게까지 난리가 날 일인가 생각도 들고 아이유의 해석이 맘에 들지 않으면 그냥 이 노래를 듣지 않는것으로 그치면 될 문제일터인데.. 문제는 여기서 끝난게 아니라... http://www.ddanzi.com/free/50916623#56 1. 문위의 숫자 68 : 프랑스 68운동을 의미. 68운동이란 프랑스 전역의 대학생 시위와 1,000만 노동자의 파업으로 확산된 전례없던 반체제, 반문화 운동. 2. 티비위에 앉아있는 아이유 : 현체제 유지와 대중선동에 쓰이는 매체인 TV위에 아이유가 직접 올라가서 깔아뭉개고 있음. 3. 오른쪽 위 한쪽 무릎을 꿇고 있는 남자인형 : 김성모(1969~)화백의 작품 대털 2.0에서도 나와있듯이 추진력을 얻기 위한 자세 4. 여자 인형 뒤 책장에 교묘하게 숨겨진 붉은 책 : 공산주의의 상징인 붉은색을 띤 서적. 즉, 불온서적을 의미 5. 양갈래 머리 : 같은 인간이지만 프롤레타리아와 부르주아로 나뉘어진 두 계급을 상징 6. 노란색 문과 스테인드글라스 : 마름모의 빨간색 + 문의 노란색 + 스테인드글라스의 무늬를 재조합하면 소련의 국기를 형상화 라스트 판타지의 수록곡중 "별을 찾는 아이"가 있는 것으로 보아 빼박 전체적으로 종합해봤을때 이 사진은 공산혁명을 의미 아이유 뮤비, 노래 과대해석을 까기위한 글이었는데 어느 기자가 이를 받아적어서 아이유 종북논란까지 나오네요.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0044748&code=61181611&cp=nv 이제는 아이유 까기가 광기의 영역으로 들어갔다고 봐도 무방할듯 싶네요.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블랙이글님의 최근 게시물
|
[윤종신은 지난 7일 트위터에 \"나의 노래와 글을 읽고 나는 생각도 못 한 감상과 느낌을 표현하는 분들을 봤을 때의 경이로움은 창작 후 또 다른 쾌감. 그건 오해 오역도 아니고 그만의 상상 그리고 자유. 그의 머릿속을 지배할 순 없어. 그의 표현까지도. 그저 듣고 읽어 준 게 고마울 뿐. 이 수많은 창작물의 홍수 속에\"]
오늘 이 기사발췌글을 보고 또 지젝의 포스트 모더니즘적 전제주의라는 말이 생각났어요. 인간은 \'내가 느끼는 걸 너도 느껴야 해\'라는 강요에서 벗어나길 꿈꾸거나 머... 더 보기
오늘 이 기사발췌글을 보고 또 지젝의 포스트 모더니즘적 전제주의라는 말이 생각났어요. 인간은 \'내가 느끼는 걸 너도 느껴야 해\'라는 강요에서 벗어나길 꿈꾸거나 머... 더 보기
[윤종신은 지난 7일 트위터에 \"나의 노래와 글을 읽고 나는 생각도 못 한 감상과 느낌을 표현하는 분들을 봤을 때의 경이로움은 창작 후 또 다른 쾌감. 그건 오해 오역도 아니고 그만의 상상 그리고 자유. 그의 머릿속을 지배할 순 없어. 그의 표현까지도. 그저 듣고 읽어 준 게 고마울 뿐. 이 수많은 창작물의 홍수 속에\"]
오늘 이 기사발췌글을 보고 또 지젝의 포스트 모더니즘적 전제주의라는 말이 생각났어요. 인간은 \'내가 느끼는 걸 너도 느껴야 해\'라는 강요에서 벗어나길 꿈꾸거나 머리만은 지배당하지 않겠다고 바라지만 \'어찌 학대받는 5세 아동을 두고 양면적인 섹시함을 느낄 수가 있느냐\'란 도덕적 공분을 보면 저는 다른 한편으로 안도를 느꼈어요. 인간이 믿는 신이 수천년 동안 인간의 자유보다는 선악, 도덕에 꾸준히 관심을 보인 건 두려움 때문이었을 거예요. 그 정의가 무엇이든 도덕이 무너지면 우리는 끝장이라는 두려움은 죽음에 대한 공포 못지 않았던 것 같아요. 아이유사태는 이래저래 생각을 많이 던져 주는 하나의 현상이었어요..
오늘 이 기사발췌글을 보고 또 지젝의 포스트 모더니즘적 전제주의라는 말이 생각났어요. 인간은 \'내가 느끼는 걸 너도 느껴야 해\'라는 강요에서 벗어나길 꿈꾸거나 머리만은 지배당하지 않겠다고 바라지만 \'어찌 학대받는 5세 아동을 두고 양면적인 섹시함을 느낄 수가 있느냐\'란 도덕적 공분을 보면 저는 다른 한편으로 안도를 느꼈어요. 인간이 믿는 신이 수천년 동안 인간의 자유보다는 선악, 도덕에 꾸준히 관심을 보인 건 두려움 때문이었을 거예요. 그 정의가 무엇이든 도덕이 무너지면 우리는 끝장이라는 두려움은 죽음에 대한 공포 못지 않았던 것 같아요. 아이유사태는 이래저래 생각을 많이 던져 주는 하나의 현상이었어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