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5/06/27 16:01:20
Name   Neandertal
Subject   한 물리학자 이야기...
(어제 올린 글이 자꾸 중간에 잘리는 바람에 다시 정리해서 올립니다...뭐 그렇게 대단한 글이라고 죄송하긴 합니다만 그래도 일단 썻던 글이라...--;;;)


어떤 물리학자가 있었습니다.

우선 이 사람은 성경이 독실한 신자에게 절대적인 진리를 드러내 줄 것이라고 믿었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성경의 텍스트를 읽는 것으로는 그러한 진리가 드러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신실하지 않은 사람들이 성경을 통해서 그러한 진리를 깨닫게 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그러한 진리는 성경 속에서 암호화되어 있을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그는 자신의 재능을 쏟아 부어서 성경을 분석해서 천지창조, 노아의 방주, 그리고 다른 성경 속에서의 중요한 사건들이 정확히 언제 벌어졌는지 날짜를 추정해 내기도 했습니다. 그뿐만이 아니었습니다. 그는 성경 분석을 통해서 이 세상이 언제 멸망하게 되는 지도 밝혀냈습니다. 그가 알아낸 종말의 시간은 서기 2060년에서 2344년 사이에 언젠가가 될 것이었습니다.

그는 또 치밀한 연구 끝에 성경 속의 몇몇 구절은 원래의 내용에서 변질되었다고 생각했으며 이는 후대 사람들이 예수가 신이라는 주장을 관철시키기 위해 고대 교회의 유산을 오염시켰기 때문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즉, 다른 말로 하자면 그는 성부, 성자, 그리고 성령의 본질은 하나라는 삼위일체를 믿지 않았던 것입니다.

그는 또 연금술에 빠져서 엄청난 시간과 돈을 거기에 투자했습니다. 그는 거의 30년 가까운 세월을 연금술 연구에 쏟아 받쳤습니다. 그는 연금술 연구를 위해 자신의 연구실을 따로 차렸고 연금술과 관계된 자료들을 수집하여 모아둔 개인 도서관을 세우기도 했습니다.

그는 고대의 연금술사들은 심오한 진리를 발견했지만 그들의 발견한 진리는 후대로 내려오면서 잃어버리게 되었으며 잃어버린 진리를 다시 찾으려면 그리스 신화를 분석해야 된다고 믿었습니다. 왜냐하면 그리스 신화 속에 고대 연금술사들이 발견했던 진리가 암호화 되어 숨어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습니다.


이 허경영 같은 느낌을 물씬 풍기는 물리학자의 이름은 바로...




















아이작 뉴턴이었습니다.




그는 죽을 때 까지 자신이 일생동안 추구한 연구의 가장 핵심은 성경 연구와 연금술 연구였다고 믿었다고 합니다. 그의 연금술 연구가 어느 정도 수준이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가 있습니다. 뉴턴이 죽고 나서 수 세기가 지난 후 후대 과학자들이 그의 머리카락을 가지고 분석을 해봤는데 거기에서 납, 비소, 안티몬 성분이 정상 수준보다 약 4배 정도 더 많이 검출되었고 수은은 무려 정상 범위보다 15배 정도나 더 많이 검출이 되었다고 합니다.

이런 내용을 보다 보면 그가 성경 연구나 연금술 연구에 쏟아 부운 시간과 열정의 반만이라도 물리학과 수학에 쏟아 부었다면 어떤 일이 벌어졌을까 상상을 하지 않을 수 없게 만드네요. 그런데 뉴턴이 이렇게 터무니없어 보이는 분야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인 이유는 그가 다른 과학자들과는 거의 교류를 하지 않는 외톨이 같은 성격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내가 요즘 이런 거 연구하고 있다"하면서 동료 과학자들과 교류를 했다면 동료 과학자들이 그러한 연구의 터무니없음도 지적해 주고 자신들의 의견도 제시해주고 하면서 연구 방향에 있어서 궤도 수정이 가능했을 텐데 뉴턴은 워낙 은둔형 외톨이 식으로 연구를 해서 자가 자신을 제외하고는 다른 사람들은 뉴턴이 도대체 어떤 연구들을 하고 있는지 알지를 못했다고 합니다.

그가 이런 성격을 가지게 된 데에는 그의 가족사가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합니다. 뉴턴이 태어나기 얼마 전에 그의 아버지가 사망했고 곧 재혼한 어머니는 뉴턴에게 별다른 애정을 보여주지 않았다고 하는데 이게 그의 성격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합니다. 어렸을 때는 계부와 생모에게 "불태워서 죽여 버리겠다고(!)" 협박을 하는 바람에 외할머니 손에 맡겨져서 양육이 되었을 정도였다고 하네요.

그는 거의 웃는 일이 없었고 항상 심각했다고 합니다. 뉴턴의 먼 친척 가운데 한 사람이 한 5년 정도 뉴턴 밑에서 그의 조수 비슷한 일을 했었는데 그가 나중에 회상하기를 자기가 뉴턴을 모신 5년 동안 뉴턴이 딱 한 번 웃었다고 했답니다. 그게 언제였냐면 누군가가 뉴턴에게 "왜 유클리드 기하학 같은 것을 배워야 하나?"고 물어봤을 때였다고 하네요. 아마도 그때 뉴턴의 웃음은 웃음이 아니라 [비]웃음이었음이 틀림없는 것 같습니다...--;;;


아이작 뉴턴...아무튼 여러모로 흥미로운 사람이었던 것 같습니다...



본문은 Leonard Mlodinow의 책 [The Upright Thinkers]의 내용을 바탕으로 해서 작성하였습니다.



0


    레지엔
    천재도 시대를 반 발짝 앞설뿐이랄까, 패러다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한 증거죠. 그리고 뉴턴의 오컬트적 지식이 사실 그의 과학적 업적하고 비교할 때, 매니아 수준을 벗어나지 못했다는 점에서 좋아하는 거랑 잘하는 건 많이 다르다는 한 사례도 되겠고...

    (어제 쓴 리플 기억이 안나서 기억나는대로 재구성...)
    Neandertal
    리플 감사합니다...ㅠㅠ
    삼공파일
    뉴턴의 패러다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던 천재 1인 중의 한 명이 아니라, 패러다임이라는 아이디어 자체가 생길 수 있도록 만든 사람입니다. 패러다임론에서도 뉴턴 물리학이 패러다임 전환의 가장 중요한 예이고요. 물리학에서는 선구자적이었지만 화학이나 다른 학문 분야에서는 그렇지 못했다는 식의 묘사도 부당하고요.

    뉴턴은 시대를 조금 앞서간 사람이 아니라 인류가 이성을 사용하여 과학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시대를 연 사람입니다. 칸트 철학도 결국 뉴턴이 연 이 이성의 시대가 시작되었기에 집대성될 수 있었던 것이고요. 핵전쟁이 일어나서 모든 문명이 다 무너지지 않는 이상 뉴턴이 연 이 시대는 인류 종말의 날까지 안 끝날 시대죠.
    레지엔
    물리학에 국한해서만 보면 그렇겠지만 전근대적 사고방식에서는 자유롭다고 보기 어렵죠. 제가 이야기한 부분은 뉴턴의 영지주의나 연금술에 대한 관점입니다. 그 부분은 명백히 시대 한계를 넘지 못했어요. 정확히 말하면 당대의 신비주의자들에 비해서도 딱히 그렇게 앞서나간 개념이 아니었다는 겁니다. 뉴턴이 과학사에 길이 남을 사람이라는 건 명백합니다. 그건 물리학을 전공하지 않은 사람도 이야기할 수 있어요. 그러나 뉴턴의 모든 사고방식이 완벽히 모든 시대에 가장 첨단을 달리는 그것이냐면, 그렇지 않다는 겁니다.
    그리고 패러다임론에 기반해서 ... 더 보기
    물리학에 국한해서만 보면 그렇겠지만 전근대적 사고방식에서는 자유롭다고 보기 어렵죠. 제가 이야기한 부분은 뉴턴의 영지주의나 연금술에 대한 관점입니다. 그 부분은 명백히 시대 한계를 넘지 못했어요. 정확히 말하면 당대의 신비주의자들에 비해서도 딱히 그렇게 앞서나간 개념이 아니었다는 겁니다. 뉴턴이 과학사에 길이 남을 사람이라는 건 명백합니다. 그건 물리학을 전공하지 않은 사람도 이야기할 수 있어요. 그러나 뉴턴의 모든 사고방식이 완벽히 모든 시대에 가장 첨단을 달리는 그것이냐면, 그렇지 않다는 겁니다.
    그리고 패러다임론에 기반해서 봐도 후대의 물리학자들이 뉴턴적 패러다임에 여전히 영향을 받을지언정 뉴턴적 패러다임이 그 시대의 지배적 패러다임이라고 부를 수 없습니다. 오히려 공리화된 영역이고 공리화가 견고하면 사실상 패러다임 논란에서 이미 자유로운 영역이 됩니다. 전 시대의 패러다임이 모조리 부정당하기 때문에 패러다임 쉬프트가 발생하는게 아니죠.
    말씀하신 부분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인물이 데카르트죠. 근대적 이성의 개념을 처음 제시했지만 신을 포기하지 못했던.. 성격탓도 있긴하지만 개인적으로 최초의 근대인이자 최후의 중세인이란 말에 딱 맞다고 생각합니다.
    놀라운데요 크크 좋은글잘봤습니다!
    Neandertal
    리플 감사합니다. 어제 글에도 남겨주시도니 ...--;;;
    엥 그랬나요?? 크크 왠지 부끄럽네요
    DoubleYellowDot
    프린키피아 시작에서 신의 섭리를 증명하기 위한 글이라 쓰여있단 말을 들어본 것 같네요
    삼공파일
    뉴턴의 아주 오랜 팬으로서 할 말이 많은데 음... 일단 뉴턴에 대해서 가장 공신력 있고 믿을 만한 책은 Richard Westfall이 쓴 전기입니다. 이런 내용도 다 나와 있죠. 과학사적으로 볼 때나 뭘로 볼 때나, 애초에 오늘날 \"과학\"이라는 것의 시작은 뉴턴이 만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뉴턴이 알고 보니 연금술에 빠져 있었고 우리가 알고 있었던 만큼 과학적이거나 그런 사람은 아니었다, 이런 이야기들이 엄청 많이 돌아다니는데 개인적으로 아주 편협한 일화가 그냥 떠도는 수준입니다. 이 이야기는 항상 뉴턴의 오랜 팬이었던 존 ... 더 보기
    뉴턴의 아주 오랜 팬으로서 할 말이 많은데 음... 일단 뉴턴에 대해서 가장 공신력 있고 믿을 만한 책은 Richard Westfall이 쓴 전기입니다. 이런 내용도 다 나와 있죠. 과학사적으로 볼 때나 뭘로 볼 때나, 애초에 오늘날 \"과학\"이라는 것의 시작은 뉴턴이 만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뉴턴이 알고 보니 연금술에 빠져 있었고 우리가 알고 있었던 만큼 과학적이거나 그런 사람은 아니었다, 이런 이야기들이 엄청 많이 돌아다니는데 개인적으로 아주 편협한 일화가 그냥 떠도는 수준입니다. 이 이야기는 항상 뉴턴의 오랜 팬이었던 존 메이나드 케인즈가 케임브리지에 있으면서 뉴턴의 흔적들을 찾아 연구하다가 엄청난 분량의 연금술 연구 자료도 찾았었다는 일화와 묶여서 나오는데요. 그냥 그랬다는 이야기입니다. 뉴턴 개인이 알고보니 허황되고 비이성적인 면도 있었다는 식의 이야기로 흘러갈 그런 종류의 것은 아닙니다.

    뉴턴은 흔한 천재의 반전 같은 식의 일화로 묘사되거나 할 수 있는 사람도 아니고 일반적인 천재나 위인 같은 범주로 묶어서 평가될 수 있는 사람도 아닙니다. 인류가 이성적으로 사고할 수 있도록 그 기준을 마련한 가장 위대한 천재 중의 천재입니다. 뉴턴이 태어난 날이 크리스마스인데 혹여 인류사에서 신이 있다고 믿을 이유가 딱 하나라도 있다면 그건 뉴턴의 탄생이라고
    Neandertal
    본문에 언급한 책의 저자도 뉴턴을 매우 높이 평가했습니다. 삼공파일님의 평가와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저자의 말을 빌리면 저자가 저런 예를 든 것은 뉴턴과 같은 위대한 인물도 항상 성공적인 결과물만을 만들어 낸 것은 아니다라는 점을 말하고 싶어서였다고 합니다. 그리고 저런 내용이 뉴턴에 관한 내용의 핵심도 아니었습니다. 혹시 오해하실까봐 첨언합니다.
    삼공파일
    아... 뭔가 인문학 대 과학 구도로 생각해서 약간 까칠하게 댓글을 달았네요. 재미있는 일화 정도로 생각하고 넘어가도 되는데 꼭 이런 부분이랑 과학철학이나 과학사의 몇 구절을 엮는 경우가 많아서요. 사실 속으로는 뉴턴 얘기라서 반가웠습니다. 고맙습니다!
    안빈낙도
    본문의 내용은 연금술이나 성경 연구에 비해 적은(?) 노력을 기울였음에도... 물리학과 수학의 패러다임을 바꾼 뉴턴에 대한 찬사인 듯 싶은데요.
    레지엔
    뉴턴이 위대한 천재라는 걸 부정하는게 아니라 위대한 천재일지라도 그의 모든 언행이 어느 시대에나 가장 첨단이며 가장 견고한 위치를 차지하지 못한다는 겁니다. 그리고 뉴턴의 오컬트 관련 자료는 오컬트 내적으로도 사실 큰 가치가 없어요. 뭐 신비주의 자체가 현대 사회 기준으로 볼 때 별로 과학적이지도 범학문적인 가치를 가지지도 못하지만, 신비주의의 내적 패러다임에만 국한해서 봐도 제 논지에는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오히려 그런 의미로 쓴게 훨씬 강하고).
    코페르니쿠스
    뉴턴에 대한 저런 일화가 뉴턴을 욕먹이거나 깎아내리는 편협한 일화는 아닙니다. 오히려 저런 면들을 무시하고 \'과학자 뉴턴\'의 일화만을 얘기하는 거야말로 영웅주의적인 시각으로 역사를 보는 전형적인 관점이겠지요.
    darwin4078
    연금술 나올때 뉴턴이라고 확신했습니다. 뉴턴이 강철의 연금술사 봤으면 얼마나 좋아했을까 항상 생각했습니다.

    이러니 저러니 해도 뉴턴을 보는 저의 느낌은 딱 하나입니다. \'대다나다...\'
    아라리
    뉴턴은 당대에 거의 모든 곳에 흔적을 남기고 다닌다는 느낌이네요.
    당시에 주식하다가 똥망한 얘기도 들었는데 크크
    파란아게하
    뉴턴 존잘이네요
    (어제도 쓴. . .)
    Neandertal
    거듭 감사드립니다...--;;;
    심지어 뉴턴은 온도계의 영점으로 인간의 체온을 쓰려고 했다는 이야기를 장하성의 [온도계의 철학]에서 읽었습니다.
    사실, 적외선 온도계와 같이 접촉면의 열평형까지 신경쓰지 않아도 되는 정밀한 온도계를 쓰는 지금은 그런 문제를 고려할 필요도 없지만,
    열평형상태를 규정하는 것조차 쉽지 않았던 시절의 다양한 아이디어 중에서도 뉴턴의 생각은 기발하다 못해 웃기기까지 하죠.
    뭐 이런 뉴턴의 엉뚱함(?)이 그를 천재적으로 만들지 않았나 하는 생각도 같이 하는데, 주어진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사람은 결코 천재가 아니죠.
    엉뚱하다는건 현대인의 기준으로 그렇고, 그 당대 사람들 기준으로도 그럴지는 모르겠어요. 전 뉴턴이 현대에 태어난다면 저런걸 믿지 않을 거라고 생각하기도 하고요.
    저도 코기토님의 생각과 같습니다. 전 사실 본문에 뉴턴이 괴짜처럼 그려지는데 전혀 동의 못하니까요. 뉴턴은 지금의 기준으로도 천재죠. 제가 좋아하는 과학자중 한명 입니다.
    천재성 면에서는 이론의 여지가 너무 없어서, 뉴턴에 관해선 앞으로 떤 얘기가 나와도 천재의 비하인드 스토리로 받아들이지 천재가 아닐수도 있다는 식으로 받아들이는 사람은 없을 것 같아요 크크
    인간흑인대머리남캐
    이 분이 주식 빼고 다 잘한다는 주갤러 맞나여
    Neandertal
    모든 학문의 최종 종착점은 주식이죠...--;;;
    뉴턴도 거기까지는...--;;;
    마르코폴로
    10월. 이 달로 말할 것 같으면 주식투자에 특히 위험한 달 중 하나이다.
    다른 위험한 달로는 7월, 1월, 9월, 4월 11월, 5월, 3월, 6월. 12월, 8월,
    그리고 2월이 있다.
    믿거나 말거나지만 마크트웨인의 말이라네요. 흐흐흐
    절름발이이리
    뉴턴 연애도 잘 못했다고 합니다.
    세계구조
    사격중지!
    기아트윈스
    강의도 못했다죠.
    뉴턴 본인의 말대로 거인의 어깨위에 있기에 멀리 볼 수 있는거고 저런 쪽에선 애초에 패러다임 자체가 엉망이라 저런 결과밖엔 못 얻었던 것 같네요. 저 당시 사람이 저런것들을 그냥 개구라 취급은 못했겠죠.
    Neandertal
    본문의 저자도 뉴턴 자신의 능력이 출중했음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지만 뉴턴의 업적 역시 선대 과학자들의 업적에 바탕을 둔 것임을 강조하더군요...정말 0에서 100을 창조하는 경우는 없다는 것이 저자의 강조점이었습니다...
    네... 사실 이 글을 보는 사람 중에서 \'뉴턴도 그냥 평범한 사람이구나\' 라고 말 할 사람이 얼마나 될까 합니다 크크.
    코페르니쿠스
    되살아난 뉴턴에게 직업이 뭐냐고 물어보면, 과학자가 아니라 신학자 혹은 연금술사라고 대답하겠죠.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75 기타음원사이트 지니 기준, 상반기 TOP 10 음악 3 Leeka 15/06/30 5998 0
    474 기타아저씨들과의 잘못된 만남... 26 Neandertal 15/06/30 8869 0
    473 기타휴..휴가다~!!!여..여행을 가자~~~!! 36 damianhwang 15/06/30 7425 0
    471 기타연예계 크레딧 전쟁 27 Leeka 15/06/29 8733 0
    470 기타(잡문) 꿈 이야기 25 Eneloop 15/06/29 8400 0
    469 기타존중입니다 취향해주시죠.?? 12 표절작곡가 15/06/29 8237 0
    468 기타지니어스 401 다수연합의 룰 위반에 대해서 29 Jungpolar 15/06/29 7829 0
    467 기타확신이 아집이 아니라 멋있을 때... 20 Neandertal 15/06/29 8661 0
    466 기타다음팟 플레이어가 1차개편이 되었습니다. 10 아저씨 15/06/29 8758 0
    465 기타한밤중에 쓰는, 의식의 흐름 기법에 따른, 두서 없는 넋두리 4 하늘깃 15/06/29 7237 0
    463 기타우울증을 위한 치료약 - 샤또 샤스스플린 15 마르코폴로 15/06/28 10814 0
    462 기타통증에 대한 잡설 39 ORIFixation 15/06/28 11122 0
    461 기타2015 퀴어문화축제 후기 9 jjohny=쿠마 15/06/28 10710 0
    459 기타간만에 90년대 팝 좀 들어볼까요? 11 Bergy10 15/06/28 7183 0
    458 기타살좀 쪄라 라는 말에 대하여. 22 한신 15/06/28 13237 0
    457 기타잘린 머리에게 물어봐... 12 Neandertal 15/06/28 8123 0
    456 기타[푸념] 어제 지방직 공무원 시험을 치르고 난 뒤 만감이 교차하네요. 14 콩차 15/06/28 11732 0
    455 기타[동양사태 후폭풍]대형회계법인들, 증선위에 징계 상정+@ 1 천무덕 15/06/28 6173 0
    454 기타[스포가득]뮤지컬 데스노트 관람후기 6 No.42 15/06/28 15478 0
    453 기타[지니어스] 메인 매치의 황제. 이상민 9 Leeka 15/06/28 7750 0
    452 기타중고거래 푸념, 급여삭감 여파, 그리고..... 2 damianhwang 15/06/28 7090 0
    451 기타한 물리학자 이야기... 33 Neandertal 15/06/27 9884 0
    450 기타 천재 가수 김광진의 노래들 10 ohmylove 15/06/27 8190 0
    449 기타사랑에 대한 증오어린 시선 74 No.42 15/06/27 8023 0
    448 기타마음이 따뜻해지는 이야기 -10살 소년 엘리엇- 5 Blue Sky 15/06/27 8493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