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5/06/30 09:03:51
Name   Neandertal
Subject   아저씨들과의 잘못된 만남...
90년대 중후반...개인적으로 그때가 아마 마지막으로 메탈음악에 관심을 갖던 시기였던 것 같습니다. 2000년대로 넘어오면서는 메탈이고 뭐고 음악에 대한 관심 자체가 팍 사그라들어서 어떤 장르의 음악이 대세이고 어떤 밴드들이 핫한지 찾아보는 것도 그만 뒀던 것 같습니다. (덕분에 80년대 90년대 음악들만 무한 반복...--;;;)

그래도 그런 와중에 한 번이라도 연이 닿았던 밴드들은 나름 다 애정을 가지고 좋든 싫든 음악을 들었던 것 같은데 그 가운데 단 한 밴드는 결국 끝까지 저하고는 함께 하지 못하고 악연으로 남고 말았습니다.

그 밴드의 이름은 바로

"카니발 콥스(Cannibal Corpse)"

였습니다.

저는 처음에 이 밴드를 음악으로 알게 된 것이 아니고 앨범 재킷으로 알게 되었습니다. 이들의 앨범 재킷들은 뭐랄까 한 마디로 말해서 남들에게 변태나 싸이코패스로 오해받을까봐 감히 발설조차 할 수 없는 그런 내면 깊숙한 곳의 은밀하고 추악한 욕망을 그냥 대놓고 다 드러내 놓는 그런 앨범 재킷들이었습니다.

영아살인, 시체훼손, 노골적인 성행위 묘사 등...정말 말로는 설명하기 힘든 그런 고어(Gore)적인 장면들을 거리낌 없이 묘사하는 이들의 앨범재킷은 일단 한 번 눈길을 보내게 되면 도저히 그냥 지나쳐버릴 수 없는 악마의 유혹과도 같은 그런 종류의 재킷들이었습니다.

한 눈에 봐도 이들은 "센" 음악을 하는 밴드 같았습니다. 본조비 같은 밴드(본조비 팬 분들에게는 죄송...-;;;)가 부르는 시시한 록발라드 따위는 결코 부를 수 없는 밴드 이름이었고 앨범 재킷들이었습니다.

갑자기 이들의 음악이 궁금해졌습니다. 재킷 견적으로 봤을 때 메탈리카보다도 더 센 친구들인 건 확실해 보였습니다. 게다가 마침 그 당시 국내에 이들의 베스트 앨범이라는 것이 하나 발매가 된 상태였습니다. 제목이 "Deadly Corpes"인가 뭐 그랬던 것으로 기억이 나는데 그래서 그 앨범을 하나 샀습니다. (그런데 나중에 이 앨범이 정식으로 심의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발매된 앨범이라고 해서 앨범 기획자가 구속되고 그랬었습니다. 기독교 단체들이 이 앨범을 사탄의 음악이라고 검찰에 고발하고 하면서 그 당시 난리가 좀 났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그런데 집에 이 앨범을 가지고 와서 시디 플레이어에 넣고 플레이 버튼을 누른 순간...저는 그만 제 귀를 의심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음알못이라 뭐라고 전문적인 용어를 사용해서 설명을 드릴 순 없고 순전히 저의 눈높이에서 설명을 드리자면 일단 드럼이 엄청 빠른 비트로 몰아칩니다. 그리고 베이스 기타와 리드 기타도 엄청 속주로 연주가 됩니다.

드럼이고 기타고 그런 건 다 좋은데 문제는 보컬이었습니다. 이놈의 보컬을 담당하는 친구가 부르라는 노래는 안 부르고 무슨 절균지 비명인지 모를 소리를 마구 내지르는 것이었습니다. 이게 우리말로 표현하기가 힘든데 그나마 최대한 비슷하게 묘사하자면...

"그으으으으~~~~뤄워워워어~~~~으르르르~~~~뤄어어어~~~!!!"

이런 소리가 무한 반복이 되는 것이었습니다. 보컬은 처음부터 가사를 전달하겠다는 의도 자체가 아예 없어 보였고...차라리 그건 어떻게든 참아 보겠는데 (어차피 원어민도 아니고 가사 귀에 쏙쏙 들어오는 팝송이 어디 흔합니까?) 문제는 노래(라고 불러도 될지)가 멜로디 라인이 전혀 없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냥 목에 생선 가시가 박혔는데 10년째 그 가시를 어떻게든 빼 보겠다고 "우웩~우웩~" 하고 있는 것만 같았습니다.

카니발 콥스가 데쓰메탈이라는 장르를 하는 밴드라는 건 나중에야 알게 되었습니다. 데쓰메탈이라는 장르 자체가 저에게는 생소한 것이었습니다. 저는 카니발 콥스가 그저 메탈리카에서 좀 더 강력해진 버전의 밴드일 거라고만 생각했는데 아예 장르 자체가 다른 밴드였지요.

제가 처음에 웬만큼 음악이 귀에 안 들어와도 여러 번 들으면서 귀에 익히는 스타일인데 이 카니발 콥스의 앨범은 처음 한 15분 정도 듣고 나서 바로 스톱 버튼을 눌러버렸습니다. 그리고 조용히 시디를 빼내서 케이스에 다시 집어넣었습니다. 그 뒤로 그 시디는 결코 다시는 플레이어에 걸리지 못했으며 시디 케이스 자체가 열리는 일이 없었습니다. 저는 그때 이후로 어디서 저절로 들려서 들었으면 모를까 다시는 카니발 콥스의 음악을 일부러 찾아서 듣지는 않았습니다.

그런데 이쯤에서 좀 궁금해지는 게 있습니다. 과연 이런 종류의 음악을 저만 도저히 못 듣겠는 건지 아니면 다른 분들도 그렇게 느끼는지 한 번 알고 싶어 졌습니다. 그래서 여기에 이들의 곡 하나를 링크 걸어봅니다. 홍차넷 회원님들도 한번 들어보시고 의견을 말씀해 주세요. 제가 지나치게 편협한 것인지 아니면 음악 자체가 정말로 수용하기가 좀 힘든 종류의 것인지 여러분들의 솔직하고 냉정한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여기에 올린 곡은 이들이 1992년에 발표한 앨범 [Tomb of the Mutilated]에 첫 번째 트랙인 [Hammer Smashed Face]입니다. 우리말로 번역하면 [망치로 짓이긴 얼굴]인데...상당히 중2병스러운 곡명이네요...--;;;


Cannibal Corpse - Hammer Smashed Face



0


    darwin4078
    좋은 음악을 들으셨군요. 카니발 콥스나 디어사이드가 데스메탈 중에선 대중적인 밴드들이죠. 메탈리카 다음에 이쪽으로 확 넘어오면 좀 힘드시구여... 세풀투라나 슬레이어로 좀 단련을 하고 넘어오시면 괜찮아여. 왜 스래쉬메탈 4대밴드 해서 메탈리카, 슬레이어, 앤스랙스, 세풀투라 그러잖아요. 저는 개인적으로 이런 분류 싫어하는데, 스래쉬메탈은 이런거다 하고 소개할때는 편하긴 하더라구요.

    그래도 hammer smashed face가 카니발 콥스 중에서 기타 리프가 살아있는 곡이고, 데스메탈 통틀어서도 멜로디 라인이 괜찮은 대중적인 곡... 더 보기
    좋은 음악을 들으셨군요. 카니발 콥스나 디어사이드가 데스메탈 중에선 대중적인 밴드들이죠. 메탈리카 다음에 이쪽으로 확 넘어오면 좀 힘드시구여... 세풀투라나 슬레이어로 좀 단련을 하고 넘어오시면 괜찮아여. 왜 스래쉬메탈 4대밴드 해서 메탈리카, 슬레이어, 앤스랙스, 세풀투라 그러잖아요. 저는 개인적으로 이런 분류 싫어하는데, 스래쉬메탈은 이런거다 하고 소개할때는 편하긴 하더라구요.

    그래도 hammer smashed face가 카니발 콥스 중에서 기타 리프가 살아있는 곡이고, 데스메탈 통틀어서도 멜로디 라인이 괜찮은 대중적인 곡이라능..
    이쪽이 듣기 힘드시면 다크 트랭퀼리티나 인 플레임스 같은 멜로딕 데스메탈 계열을 한번 들어보시구요, 그로울링 그 자체가 싫다 하시면 장르가 다르지만 에스테틱 피어의 somnium obmutum 앨범을 추천합니다. 정말 아름다운 블랙메탈앨범입니다.
    레지엔
    이제 데스메탈부터 소위 익스트림 계열로 분류되는데 이쪽이야 뭐 \'누구나 다\' 즐겁게 들을 수 있는 영역은 아닙니다. 사실 쓰래쉬도 메탈리카가 유독 팝적인 지향성을 보여줘서 듣기가 편한 편이지, 슬레이어나 앤쓰랙스도 그렇게 듣기 편한 음악은 아니죠. 그럼에도 카니발 콥스가 밀리언 셀러를 팔아대는 걸 보면 메탈 리스너와 팝 리스너 사이의 괴리가 시대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는 한 증거이기도 합니다.
    근데 사실 익스트림계에서 카니발 콥스 정도면 대충 중간 정도의 불편함을 주는 밴드입니다. 카니발 콥스가 이제 브루털 데스 메탈이라고 하는... 더 보기
    이제 데스메탈부터 소위 익스트림 계열로 분류되는데 이쪽이야 뭐 \'누구나 다\' 즐겁게 들을 수 있는 영역은 아닙니다. 사실 쓰래쉬도 메탈리카가 유독 팝적인 지향성을 보여줘서 듣기가 편한 편이지, 슬레이어나 앤쓰랙스도 그렇게 듣기 편한 음악은 아니죠. 그럼에도 카니발 콥스가 밀리언 셀러를 팔아대는 걸 보면 메탈 리스너와 팝 리스너 사이의 괴리가 시대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는 한 증거이기도 합니다.
    근데 사실 익스트림계에서 카니발 콥스 정도면 대충 중간 정도의 불편함을 주는 밴드입니다. 카니발 콥스가 이제 브루털 데스 메탈이라고 하는 하위 장르의 대표격인데, 이 계열의 마이너 밴드들은 카니발 콥스보다 훨씬 듣기 거북한 음악을 합니다. 아니면 이제 익스페리멘탈 계열에서는 구성 자체가 전위적으로 변해서 이쯤 되면 일렉트로니카 매니아들이 익스페리멘탈 트랜스/앰비언트를 대하는 느낌(\'음악을 즐기라고 만들었다기보다는 이런 것도 가능하다는 걸 보여주기 위해서 하는 것 같다\')으로 변해버리죠.
    뭐 암튼... 익스트림 계열 3대장(블랙/데스/고딕메탈)은 원형은 거의 70년대에 등장하고, 쓰래쉬/파워메탈 붐이 일었던 80년대에 이 장르들의 특성을 흡수하면서 독립적인 장르가 됩니다. 그리고 모던 헤비니스라고 불리는 혁명적인 사건에 의해서 90년대 후반~00년대 초반쯤에 전성기를 맞은 걸출한 밴드들이 메탈씬을 점령합니다. 위에 나온 다크 트랭퀄리티, 인 플레임스, 에스타틱 피어가 다 이런 영향력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밴드고, 그 외에도 오페쓰(개인적으로 이 시기 전 세계 밴드 중 가장 위대한 위치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램 오브 갓, 섀도스 폴, 칠드런 오브 보덤, 소일워크, 아치 에너미 등등 이 시기의 미국/유럽의 핫한 밴드들은 모두 이 사조와 큰 관계를 가지는 밴드들이죠. 아니 사실 지금 전 세계에서 제일 핫한 메탈 밴드인 어벤지드 세븐폴드만 해도 뭐...

    뭐 아무튼, 카니발 콥스 자체는 불편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그렇게 받아들여진다고 해도 무리는 아닐 겁니다. 근데 카니발 콥스를 포함해서, 이 계열 자체가 90년대 말 이후 현재까지의 메탈씬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장르입니다. 듣다보면 사실 대다수에게 별 무리없이 받아들여진다는 것이죠. 여타 새로운 음악들처럼.
    darwin4078
    어딘지 기억은 안나는데 제가 어떤 게시판에서 \'야, 요새 메탈 돌아가는거는 다 슬레이어하고 헬로윈의 변주 아니냐?\'라고 찌질댔다가 겁나 욕먹었던게 생각나네요.
    레지엔
    뭐 틀린 말은 아닌데 묘하게 받아들일 수가 없는 말이랄까요 크크크크 사실 80년대 메탈로 입문해서 80년대 메탈을 제일 잘 알고 80년대 메탈을 어떤 기준점으로 삼는 아재 리스너들한테 요새 애들은 슬레이어적 마인드를 가지고 헬로윈적인 어프로치를 한다고 표현해도 크게 틀린 말은 아닙니다. 하지만 누가 나한테 이런 말을 하면 프록메탈로의 수렴과 모던 헤비니스도 모르는 아재라고 까버릴 겁...
    구밀복검
    오페스 참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버릴 앨범 하나 없다는 말은 어느 밴드든 전성기에 자주 듣는 말이기는 한데, 이 밴드는 그 전성기의 길이가 -0-; 저 같은 경우 Blackwater Park로 입문했었는데 첫 트랙인 The Leper Affinity부터 말이 안 나오더군요. 지금도 와이파이 존에서 벗어나서 이동하기 직전에 종종 재생해서 듣습니다. 듣기도 좋은 주제에 트랙의 길이도 길어서 다시 와이파이 존에 진입할 때까지 여유롭다는 것이 장점이죠...최근으로 올수록 좀 별로기는 하지만 뭐 이미 해온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싶어요.
    레지엔
    보통 이제 still life부터 오페쓰가, 야구로 비유하자면 \'첫 사이영상을 탔다\' 정도로 설명되는데 여기서부터 ghost reveries까지 5장, 시간으로 보면 대충 6-7년 정도를 뭐 \'내가 본좌이니라\'를 선언하고 다녔죠. 아마 메탈씬에서 이 정도로 장기집권을 한 케이스는 거의 없지 싶습니다. 최전성기의 기간만 보면 드림 씨어터보다도 기니 뭐...
    Neandertal
    뻘 댓글이지만 카니발 콥스 등다가 이문세 & 고은희의 [이별 이야기]들어 보시면...--;;;...음악이 참 다르구나 느껴지더군요...--;;;
    王天君
    음 괜찮은데요? 저는 요상하게 그냥 일반적인 락은 안끌리는데 개 똘아이 같은 락은 오히려 뭔가 스트레스를 날리는 게 있더군요. 그냥 메탈은 뭔가 아저씨 느낌.
    도로헤도로 느낌 나네요. 슬립낫이랑 친구 먹을 것 같은 분위기.
    Neandertal
    슬립낫은 좀 괜찮더군요...몇 곡 들어 봤는데...무작정 으르렁 거리는 것도 아니고 중간 중간에 노래(!)도 나오고...--;;;
    구밀복검
    뭐 이 정도는 그래도 무난하지 않나...생각하는데, 제 취향이 그래서 그런지는 몰라도 데스메탈은 그리 진입장벽이 높은 장르는 아니라고 봅니다. 일단 장르 분화에 따라 대중적인 뮤지션들의 비율도 높아진 편이기도 하고, 오소독스한 경우라고 해도 별로 대단찮은 것이, 데스메탈 대부분이 암만 헤비하다고 허풍치고 고어한 기믹 깔고 가봐야 사운드 자체는 결국 기본적으로 경쾌하고 포지티브한 편이거든요. 같은 익스트림이라고 해도 데스와 블랙 사이의 직관적인 차이에 비하면 스래쉬와 데스의 차이는 미미하지 않나 싶습니다.
    먼산바라기
    절대 동의합니다. 음알못인 제가 들어보더라도 결국 데스는 리드미컬하거든요, 블랙은 정말 토하고 싶을 정도로 허세 작렬이라.. 진입장벽차이는 넘사벽이라고 생각합니다.
    Neandertal
    말로만 듣던...블랙 메탈...두려워지는군요...--;;;
    Neandertal
    저는 딱 메탈리카 정도가 바운더리였네요...--;;;...문제는 저 그롤링이 너무 거슬려서...그것만 어떻게 견디면 좋겠는데...그런 것에 비하면 할로윈의 음악은 얼마나 아릅답습니까?하고 한번 항변(?)해 봅니다...--;;;
    레지엔
    뭐 초창기 데스, 혹은 멜데스 시절은 쓰래쉬와 데스가 사실 보컬라인의 차이지 나머진 크게 나는게 아니긴 했지만 익스페리멘탈+데스, 혹은 비 멜데스계열의 프록+데스(사실 이런 밴드들은 예외없이 블랙메탈적인 부분을 가지고 있긴 합니다만)는 상당히 듣기 거북한 편이라고 봅니다. 뭐 지금에 와서는 블랙메탈은 거의 장르적 한계로 인해 자멸했고, 데스도 원류는 사멸하고 거의 프록 아니면 메탈 코어로 양분된 상태고, 고딕은 이젠 뭐 거의 얼굴되고 노래 안되는 소프라노로 얼빠 판매를 위한 장르로 전락한 감이 있지만... 하긴 뭐 익스트림 자체가 마이너리티적인 부분이 컸고, 시대가 흘렀으니 이질적 감성을 거세되고 기술적 요소들만이 메이저리티로 편입되는 건 당연할지도 모르겠습니다.
    파란아게하
    저한테는 블랙커피와 같은 존재인 듯. 너무 써서 싫은데
    그걸 분명히 좋다는 사람이 있고 그게 또 멋있어보여서
    억지로 남들 앞에서 한 번 마셔보고 우쭐대고
    속으로 흐 써 다음부터는 안 마셔야지 이러고선
    좋다는 애 또 보면 하아 졸라 쓴데 진짜 좋나?
    아으 난 걍 자판기 커피가 짱임 = 마이클잭슨이 짱짱
    Neandertal
    하하하 공감 되네요...--;;;
    먼산바라기
    아..추억의 세풀툴라가 생각나는군요.. 앨범제목이 beneath the remain이던가? 그 앨범 찾으려고 안양바닥을 뒤지던 기억이 막 새롭네요...

    크래쉬로 입문해서, 슬레이어 세풀툴라를 듣던 그 시절. 헬로윈은 너무 말랑말랑해. 본조비? 걔들은 그냥 댄스그룹이지 뭘(..죄송합니다팬여러분. 그래요 중2병이었어요..)메탈리카? 에이. 상업과 타협한 더러운 변절자..(죄송합니다 팬 여러분.. 중2병인데 뭔들 못하겠어요... 죄송해요..) 라고 생각하던 그시절이 떠오르는군요..

    아 이불킥하고 싶다.. -_-;;
    Neandertal
    딱...메탈리카가 좋은 데...음식이 너무 써도 좀...--;;;
    Eneloop
    세풀툴라 앨범 중에 한국 시위대가 날라차기 하는 앨범커버 있지 않나요?
    저는 그냥 파워메탈이 좋아요... 패스파인더 짱!

    옛날 메탈 중에선 아이언 메이든의 The Mercenary 듣고 정말 뻑갔는데 막상 그런 느낌을 주는 곡은 잘 못 찾겠더군요.
    Neandertal
    아이언 메이든 좋죠...단순하고 명쾌하고...--b
    저도 파워메탈 취향입니다...크크
    한동안 우리 나라에도 메탈 붐(?)이 불어서 메탈 컴필레이션 앨범도 나왔던 생각이 나네요.
    디어사이드, 오비추얼리 등등의 대표곡들이 한데 모인(?) 어마어마한 음반이었는데 크크크
    세츠나
    메탈과 클래식이 모든 면에서 음악계의 양극단에 있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묘하게 대치되는 면이 있는 것도 사실이죠.
    그런가 하면 은근히 진입장벽이 높고 일정수준의 식견이 있는 편이 감상에 많은 도움이 된다는 면에서는 유사점이 있기도 하구요.
    음악에서 \'낯설음\'을 느낀다면 \'그냥 딱 들었을때 좋다고 느껴지는가?\' 라는 평가 기준으로 봤을 때는 좋은 음악이라 할 수 없겠죠.
    그러나 좋은 음악의 평가 기준이 그 하나뿐이라고는 할 수 없으니까요.

    클래식은 현대에 와서는 어느 정도 \'낯설음\'을 획득했죠. 물론 CF 등으로... 더 보기
    메탈과 클래식이 모든 면에서 음악계의 양극단에 있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묘하게 대치되는 면이 있는 것도 사실이죠.
    그런가 하면 은근히 진입장벽이 높고 일정수준의 식견이 있는 편이 감상에 많은 도움이 된다는 면에서는 유사점이 있기도 하구요.
    음악에서 \'낯설음\'을 느낀다면 \'그냥 딱 들었을때 좋다고 느껴지는가?\' 라는 평가 기준으로 봤을 때는 좋은 음악이라 할 수 없겠죠.
    그러나 좋은 음악의 평가 기준이 그 하나뿐이라고는 할 수 없으니까요.

    클래식은 현대에 와서는 어느 정도 \'낯설음\'을 획득했죠. 물론 CF 등으로 익숙한 곡도 많지만 클래식 음악이 대중적이던 시절과는
    많은 차이가 있음을 부정할 수 없습니다. 데스메탈의 낯설음도 그런 것과 큰 차이는 없으리라 생각되네요.

    예전에 \'하여가\'를 처음 들었을 때가 생각합니다. 뭔가 매력적이다라는 생각보다 \'이게 음악이냐?\' 라는 생각이 먼저 들었었는데...
    한 세번쯤 들으니까 괜찮고 열번쯤 들으니까 하루종일 듣게 되더라고요. 그래도 그보다 심하게 낯설었다면 그리고 제 취향과
    전혀 안맞았다면 그런 장르를 아예 못듣겠다는 반응도 못나올 건 없었겠죠.
    tannenbaum
    아 이게시물에 메탈아재들이 가득해~~
    넵 저는 메탈아재가 아닙니다.
    오쇼 라즈니쉬
    처음 들을 때는 심장을 주먹으로 때리는 것 같았는데 듣다보니 좋아요~
    근데 저도 멜로디 없이 완전 동일 프레이즈만 반복되는 종류의 극단적인 블랙메탈은 못 듣겠더군요. 사람마다 한계치가 있는 것 같아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75 기타음원사이트 지니 기준, 상반기 TOP 10 음악 3 Leeka 15/06/30 6001 0
    474 기타아저씨들과의 잘못된 만남... 26 Neandertal 15/06/30 8872 0
    473 기타휴..휴가다~!!!여..여행을 가자~~~!! 36 damianhwang 15/06/30 7429 0
    471 기타연예계 크레딧 전쟁 27 Leeka 15/06/29 8734 0
    470 기타(잡문) 꿈 이야기 25 Eneloop 15/06/29 8402 0
    469 기타존중입니다 취향해주시죠.?? 12 표절작곡가 15/06/29 8243 0
    468 기타지니어스 401 다수연합의 룰 위반에 대해서 29 Jungpolar 15/06/29 7832 0
    467 기타확신이 아집이 아니라 멋있을 때... 20 Neandertal 15/06/29 8663 0
    466 기타다음팟 플레이어가 1차개편이 되었습니다. 10 아저씨 15/06/29 8761 0
    465 기타한밤중에 쓰는, 의식의 흐름 기법에 따른, 두서 없는 넋두리 4 하늘깃 15/06/29 7240 0
    463 기타우울증을 위한 치료약 - 샤또 샤스스플린 15 마르코폴로 15/06/28 10818 0
    462 기타통증에 대한 잡설 39 ORIFixation 15/06/28 11127 0
    461 기타2015 퀴어문화축제 후기 9 jjohny=쿠마 15/06/28 10713 0
    459 기타간만에 90년대 팝 좀 들어볼까요? 11 Bergy10 15/06/28 7186 0
    458 기타살좀 쪄라 라는 말에 대하여. 22 한신 15/06/28 13240 0
    457 기타잘린 머리에게 물어봐... 12 Neandertal 15/06/28 8124 0
    456 기타[푸념] 어제 지방직 공무원 시험을 치르고 난 뒤 만감이 교차하네요. 14 콩차 15/06/28 11736 0
    455 기타[동양사태 후폭풍]대형회계법인들, 증선위에 징계 상정+@ 1 천무덕 15/06/28 6175 0
    454 기타[스포가득]뮤지컬 데스노트 관람후기 6 No.42 15/06/28 15480 0
    453 기타[지니어스] 메인 매치의 황제. 이상민 9 Leeka 15/06/28 7753 0
    452 기타중고거래 푸념, 급여삭감 여파, 그리고..... 2 damianhwang 15/06/28 7094 0
    451 기타한 물리학자 이야기... 33 Neandertal 15/06/27 9885 0
    450 기타 천재 가수 김광진의 노래들 10 ohmylove 15/06/27 8192 0
    449 기타사랑에 대한 증오어린 시선 74 No.42 15/06/27 8023 0
    448 기타마음이 따뜻해지는 이야기 -10살 소년 엘리엇- 5 Blue Sky 15/06/27 8493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